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뼈대와 뼈대 조직
1) 연골
2) 뼈
2. 관절
1) 관절의 분류
2) 섬유관절
3) 연골관절
4) 윤활관절
3. 뼈대근육조직
1) 근육조직의 개요
2) 뼈대근육
4. 몸의 근육
1) 근육다발의 배열
2) 뼈대근육의 상호작용
1) 연골
2) 뼈
2. 관절
1) 관절의 분류
2) 섬유관절
3) 연골관절
4) 윤활관절
3. 뼈대근육조직
1) 근육조직의 개요
2) 뼈대근육
4. 몸의 근육
1) 근육다발의 배열
2) 뼈대근육의 상호작용
본문내용
혈관 : 윤활관절에는 관절주머니에 분포하는 많은 감각신경 섬유가 있다. 일부 섬유들은 관절 손상을 입었을 때 통증을 느끼게 하며, 관절주머니가 얼마나 긴장되었는가를 감시한다. 윤활관절은 풍부한 혈액공급을 받으며, 윤활막의 모세혈관에서 윤활액이 만들어진다.
2)윤활주머니와 건초
윤활주머니와 건초는 윤활액을 가지고 있으며, 운활제의 닫힌 주머니와 같은 구조는 서로의 다른 움직임에 관여하는 신체요소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윤활주머니는 윤활막에 의해 정렬된 섬유낭으로 편평하게 되어있다. 윤활주머니는 인대, 근육, 피부, 힘줄 또는 뼈들이 서로 겹쳐지거나 마찰되는 곳에 있다. 건초는 힘줄주위를 싸고 있는 긴 윤활주머니이다. 건초는 관절공간을 통해 이동할 때와 같이 마찰에 영향을 받거나 좁은통로 안에 있는 힘줄에만 존재한다.
3)윤활관절의 기능
윤활관절은 최소한의 마찰로 다른 뼈를 가로질러 움직이는 뼈를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정교하게 만들어진 윤활장치이다. 윤활관절은 일반적으로 뼈를 움직이는 근육들이 서로 뼈끝을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압력에 영향을 받는다. 반대쪽 관절연골이 맞닿으면 윤활액은 연골표면 사이에 윤활막을 형성하며, 밖으로 압착된다. 두 개의 움직이는 연골 표면은 이 미끄러운 막 위에 올라간다. 윤활액은 얼음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보다 적은 마찰로 표면에 작용하는 효과적인 윤활제이다. 관절의 압력이 멈출 때, 윤활액은 스폰지에 흡수되는 물과 같이 관절연골 안으로 빠르게 돌아가서 다음에 다시 관절주머니를 압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4) 윤활관절의 모양에 따른 분류
(1)평면관절(Plane Joint)
평면관절의 겉 부분은 편평하게 되어 있어 약간의 미끄러짐 운동이나 옮기는 운동만이 가능한 관절이다. 미끄러짐 관절로 알려져 있으며 발목뼈사이관절, 손목뼈사이관절과 척추의 관절돌기 사이에서 형성되는 관절들이 있다.
(2)경첩관절(Hinge Joint)
홈이 있는 관절머리와 이에 알맞은 다른 관절 사이에서 형성되는 관절이며, 경첩이 있는 문처럼 한 면으로만 각운동이 가능하다. 팔꿉관절, 발목관절, 손가락뼈 사이의 관절이 경첩관절에 해당된다. 경첩관절은 단축성 관절이다.
(3) 중쇠관절(Pivot Joint)
원판 모양의 관절머리에 맞는 관절오목과 주변에 둘러싸고 있는 인대로 이루어진 관절로서 하나의 긴축을 중심으로 도는 단축성 관절이다. 중쇠관절의 한 예로 몸쪽노자관절을 들 수 있다. 자뼈에 안전하게 붙어 있는 고리모양의 인대 안에서 노뼈는 머리가 회전한다. 고리뼈와 중쇠뼈의 돌기사이에서 형성되는 관절 또한 중쇠관절이다.
(4) 타원관절
달걀모양의 표면과 오목하게 패인 두 관절 사이에서 형성되는 관절이다. 융기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는 좌우와 앞뒤로 움직일 수 있으나 두 축을 중심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관절을 축관절이라 하며, 손허리손가락관절, 손목관절,이 이에 해당한다.
(5)안장관절
안장관절은 양쪽 관절이 안장처럼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을 갖고 있는 관절이다. 타원관절과 생긴 모습은 다르지만 같은 움직임을 보인다. 엄지손가락의 손목손허리관절이 안장관절의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관절의 구조가 엄지손가락의 맞섬을 가능하게 한다.
(6)절구관절
관절 머리가 둥근 모양이고 관절 오목은 오목하고 깊은 두 뼈가 만나 이루어지는 관절로서, 이들은 뭇축관절로 회전을 포함하여 모든 축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절구관절의 예로 어깨관절과 엉덩관절이 있다.
3. 뼈대근육조직
1. 근육조직의 개요
1. 기능
근육조직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1)움직임. 뼈대근육은 뼈대에 부착되며, 뼈들의 움직임으로 몸이 움직인다. 내장기관의 벽에 있는 근육은 이런 공동기관을 통한 다른 물질과 암축액에 의해서 움직임이 나타난다.
2)자세유지. 매번 뼈대근육은 끊임없이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수축을 하며 앉거나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3)관절 안정. 안정화시키는 것이 근육의 역할이고 관절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4)열 생산. 근육수축은 열을 생산하는데 생체에서 37℃의 정상 인체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근육조직은 다른 조직과 달리 특별한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1) 수축성. 한 가지 중요한 특성은 근육이 강하게 수축한다는 것이다. 근육세포는 수추기 짧고 강하게 끌어 당기는 힘이 일반적이다.
2) 흥분성. 신경자극 또는 다른 요소가 근육세포를 흥분 시키는데 세모팍을 라서 전기적인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3) 신전성. 근육세포는 반대쪽 근육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4) 탄력성. 신전 , 근육조직은 다시 안정시 길이로 회복될 수 있다.
2. 근육의 형태
근육조직의 종류는 3가지 형태가 있는데 뼈대근육, 심장근육, 민무늬근육이다. 이들은 2가지 주된 특성을 가진다. (1) 가로무늬의 유무와 (2)수의적 조절이 가능하는지, 불수의적 조절이 가능한지 여부이다.
가로무늬근육조직은 근육세포에서 가로방향으로 무늬가 펼쳐져 있는데, 근육조직을 조직학적으로 보면 관찰할 수가 있다. 민무니근육은 뚜렷한 띠를 갖고 있지 않다. 수의적 및 불수의적이란 근육조직의 지배를 언급한다. 수의적 근육조직은 수의적 운동신경에 의해 통제 조절되며 우리들은 의지대로 이 근육을 조절할 수 있따. 불수의적 근육조직은 신경계 불수의적 부분에 의해 지배되고 의식적으로 조절될 수 없다.
뼈대근육조직은 뼈대근육에 위치하고 뼈대를 움직이고 부착한다. 이 조직은 체중의 40%로 구성되어 있다. 뼈대군육조직의 세포는 가로무늬이고 수축은 수의적인 조절이 된다.
심장근육조직은 유일하게 심장의 벽에서 일어나고 가로무늬가 있지만 수축은 불수의적이며 정해진 속도로 수축한다. 심장박동을 빠르게 하는 의식적인 조절은 할 수 있다.
민무늬근육조직은 호홉기도, 혈관 방광, 위와 같은 심장보다 내부기관의 벽에서 발견된다. 민무늬근육세포는 가로무늬가 결핍되어 있고 심장근육조직과 같이 민무늬근육조직은 불수의적인 조절이다.
때때로 심장근육과 민무늬근육은 내장근육이라 하는데, 내장기관에서 발생되고 영향을 준다.
2. 뼈대근육
인체의 많은 뼈대근육은 모양이 크게 다르고 방기둥 형태의 원통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근
2)윤활주머니와 건초
윤활주머니와 건초는 윤활액을 가지고 있으며, 운활제의 닫힌 주머니와 같은 구조는 서로의 다른 움직임에 관여하는 신체요소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윤활주머니는 윤활막에 의해 정렬된 섬유낭으로 편평하게 되어있다. 윤활주머니는 인대, 근육, 피부, 힘줄 또는 뼈들이 서로 겹쳐지거나 마찰되는 곳에 있다. 건초는 힘줄주위를 싸고 있는 긴 윤활주머니이다. 건초는 관절공간을 통해 이동할 때와 같이 마찰에 영향을 받거나 좁은통로 안에 있는 힘줄에만 존재한다.
3)윤활관절의 기능
윤활관절은 최소한의 마찰로 다른 뼈를 가로질러 움직이는 뼈를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정교하게 만들어진 윤활장치이다. 윤활관절은 일반적으로 뼈를 움직이는 근육들이 서로 뼈끝을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압력에 영향을 받는다. 반대쪽 관절연골이 맞닿으면 윤활액은 연골표면 사이에 윤활막을 형성하며, 밖으로 압착된다. 두 개의 움직이는 연골 표면은 이 미끄러운 막 위에 올라간다. 윤활액은 얼음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보다 적은 마찰로 표면에 작용하는 효과적인 윤활제이다. 관절의 압력이 멈출 때, 윤활액은 스폰지에 흡수되는 물과 같이 관절연골 안으로 빠르게 돌아가서 다음에 다시 관절주머니를 압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4) 윤활관절의 모양에 따른 분류
(1)평면관절(Plane Joint)
평면관절의 겉 부분은 편평하게 되어 있어 약간의 미끄러짐 운동이나 옮기는 운동만이 가능한 관절이다. 미끄러짐 관절로 알려져 있으며 발목뼈사이관절, 손목뼈사이관절과 척추의 관절돌기 사이에서 형성되는 관절들이 있다.
(2)경첩관절(Hinge Joint)
홈이 있는 관절머리와 이에 알맞은 다른 관절 사이에서 형성되는 관절이며, 경첩이 있는 문처럼 한 면으로만 각운동이 가능하다. 팔꿉관절, 발목관절, 손가락뼈 사이의 관절이 경첩관절에 해당된다. 경첩관절은 단축성 관절이다.
(3) 중쇠관절(Pivot Joint)
원판 모양의 관절머리에 맞는 관절오목과 주변에 둘러싸고 있는 인대로 이루어진 관절로서 하나의 긴축을 중심으로 도는 단축성 관절이다. 중쇠관절의 한 예로 몸쪽노자관절을 들 수 있다. 자뼈에 안전하게 붙어 있는 고리모양의 인대 안에서 노뼈는 머리가 회전한다. 고리뼈와 중쇠뼈의 돌기사이에서 형성되는 관절 또한 중쇠관절이다.
(4) 타원관절
달걀모양의 표면과 오목하게 패인 두 관절 사이에서 형성되는 관절이다. 융기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는 좌우와 앞뒤로 움직일 수 있으나 두 축을 중심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관절을 축관절이라 하며, 손허리손가락관절, 손목관절,이 이에 해당한다.
(5)안장관절
안장관절은 양쪽 관절이 안장처럼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을 갖고 있는 관절이다. 타원관절과 생긴 모습은 다르지만 같은 움직임을 보인다. 엄지손가락의 손목손허리관절이 안장관절의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관절의 구조가 엄지손가락의 맞섬을 가능하게 한다.
(6)절구관절
관절 머리가 둥근 모양이고 관절 오목은 오목하고 깊은 두 뼈가 만나 이루어지는 관절로서, 이들은 뭇축관절로 회전을 포함하여 모든 축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절구관절의 예로 어깨관절과 엉덩관절이 있다.
3. 뼈대근육조직
1. 근육조직의 개요
1. 기능
근육조직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1)움직임. 뼈대근육은 뼈대에 부착되며, 뼈들의 움직임으로 몸이 움직인다. 내장기관의 벽에 있는 근육은 이런 공동기관을 통한 다른 물질과 암축액에 의해서 움직임이 나타난다.
2)자세유지. 매번 뼈대근육은 끊임없이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수축을 하며 앉거나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3)관절 안정. 안정화시키는 것이 근육의 역할이고 관절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4)열 생산. 근육수축은 열을 생산하는데 생체에서 37℃의 정상 인체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근육조직은 다른 조직과 달리 특별한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
1) 수축성. 한 가지 중요한 특성은 근육이 강하게 수축한다는 것이다. 근육세포는 수추기 짧고 강하게 끌어 당기는 힘이 일반적이다.
2) 흥분성. 신경자극 또는 다른 요소가 근육세포를 흥분 시키는데 세모팍을 라서 전기적인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3) 신전성. 근육세포는 반대쪽 근육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4) 탄력성. 신전 , 근육조직은 다시 안정시 길이로 회복될 수 있다.
2. 근육의 형태
근육조직의 종류는 3가지 형태가 있는데 뼈대근육, 심장근육, 민무늬근육이다. 이들은 2가지 주된 특성을 가진다. (1) 가로무늬의 유무와 (2)수의적 조절이 가능하는지, 불수의적 조절이 가능한지 여부이다.
가로무늬근육조직은 근육세포에서 가로방향으로 무늬가 펼쳐져 있는데, 근육조직을 조직학적으로 보면 관찰할 수가 있다. 민무니근육은 뚜렷한 띠를 갖고 있지 않다. 수의적 및 불수의적이란 근육조직의 지배를 언급한다. 수의적 근육조직은 수의적 운동신경에 의해 통제 조절되며 우리들은 의지대로 이 근육을 조절할 수 있따. 불수의적 근육조직은 신경계 불수의적 부분에 의해 지배되고 의식적으로 조절될 수 없다.
뼈대근육조직은 뼈대근육에 위치하고 뼈대를 움직이고 부착한다. 이 조직은 체중의 40%로 구성되어 있다. 뼈대군육조직의 세포는 가로무늬이고 수축은 수의적인 조절이 된다.
심장근육조직은 유일하게 심장의 벽에서 일어나고 가로무늬가 있지만 수축은 불수의적이며 정해진 속도로 수축한다. 심장박동을 빠르게 하는 의식적인 조절은 할 수 있다.
민무늬근육조직은 호홉기도, 혈관 방광, 위와 같은 심장보다 내부기관의 벽에서 발견된다. 민무늬근육세포는 가로무늬가 결핍되어 있고 심장근육조직과 같이 민무늬근육조직은 불수의적인 조절이다.
때때로 심장근육과 민무늬근육은 내장근육이라 하는데, 내장기관에서 발생되고 영향을 준다.
2. 뼈대근육
인체의 많은 뼈대근육은 모양이 크게 다르고 방기둥 형태의 원통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근
추천자료
[기초간호학 공통] 1. 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고, 4가지 과민반응별로...
2016년 간호학특론A형] 앤더슨이 제시한 의료이용 예측모형 설명.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 ...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공통] 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
[간호학과] [기초간호학 공통] 1.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
[기초간호학 공통] 1.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의 형태적 분...
[성인간호학 공통] 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간호학] 비약물적 통증관리
[간호학] 산소요법
[간호학]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간호학] 생물학적 치료 약물치료
[간호학] 용량조절 주입과 피기백
[간호학] 통증생리
[간호학] 혈액계 건강사정(노화에 따른 혈액계 변화)
[간호학] 활력징후의 개요와 호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