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능과 창의성
1) 지능의 개념
2) 창의성의 개념
2. 창의성을 지능의 한 요인으로 보는 이론들
1) 스피어만(Spearman)의 2요인설
2) 서스턴(Thurstone)의 다요인설
3) 길포드(Guilford)의 지능구조설
4)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3. 지능을 창의성의 한 요인으로 보는 이론들
1) 요소하위이론 : 지능과 내부세계와의 관계
가) 메타요소
나) 수행요소
다) 지식습득요소
2) 경험하위이론 : 지능과 경험 그리고 지식과의 관계
3) 상황하위이론 : 지능과 외부세계와의 관계
4) 기타 이론적 견해
가) 부르너(Bruner)와 프리브람(Pribram)의 견해
나) 고든(Gordon)의 견해
4. 지능과 창의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5. 결론
참고자료
1) 지능의 개념
2) 창의성의 개념
2. 창의성을 지능의 한 요인으로 보는 이론들
1) 스피어만(Spearman)의 2요인설
2) 서스턴(Thurstone)의 다요인설
3) 길포드(Guilford)의 지능구조설
4)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3. 지능을 창의성의 한 요인으로 보는 이론들
1) 요소하위이론 : 지능과 내부세계와의 관계
가) 메타요소
나) 수행요소
다) 지식습득요소
2) 경험하위이론 : 지능과 경험 그리고 지식과의 관계
3) 상황하위이론 : 지능과 외부세계와의 관계
4) 기타 이론적 견해
가) 부르너(Bruner)와 프리브람(Pribram)의 견해
나) 고든(Gordon)의 견해
4. 지능과 창의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5.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목차
1. 지능과 창의성
1) 지능의 개념
2) 창의성의 개념
2. 창의성을 지능의 한 요인으로 보는 이론들
1) 스피어만(Spearman)의 2요인설
2) 서스턴(Thurstone)의 다요인설
3) 길포드(Guilford)의 지능구조설
4)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3. 지능을 창의성의 한 요인으로 보는 이론들
1) 요소하위이론 : 지능과 내부세계와의 관계
가) 메타요소
나) 수행요소
다) 지식습득요소
2) 경험하위이론 : 지능과 경험 그리고 지식과의 관계
3) 상황하위이론 : 지능과 외부세계와의 관계
4) 기타 이론적 견해
가) 부르너(Bruner)와 프리브람(Pribram)의 견해
나) 고든(Gordon)의 견해
4. 지능과 창의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5. 결론
참고자료
지능과 창의성
지능의 개념
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비교·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능과 창의성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능이란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로서, 오늘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다. 하지만 막상 지능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지면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학자들 역시 지능의 과학적 정의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였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지능연구의 창시자는 1897년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에 심리실험실을 처음으로 만든 분트(Wundt)로서, 분트는 인간의 지능이 감각과 주의력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인간이 갖고 있는 능력의 일반 법칙을 찾으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능이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다음은 주요 학자들이 정의내린 지능의 개념을 요약한 것이다.
학자
정의
Binet
일정한 방향을 취하고 그것을 유지하려는 경향성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적응하려는 능력
Terman
추상적 사고를 수행하는 능력
Wechsler
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환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총합적인 또는 전체적인 가능성
Stern
사고를 작용시켜 새로운 요구에 의식적으로 적응하는 일반적 능력
Freeman
경험에 의한 학습능력
Allport
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Stoddard
곤란도, 복잡성, 추상성, 속도, 적응도, 사회적 가치, 독창적 발현의 특성이 내포된 행동을 수행하는 능력
Thorndike
진리 혹은 사실의 관점으로부터의 훌륭한 반응력
Colvin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학습한 것 또는 그 학습능력
Pintner
생활에서 비교적 새로운 장면에 대한 적응능력
Henmon
아는 능력과 소유하고 있는 지식
Perterson
자극들의 복잡성의 효과들을 한데 모아서, 행동에 있어서 다소 단일 효과를 가져 오게 하는 생물학적 기제
Dearborn
경험에 의한 학습능력 또는 이해능력
이렇듯 지능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지금까지 지능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결론지을 수 있는 공통된 사실은, 지능이란 하나의 요인으로만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며, 대체로 지능을 복합적인 정신기능, 새로운 사태에 대한 적응능력 또는 문제해결 능력으로 보고 있다는 것
1. 지능과 창의성
1) 지능의 개념
2) 창의성의 개념
2. 창의성을 지능의 한 요인으로 보는 이론들
1) 스피어만(Spearman)의 2요인설
2) 서스턴(Thurstone)의 다요인설
3) 길포드(Guilford)의 지능구조설
4)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3. 지능을 창의성의 한 요인으로 보는 이론들
1) 요소하위이론 : 지능과 내부세계와의 관계
가) 메타요소
나) 수행요소
다) 지식습득요소
2) 경험하위이론 : 지능과 경험 그리고 지식과의 관계
3) 상황하위이론 : 지능과 외부세계와의 관계
4) 기타 이론적 견해
가) 부르너(Bruner)와 프리브람(Pribram)의 견해
나) 고든(Gordon)의 견해
4. 지능과 창의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5. 결론
참고자료
지능과 창의성
지능의 개념
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비교·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능과 창의성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능이란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로서, 오늘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다. 하지만 막상 지능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지면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학자들 역시 지능의 과학적 정의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였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지능연구의 창시자는 1897년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에 심리실험실을 처음으로 만든 분트(Wundt)로서, 분트는 인간의 지능이 감각과 주의력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인간이 갖고 있는 능력의 일반 법칙을 찾으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능이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다음은 주요 학자들이 정의내린 지능의 개념을 요약한 것이다.
학자
정의
Binet
일정한 방향을 취하고 그것을 유지하려는 경향성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적응하려는 능력
Terman
추상적 사고를 수행하는 능력
Wechsler
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환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총합적인 또는 전체적인 가능성
Stern
사고를 작용시켜 새로운 요구에 의식적으로 적응하는 일반적 능력
Freeman
경험에 의한 학습능력
Allport
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Stoddard
곤란도, 복잡성, 추상성, 속도, 적응도, 사회적 가치, 독창적 발현의 특성이 내포된 행동을 수행하는 능력
Thorndike
진리 혹은 사실의 관점으로부터의 훌륭한 반응력
Colvin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학습한 것 또는 그 학습능력
Pintner
생활에서 비교적 새로운 장면에 대한 적응능력
Henmon
아는 능력과 소유하고 있는 지식
Perterson
자극들의 복잡성의 효과들을 한데 모아서, 행동에 있어서 다소 단일 효과를 가져 오게 하는 생물학적 기제
Dearborn
경험에 의한 학습능력 또는 이해능력
이렇듯 지능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지금까지 지능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결론지을 수 있는 공통된 사실은, 지능이란 하나의 요인으로만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며, 대체로 지능을 복합적인 정신기능, 새로운 사태에 대한 적응능력 또는 문제해결 능력으로 보고 있다는 것
키워드
추천자료
(A+)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을 설명하고, 그...
(A+ 레포트, 교육심리학)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