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개념과 특징
Ⅲ.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유효성
Ⅳ.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현안
Ⅴ.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적용
Ⅵ.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매체
1. 칠판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2. OHP(Overhead Projector)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3. 실물환등기(Opaque Projector)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4. 오디오
1) 오디오 테이프
2) 오디오 CD
3) 잘못 사용된 예
4) 오디오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법
5. 비디오
1) 비디오 테이프
2) DVD(Digital Video Disc)
3) 잘못 사용된 예
4) 비디오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법
6. 컴퓨터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Ⅶ.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Ⅷ. 결론
참고문헌
Ⅱ.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개념과 특징
Ⅲ.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유효성
Ⅳ.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현안
Ⅴ.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적용
Ⅵ.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매체
1. 칠판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2. OHP(Overhead Projector)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3. 실물환등기(Opaque Projector)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4. 오디오
1) 오디오 테이프
2) 오디오 CD
3) 잘못 사용된 예
4) 오디오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법
5. 비디오
1) 비디오 테이프
2) DVD(Digital Video Disc)
3) 잘못 사용된 예
4) 비디오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법
6. 컴퓨터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Ⅶ.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 수업 방법은 사회적 기본 개념, 원리, 법칙 등에 관한 내용을 지도할 때 활용될 수 있으며, 구조화된 지식을 지도함으로써 사회적 기능을 길러 주거나 사회적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형태의 학습 방법이든 그 방법의 진행 과정에서 이 강의식 수업 방법이 때때로 사용되고 있다.
Ⅲ.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유효성
(가) 교육의 기초적인 목적이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을 때
(나) 자료들을 다른 출처에서 입수할 수 없을 때
(다) 자료가 특수집단을 대상으로 특별한 방법으로 조직되고, 전달되어야만 할 때
(라) 대상에게 관심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을 때
(마) 자료가 짧은 기간동안만 기억될 필요가 있을 때
또 다른 관점에서의 필요성
(가) 학습활동이나 단원을 소개할 때
(나)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할 때
(다) 요약할 때
(라) 어려운 점을 설명할 때
(마) 단원과 주제사이의 간격을 메우려할 때
(바) 일반적 견해를 세울 때
(사) 다른 견해를 지적할 때
(아) 다르게 입수하기 어려운 정보를 제공할 때
(자) 추가적 정보를 제공할 때
(차) 이론을 제안할 때
Ⅳ.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현안
수없이 많은 교수 방법이 있긴 하지만, 교육 수준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얼굴을 서로 마주 대고 하는 이야기, 즉 ‘강의’가 아직도 교수 방법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앞으로도 상당기간 동안 더 이 현상은 계속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의’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는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은 비교적 놀라운 일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교수 매체나 교수 방법과 같이 통제된 실험의 결과로 얻어진 정보는 더더구나 적다. 따라서 강의의 유용성에 관한 의견들은 상당히 강력하지만 그러한 의견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는 그다지 강하지 못한 것이다. 무엇이 좋은 강의인가에 대해서 정의하기는 상당히 어려운데, 그 이유는 몇 가지 연구 결과에서 학생들이 강의에서 좋게 생각하는 것들이 서로 다르거나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Ⅴ.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적용
강의식 수업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1)사회적 기본 개념, 원리, 법칙의 학습
(2)구조화된 지식의 학습
(3)수업 내용이나 방법의 안내
(4)다른 학습 단계로의 뒷받침이 되는 내용
(5)보충 설명 및 요약
Ⅵ.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매체
1. 칠판
1) 특성
칠판은 가장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된 수업 매체이다. 또한 강의실에서 늘 사용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사용방법에 대한 생각 없이 사용한다. 따라서 교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면서 또한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이 칠판이다. 그러나 칠판이야말로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다.
2) 장점
사용을 위한 별도의 기술이 필요 없고 교사나 학생 누구든지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강의 도중 말로는 충분히 설명이 안 될 때 그림이나 도표 수식으로 직접 쉽게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색 분필을 사용하여 강의 도중 즉석에서 요점의 강조나 주의집중이 필요한 점을 지적하고 부각시킬 수 있다. 습관적으로 말을 빨리 하거나 강의 진도가 성급히 나갈 때 판서를 하여 속도를 늦추고 학생에게 생각할 기회를 줄 수 있는 브레이크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칠판은 가장 친근하고 인간적인 매체이다.
3) 단점
칠판이라는 매체만으로는 많은 양의 자료를 취급하기 힘든 것이 단점이다. 또한 영구적인 기록을 남길 수 없고 똑같은 자료에 대한 복사본을 남길 수 없기에 장기적으로 보면 비효율적이다. 판서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줄어 들 수 있다.
4) 잘못 사용된 예
교수가 강의 시작부터 칠판에 판서를 시작하여 끝날 때까지 쉬지 않고 판서를 한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칠판에 쓰인 내용을 그대로 옮겨 쓰기에 급급하여 교수님의 설명을 잘 듣지 못하며 내용을 생각하고 정리하며 이해할 여유를 갖지 못하게 된다.
5) 효과적인 활용방법
▶ 미리 칠판을 어떻게 사용할지 결정해야한다. 전체 칠판을 도화지라고 생각하고 계획하여 부분으로 나누어서 단계별로 사용한다. 즉, 요점 정리 부분과 요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자유로이 쓸 수 있는 부분을 나누어 사용한다.
▶ 글자와 그림은 학습자들이 잘 읽고 볼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한다.
▶ 학생들에게 등을 보이지 말고 학생들을 보고 말한다. 학습자가 교수의 입 모양을 보고 학생들과 시선을 맞추기 위해 등을 돌리게 되는 판서는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
▶ 교수의 위치는 칠판으로부터 학생들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서야 한다.
▶ 강의주제는 강의 전에 미리 판서하고 강의 요점은 강의 과정에 단계적으로 판서한다.
2. OHP(Overhead Projector)
1) 특성
OHP는 투시물(TP: transparencies)을 투사하는 매체로서 아세테이트 또는 셀로판 같은 투명자료에 전용필기 도구로 교수가 직접 기재하거나 TP용 복사기를 이용하여 인쇄자료를 복사하여 사용한다. OHP는 매우 사용하기 쉬운 매체이다. 약간의 연습만으로도 누구나 OHP를 사용해서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다.
2) 장점
사용이 비교적 쉽고 비용이 싸다. OHP는 한정된 수의 교사가 방대한 학습내용을 많은 학생들에게 한꺼번에 전달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교실의 조명을 끄지 않고도 크고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더욱이 OHP로 학습내용을 제시하며 교사가 학생들을 마주보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반응을 관찰하며 교수의 수업방식이나 속도를 조절시켜 나갈 수 있다.
3) 단점
OHP는 쉽게 준비할 수 때문에 강의 내용의 분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아 질 수 있고 강의 속도를 너무 가속화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강의 내용을 따라 가기 힘들고 학습자 입장에서 지루하거나 따분해 질 수 있다.
4) 잘못 사용된 예
강의 내용을 모두 OHP에 적어 그 내용을 강의 시간에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줄줄 읽어 내려간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OHP에 실린 내용을 다 필기 할 수도 없고 따라서 내용을 생각할 여유가 없고 설명을
Ⅲ.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유효성
(가) 교육의 기초적인 목적이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을 때
(나) 자료들을 다른 출처에서 입수할 수 없을 때
(다) 자료가 특수집단을 대상으로 특별한 방법으로 조직되고, 전달되어야만 할 때
(라) 대상에게 관심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을 때
(마) 자료가 짧은 기간동안만 기억될 필요가 있을 때
또 다른 관점에서의 필요성
(가) 학습활동이나 단원을 소개할 때
(나)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할 때
(다) 요약할 때
(라) 어려운 점을 설명할 때
(마) 단원과 주제사이의 간격을 메우려할 때
(바) 일반적 견해를 세울 때
(사) 다른 견해를 지적할 때
(아) 다르게 입수하기 어려운 정보를 제공할 때
(자) 추가적 정보를 제공할 때
(차) 이론을 제안할 때
Ⅳ.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현안
수없이 많은 교수 방법이 있긴 하지만, 교육 수준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얼굴을 서로 마주 대고 하는 이야기, 즉 ‘강의’가 아직도 교수 방법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앞으로도 상당기간 동안 더 이 현상은 계속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의’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는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은 비교적 놀라운 일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교수 매체나 교수 방법과 같이 통제된 실험의 결과로 얻어진 정보는 더더구나 적다. 따라서 강의의 유용성에 관한 의견들은 상당히 강력하지만 그러한 의견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는 그다지 강하지 못한 것이다. 무엇이 좋은 강의인가에 대해서 정의하기는 상당히 어려운데, 그 이유는 몇 가지 연구 결과에서 학생들이 강의에서 좋게 생각하는 것들이 서로 다르거나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Ⅴ.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적용
강의식 수업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1)사회적 기본 개념, 원리, 법칙의 학습
(2)구조화된 지식의 학습
(3)수업 내용이나 방법의 안내
(4)다른 학습 단계로의 뒷받침이 되는 내용
(5)보충 설명 및 요약
Ⅵ. 강의식수업(강의법, 강의식교수법)의 매체
1. 칠판
1) 특성
칠판은 가장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된 수업 매체이다. 또한 강의실에서 늘 사용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사용방법에 대한 생각 없이 사용한다. 따라서 교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면서 또한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이 칠판이다. 그러나 칠판이야말로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다.
2) 장점
사용을 위한 별도의 기술이 필요 없고 교사나 학생 누구든지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강의 도중 말로는 충분히 설명이 안 될 때 그림이나 도표 수식으로 직접 쉽게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색 분필을 사용하여 강의 도중 즉석에서 요점의 강조나 주의집중이 필요한 점을 지적하고 부각시킬 수 있다. 습관적으로 말을 빨리 하거나 강의 진도가 성급히 나갈 때 판서를 하여 속도를 늦추고 학생에게 생각할 기회를 줄 수 있는 브레이크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칠판은 가장 친근하고 인간적인 매체이다.
3) 단점
칠판이라는 매체만으로는 많은 양의 자료를 취급하기 힘든 것이 단점이다. 또한 영구적인 기록을 남길 수 없고 똑같은 자료에 대한 복사본을 남길 수 없기에 장기적으로 보면 비효율적이다. 판서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줄어 들 수 있다.
4) 잘못 사용된 예
교수가 강의 시작부터 칠판에 판서를 시작하여 끝날 때까지 쉬지 않고 판서를 한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칠판에 쓰인 내용을 그대로 옮겨 쓰기에 급급하여 교수님의 설명을 잘 듣지 못하며 내용을 생각하고 정리하며 이해할 여유를 갖지 못하게 된다.
5) 효과적인 활용방법
▶ 미리 칠판을 어떻게 사용할지 결정해야한다. 전체 칠판을 도화지라고 생각하고 계획하여 부분으로 나누어서 단계별로 사용한다. 즉, 요점 정리 부분과 요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자유로이 쓸 수 있는 부분을 나누어 사용한다.
▶ 글자와 그림은 학습자들이 잘 읽고 볼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한다.
▶ 학생들에게 등을 보이지 말고 학생들을 보고 말한다. 학습자가 교수의 입 모양을 보고 학생들과 시선을 맞추기 위해 등을 돌리게 되는 판서는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
▶ 교수의 위치는 칠판으로부터 학생들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서야 한다.
▶ 강의주제는 강의 전에 미리 판서하고 강의 요점은 강의 과정에 단계적으로 판서한다.
2. OHP(Overhead Projector)
1) 특성
OHP는 투시물(TP: transparencies)을 투사하는 매체로서 아세테이트 또는 셀로판 같은 투명자료에 전용필기 도구로 교수가 직접 기재하거나 TP용 복사기를 이용하여 인쇄자료를 복사하여 사용한다. OHP는 매우 사용하기 쉬운 매체이다. 약간의 연습만으로도 누구나 OHP를 사용해서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다.
2) 장점
사용이 비교적 쉽고 비용이 싸다. OHP는 한정된 수의 교사가 방대한 학습내용을 많은 학생들에게 한꺼번에 전달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교실의 조명을 끄지 않고도 크고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더욱이 OHP로 학습내용을 제시하며 교사가 학생들을 마주보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반응을 관찰하며 교수의 수업방식이나 속도를 조절시켜 나갈 수 있다.
3) 단점
OHP는 쉽게 준비할 수 때문에 강의 내용의 분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아 질 수 있고 강의 속도를 너무 가속화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강의 내용을 따라 가기 힘들고 학습자 입장에서 지루하거나 따분해 질 수 있다.
4) 잘못 사용된 예
강의 내용을 모두 OHP에 적어 그 내용을 강의 시간에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줄줄 읽어 내려간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OHP에 실린 내용을 다 필기 할 수도 없고 따라서 내용을 생각할 여유가 없고 설명을
추천자료
행정법 요약 정리(강의노트)
악학궤법 강의록
과학기술과 법 강의안- 인간배아줄기세포
과학기술과 법 강의안 3-Informed Consent 문제
전신반응교수법(TPR, 전신반응교육) 이론적 배경과 특징, 전신반응교수법(TPR, 전신반응교육)...
사회복지법과 사회복지 행정조직, 사회복지법의 법적 지위와 관련법, 사회복지사의 자격과 책...
영어교육(학습, 영어수업)의 특징과 필요성, 영어교육(학습, 영어수업)과 매체, 문화, 영어교...
[신소재 공학] 재료의 침탄실험 : 강의 표면을 경화하고 내부를 강인하게 하여 내마멸성을 갖...
아동미술강의 중에 구성된 다양한 미술기법중 하나를 선택하여 창의적으로응용한 수업계획과 ...
2015년 2학기 물권법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2학기 물권법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사회복지의 개념을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로 구분하여 설명 요약하되 강의 내용에 한정하지 ...
(관광창업론 공통) 관광진흥법에 의해 분류된 여러 종류의 관광사(기)업 중 학우 본인이 창업...
2017년 2학기 물권법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