혈액응고기전과 지혈기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응고기전과 지혈기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혈액의 응고기전

2.혈액의 지혈기전

본문내용

중요한 기전의 하나는 혈액내의 트롬빈을 지속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은 피브린사 (fibrin thread)와 알파글로부린인 항트롬빈 III(antithrombin III 또는 antithrombin-heparin cofactor 라 함)이다. 혈병이 형성되면 약 85 - 90%의 피브린은 피브린사로 흡착된다. 이 피브린사는 트롬빈이 다른 부위로 퍼지지 못하게 하여 심한 혈병형성을 억제한다. 피브린사로 흡착되지 못한 피브린은 혈액으로 나가면 응고현상이 지속되기 때문에 이는 항트롬빈 III 와 결합하여 피브리노겐에 작용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
③ 헤파린
헤파린은 매우 강력한 항응고제로 인체 혈액내에는 양이 매우 적지만 정상 상태하에서는 충분한 항응고작용을 한다. 헤파린 분자는 매우 강한 음전기를 띤 복합다당질로 헤파린 자체는 항응고작용이 거의 없으나 항트롬빈 III와 결합하면 수백 - 수천 배 이상의 항응고작용을 한다. 헤파린 - 항트롬빈 결합은 트롬빈을 순환계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그 외에 활성화된 응고인자 제 XII, XI, IX, X인자를 제거하여 응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대부분의 심장수술, 혈관수술에 헤파린을 사용하며, 혈전증에 의한 급성 및 만성 혈관폐쇄질환에 일차적으로 사용하는 매우 중요한 약물이다) 헤파린은 체내의 비만세포(mast cell)와 호염기세포(basophilic cell)에서 만들어져 혈관내 항응고작용을 한다. 이 비만세포는 주로 폐나 간장의 모세혈관 주위에 많은데 이는 폐나 간장에는 이물질이 많이 들어와 응고작용이 수시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9.15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06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