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07개정과 2009교육과정의 특징
① 2007개정교육과정 (7차와 비교하여)
② 2009교육과정의 특징
2) 07개정과 2009교육과정의 차이점
3)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고찰
Ⅲ.결론
Ⅱ.본론
1)07개정과 2009교육과정의 특징
① 2007개정교육과정 (7차와 비교하여)
② 2009교육과정의 특징
2) 07개정과 2009교육과정의 차이점
3)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고찰
Ⅲ.결론
본문내용
가지고 20% 증감을 하라고 하면서, 학급 담임이 학생들 수준에 따라 4학기 분량에서 재구성해 가르칠 수도 있게 하였다. 그런데 이런 구조라면 학급이 2년 단위로 운영되어야 한다. 즉 1-2, 3-4, 5-6학년을 같이 올라가야 2년간 배울 내용을 빠짐없이 융통성있게 배울 수 있고 교사도 연임을 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정작 현재 학급담임체제는 1년제로 개정이 되지 않았다. 이건 도대체 무슨 말인가? 현재 초등학교는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 때마다 같은 반 학생들은 다 뿔뿔이 흩어지고 담임도 바뀐다. 이는 교사가 일일이 각 반 담임을 찾아가 자기 반의 진도를 다 말해주면서 조정을 해야 한다. 이게 현실적으로 말이 되는가?
또한 교과의 통합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주고자 도입이 되었지만, 과연 진정으로 학생들을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든다. 주지교과들은 그대로 제시가 되었지만 음악, 미술, 실과같은 교과들을 통합해서 제시한다는 것은 그 교과의 주체성과 개별성이 무너지게 되고, 더 나아가 그 교과가 이수해야할 목표를 제대로 이루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나라에서는 선진국에서 하는 교육제도라고 홍보를 하고 있지만,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우리나라 현실에 맞춰 적용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라도 민주적인 의견수렴과 치밀한 연구가 뒷받침되었어야 하는데 2009개정교육과정은 이런 절차를 거쳤나 싶을 정도로 너무 엉망인 교육과정이 되어 버렸다.
Ⅲ. 결론
현재 현직에 있는 교사들조차 2009교육과정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도입반대를 주장을 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학생들에게 적용해야하는 교사가 반대하고 있는 교육과정. 과연 이것이 올바른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가?
2007개정교육과정이 발표 된지 2년째 접어들고 있다. 내년이면 2007개정교육과정이 5~6학년에게 적용이 된다. 그런데 이대로 2009교육과정이 시행된다면 엄청나게 많은 비용의 손실이 생겨나게 된다. 지금 교과서와 지도서가 시판되고 있는 시점에서 2~3년만에 교육과정을 바꾼다면 막대한 손해가 생길 것이 뻔하다. 이것만 문제라면 오히려 웃고 지나갈 수 있지만,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문제가 야기되어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큰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현직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하고 시급히 도입되는 교육과정. 진정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교육과정이 되어야 하는지 예비교사로서 우리는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의 통합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주고자 도입이 되었지만, 과연 진정으로 학생들을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든다. 주지교과들은 그대로 제시가 되었지만 음악, 미술, 실과같은 교과들을 통합해서 제시한다는 것은 그 교과의 주체성과 개별성이 무너지게 되고, 더 나아가 그 교과가 이수해야할 목표를 제대로 이루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나라에서는 선진국에서 하는 교육제도라고 홍보를 하고 있지만,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우리나라 현실에 맞춰 적용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라도 민주적인 의견수렴과 치밀한 연구가 뒷받침되었어야 하는데 2009개정교육과정은 이런 절차를 거쳤나 싶을 정도로 너무 엉망인 교육과정이 되어 버렸다.
Ⅲ. 결론
현재 현직에 있는 교사들조차 2009교육과정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도입반대를 주장을 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학생들에게 적용해야하는 교사가 반대하고 있는 교육과정. 과연 이것이 올바른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가?
2007개정교육과정이 발표 된지 2년째 접어들고 있다. 내년이면 2007개정교육과정이 5~6학년에게 적용이 된다. 그런데 이대로 2009교육과정이 시행된다면 엄청나게 많은 비용의 손실이 생겨나게 된다. 지금 교과서와 지도서가 시판되고 있는 시점에서 2~3년만에 교육과정을 바꾼다면 막대한 손해가 생길 것이 뻔하다. 이것만 문제라면 오히려 웃고 지나갈 수 있지만,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문제가 야기되어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큰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현직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하고 시급히 도입되는 교육과정. 진정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교육과정이 되어야 하는지 예비교사로서 우리는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7차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안의 방향 및 주요 개정 (8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말하는 것임)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성, 고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의 내용, ...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방향,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사회과(사회과교육) 교수학습의 모형,...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특성, 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목적,...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성격,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목표,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개정 ...
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특징과 성격, 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목표, 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개념, 제7차교육과정의 도입,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국어과교육][국어]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7차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기본방향, 개정내용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의미와 목표,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지도방법, 국어과...
[체육과 교육과정]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징, 체육과 교육과정의 성격,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
제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 비교초수교 7차와 개정비교
도덕(도덕과)교육과정의 특성과 목표, 도덕(도덕과)교육과정의 개정배경, 도덕(도덕과)교육과...
2008년 특수교육과정과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 -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리 파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