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피자 시장 현황
2. 피자에땅 소개
3. 환경분석
4. SWOT 분석
5. 전략 및 목표
6. STP
7. 4P Mix
8. 결론
9. 참고문헌
2. 피자에땅 소개
3. 환경분석
4. SWOT 분석
5. 전략 및 목표
6. STP
7. 4P Mix
8. 결론
9. 참고문헌
본문내용
누드)를 출시함으로서 2009년 지금까지도 큰 인기와 지속적으로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2007년 피자헛은 찍어먹는 재미와 치즈의 깊은 맛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치즈바이트 퐁듀피자를 개발함으로서 큰 관심과 퐁듀 돌풍을 몰고 왔다.
맛과 마케팅, 서비스 우위를 바탕으로 상위 3개 업체가 전체시장의 80%이상을 점유하여 왔다. 1위 업체인 피자헛은 2006년 매출액이 4200억으로 점포수 340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도미노피자는 2006년 매출액이 2800억으로 점포수 288개를 가지고 있다. 미스터피자는 매출액 2000억, 시장점유율 18%를 차지하며 300개의 점포수를 가지고 있다. 이외의 기타업체들이 2000억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피자헛의 매출이 정체되어 있으며, 미스터피자와 도미노피자가 약진하고 있는 이 상황에서 피자에땅, 파파존스, 빨간모자 등의 중소브랜드 업체의 공격적인 점포확대와 배달중심의 시장공략으로 2000억을 넘어선 시장 매출을 보인다.
2. 피자에땅 소개
→ 현재 전국 300여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10대~20대와 주부들이 주요 고객층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피자에땅은 순수 국내브랜드로서 로열티를 따로 지불하지 않고 있는 강점이 있다. 현재 전문화된 제품개발팀 가동을 통해 고객들의 입맛에 적절히 대응해 나가는 메뉴개발 전략을 펴고 있으며, 전국 자체 물류시스템을 통해 신선한 재료를 매일매일 고객에게 제공하는 노력을 보인다. 이 물류시스템은 서울 본사와 김해지사로부터 전국 물류시스템 망을 확보하고 있다. 2008년 피자에땅의 가장 어려운 점은 원자재 값의 상승이었지만 꾸준히 합리적인 피자가격과 품질을 유지하여 소비자들에게 맛과 즐거움을 동시에 주고 있는 것이 큰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쟁력을 가지고 2008년 6월 총 290개 매장에서 8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여 전년대비 80여개의 매장과 62.5%의 매출 신장률을 보였다. 앞으로 피자에땅은 국내 350개 매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국, 베트남, 동남아시아 등 해외시장개척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피자에땅은 2009년 4월 실시된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 조사 결과 피자브랜드에서 4위(12.4%)로 선정되었다. 미스터피자가 77.9%로 선호 브랜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도미노 피자 56.6%, 피자헛 49.8%, 5위로는 파파존스 10.9% 의 순이었다. 1,2,3위를 차지한 해외체인본사들이 피자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의 맛보다 브랜드를 보고 매장을 선택하는 경향이 짙어 경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자에땅은 1+1 서비스라는 독특한 마케팅과 철저한 가맹 관리로 예비 창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 인기 연예인 이수근을 모델으로 꾸준한 TV광고로 홍보를 펼치는 등 피자에땅 브랜드를 소비자들에게 인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 피자에땅 개요
자 본 금 : 5억원
설립연도 : 2000.12.01
대표이사 : 공재기 / 종업원 수: 50인
사업종목 : 피자 외 프랜차이즈
본 사 : 서울시 양천구 신월1동 271-21,22
연 락 처 : Tel : 02-785-4884, Fax : 02-2606-8377
납부지사 : 김해시 상동면 우계리 861번지
2) 피자에땅 연혁
1996.05.08 피자에땅 영등포점 open
2000.12.01 (주)에땅 법인설립. 프랜차이즈 사업 본격화
2002.05.03 피자에땅 100호점 개점
2002.08.01 물류센터 및 전국 물류시스템 구축
2003.05 전국 140여개 매장 운영
2004.06 타공피자 100만개 돌파
2007.12 전국 290여개 매장 운영
2008.02 “아이다호포테이토” & “옥토쉬림프” 출시
2008.04.21 프리미엄 치킨 브랜드 ‘오븐에 빠진 닭’ 런칭, 치킨사업으로 진출
2008.04.26 종로1호점 \'오븐에 빠진 닭\' 레스토랑 오픈
2008.11 피자에땅 300호점 돌파 기념
“골드큐브” & “씨푸뜨아” 출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영양표시 시범사업에 참여
2009.01.11 피자에땅 축제편, 스키캠프 이벤트 실시
즐거운 여행 이벤트 실시
2009.05 가족愛재발견 이벤트 실시
3) 피자에땅 슬로건
“Good Taste & Happy place”
→ 피자에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최고의 맛과 즐거움을 드리는 슬로건이다. 피자에땅은 소비자와 항상 가까운 곳에 있으며, 피자에땅을 생각하면 항상 맛있는 향기와 즐거움을 동시에 떠올릴 수 있도록 합리적인 가격으로 편안하고 친근한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는 뜻을 담고 있다.
4) 피자에땅 기업정신
* 피자에땅만의 철저한 고객관리 프로그램인 “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최고의 품질을 추구.
* 항상 고객과 가맹점 사장님을 생각하는 기본 정신.
* 철저하고 체계화된 교육을 통해 최고의 피자에땅을 만들고자 하는 노력.
5) 피자에땅 위치
3. 환경분석
1) 외부분석
① 경제환경
계속되는 경제위기로 인해 저가의 상품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만 가고 피자산업에서도 중·저가 피자의 수요가 늘어만 가고 있다.
② 사회문화
식품 산업과 관련하여 웰빙이 열풍이다. 하지만 피자라는 제품 자체가 웰빙의 이미지와 거리가 멀기 때문에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웰빙과 관련된 제품들을 개발, 출시하고 샐러드와 같은 웰빙 식품분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성들의 소득 증가로 인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 확대 중에 있다.
③ 기술환경
이미 피자 제조기술은 상향 평준화가 되어 있어 피자에땅의 기술은 경쟁사들의 기술과 막상막하에 있다. 따라서 웰빙 메뉴를 만들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④ 인구통계적
피자를 선호하는 세대들이 사회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비록 출산률이 감소하고 있지만 피자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 PLC 분석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진입하려는 시점, 피자시장은 이미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진입하려는 후기 성장기에 있다. 선두를 달리고 있는 피자헛의 경우는 성장률이 이미 0에 이르렀고, 피자헛의 턱끝까지
맛과 마케팅, 서비스 우위를 바탕으로 상위 3개 업체가 전체시장의 80%이상을 점유하여 왔다. 1위 업체인 피자헛은 2006년 매출액이 4200억으로 점포수 340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도미노피자는 2006년 매출액이 2800억으로 점포수 288개를 가지고 있다. 미스터피자는 매출액 2000억, 시장점유율 18%를 차지하며 300개의 점포수를 가지고 있다. 이외의 기타업체들이 2000억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피자헛의 매출이 정체되어 있으며, 미스터피자와 도미노피자가 약진하고 있는 이 상황에서 피자에땅, 파파존스, 빨간모자 등의 중소브랜드 업체의 공격적인 점포확대와 배달중심의 시장공략으로 2000억을 넘어선 시장 매출을 보인다.
2. 피자에땅 소개
→ 현재 전국 300여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10대~20대와 주부들이 주요 고객층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피자에땅은 순수 국내브랜드로서 로열티를 따로 지불하지 않고 있는 강점이 있다. 현재 전문화된 제품개발팀 가동을 통해 고객들의 입맛에 적절히 대응해 나가는 메뉴개발 전략을 펴고 있으며, 전국 자체 물류시스템을 통해 신선한 재료를 매일매일 고객에게 제공하는 노력을 보인다. 이 물류시스템은 서울 본사와 김해지사로부터 전국 물류시스템 망을 확보하고 있다. 2008년 피자에땅의 가장 어려운 점은 원자재 값의 상승이었지만 꾸준히 합리적인 피자가격과 품질을 유지하여 소비자들에게 맛과 즐거움을 동시에 주고 있는 것이 큰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쟁력을 가지고 2008년 6월 총 290개 매장에서 8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여 전년대비 80여개의 매장과 62.5%의 매출 신장률을 보였다. 앞으로 피자에땅은 국내 350개 매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국, 베트남, 동남아시아 등 해외시장개척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피자에땅은 2009년 4월 실시된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 조사 결과 피자브랜드에서 4위(12.4%)로 선정되었다. 미스터피자가 77.9%로 선호 브랜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도미노 피자 56.6%, 피자헛 49.8%, 5위로는 파파존스 10.9% 의 순이었다. 1,2,3위를 차지한 해외체인본사들이 피자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의 맛보다 브랜드를 보고 매장을 선택하는 경향이 짙어 경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자에땅은 1+1 서비스라는 독특한 마케팅과 철저한 가맹 관리로 예비 창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 인기 연예인 이수근을 모델으로 꾸준한 TV광고로 홍보를 펼치는 등 피자에땅 브랜드를 소비자들에게 인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 피자에땅 개요
자 본 금 : 5억원
설립연도 : 2000.12.01
대표이사 : 공재기 / 종업원 수: 50인
사업종목 : 피자 외 프랜차이즈
본 사 : 서울시 양천구 신월1동 271-21,22
연 락 처 : Tel : 02-785-4884, Fax : 02-2606-8377
납부지사 : 김해시 상동면 우계리 861번지
2) 피자에땅 연혁
1996.05.08 피자에땅 영등포점 open
2000.12.01 (주)에땅 법인설립. 프랜차이즈 사업 본격화
2002.05.03 피자에땅 100호점 개점
2002.08.01 물류센터 및 전국 물류시스템 구축
2003.05 전국 140여개 매장 운영
2004.06 타공피자 100만개 돌파
2007.12 전국 290여개 매장 운영
2008.02 “아이다호포테이토” & “옥토쉬림프” 출시
2008.04.21 프리미엄 치킨 브랜드 ‘오븐에 빠진 닭’ 런칭, 치킨사업으로 진출
2008.04.26 종로1호점 \'오븐에 빠진 닭\' 레스토랑 오픈
2008.11 피자에땅 300호점 돌파 기념
“골드큐브” & “씨푸뜨아” 출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영양표시 시범사업에 참여
2009.01.11 피자에땅 축제편, 스키캠프 이벤트 실시
즐거운 여행 이벤트 실시
2009.05 가족愛재발견 이벤트 실시
3) 피자에땅 슬로건
“Good Taste & Happy place”
→ 피자에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최고의 맛과 즐거움을 드리는 슬로건이다. 피자에땅은 소비자와 항상 가까운 곳에 있으며, 피자에땅을 생각하면 항상 맛있는 향기와 즐거움을 동시에 떠올릴 수 있도록 합리적인 가격으로 편안하고 친근한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는 뜻을 담고 있다.
4) 피자에땅 기업정신
* 피자에땅만의 철저한 고객관리 프로그램인 “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최고의 품질을 추구.
* 항상 고객과 가맹점 사장님을 생각하는 기본 정신.
* 철저하고 체계화된 교육을 통해 최고의 피자에땅을 만들고자 하는 노력.
5) 피자에땅 위치
3. 환경분석
1) 외부분석
① 경제환경
계속되는 경제위기로 인해 저가의 상품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만 가고 피자산업에서도 중·저가 피자의 수요가 늘어만 가고 있다.
② 사회문화
식품 산업과 관련하여 웰빙이 열풍이다. 하지만 피자라는 제품 자체가 웰빙의 이미지와 거리가 멀기 때문에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웰빙과 관련된 제품들을 개발, 출시하고 샐러드와 같은 웰빙 식품분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성들의 소득 증가로 인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 확대 중에 있다.
③ 기술환경
이미 피자 제조기술은 상향 평준화가 되어 있어 피자에땅의 기술은 경쟁사들의 기술과 막상막하에 있다. 따라서 웰빙 메뉴를 만들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④ 인구통계적
피자를 선호하는 세대들이 사회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비록 출산률이 감소하고 있지만 피자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 PLC 분석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진입하려는 시점, 피자시장은 이미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진입하려는 후기 성장기에 있다. 선두를 달리고 있는 피자헛의 경우는 성장률이 이미 0에 이르렀고, 피자헛의 턱끝까지
추천자료
[네슬레][네슬레 역사][네슬레의 성공요인][네슬레 글로벌경영전략][네슬레 마케팅전략][네슬...
[서비스][서비스마케팅 사례][귀족마케팅 전략]서비스의 정의와 금융기관의 서비스마케팅 사...
[경제불황]경제불황의 개념, 경제불황기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경영전략, 경제불황기 탈출...
노키아(NOKIA) 국제마케팅전략,노키아마케팅전략,노키아한국실패와중국성공,NOKIA마케팅전략,...
가전제품의 색채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 가전제품컬러마케팅,컬러마케팅전략,컬러마케팅...
Emotional Marketing - 감성마케팅,감성마케팅전략,감성마케팅사례,스타벅스의감성전략,스타...
매스티지(masstige) 마케팅 - 매스티지마케팅,매스티지마케팅전략,매스티지마케팅사례및분석,...
신세계 이마트 - 글로벌 시장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전략 분석 (이마트해외진출,이마트중국시...
[베니건스][베니건스 특성][베니건스 경쟁사][베니건스 마케팅 전략][향후 베니건스 개선 방...
[창업기업 전략][창업][기업][아웃소싱][마케팅]창업기업의 아웃소싱전략, 창업기업의 경영전...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 경영전략분석과 현대중공업 마케팅전략분석 및 새로운마케팅전략 제...
『HITE 하이트진로 마케팅전략 분석』 하이트진로 기업경영분석과 하이트진로 마케팅 SWOT,ST...
≪ 클라우드맥주 (Kloud) 마케팅전략 ≫ 클라우드맥주 브랜드분석과 마케팅전략 분석 및 클라우...
필립스(PHILIPS) 경영분석과 필립스 글로벌마케팅전략분석 및 필립스 브랜드확장전략분석 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