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피디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키피디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Ⅱ본론

1. 위키피디아의 소개 & 연혁
2. 사이트의 신·구 질서의 비교
3. 사회적·문화적·경제적 행태가 변화하는 과정
1) 위키 백과의 ‘협업(collaboration)’으로 본
사회적․경제적 흐름
2) 위키 백과로 인한 문화적 흐름의 사례
4. 이슈
1)네이버VS위키피디아
2)경제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중립 고수
3)법률, 의료, 명예훼손 관련한 법적 책임의 면책
5. 미래 발전상과 한계점
1)발전상
①전자민주주의
②위키 프로그램의 발전
2)한계점
①위키피디아의 한계와 대안 사이트
②한국에서 고전 이유

본문내용

위키피디아를 떠날 겁니다. 위키피디아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을 하자는 공감대에서 만들어졌습니다.”라고 말하며 비영리로 운영한다는 고집을 꺾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위키피디아는 논쟁의 사안에 대하여 어느 쪽의 입장도 취하지 않고 중립의 자세를 표방한다.
위키피디아의 중립의 예 Weekly BIZ 2008년 4월 26~27일 조선일보 土日섹션 호경업 산업부 기자
를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 사이의 독도냐 다케시마냐 명칭을 놓고 갈등을 벌이는 상황 안에서 영어판 위키피디아의 독도 명칭은 ‘Liancourt Rocks(리앙쿠르 암초)\' 1849년 프랑스 포경선 리앙쿠르 호가 독도를 발견하고 지은 이름
로 되어있다. Dokdo(독도)나 Takeshima(다케시마)를 입력해도 Liancourt Rocks로 자동 연결된다. 그 이유는 영문판 위키피디아는 ‘글로벌 영어 권력’을 상징하고, 250개의 언어로 제공되는 위키피디아의 핵심이며 백미(白眉)이기 때문에 더욱 중립을 표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위키피디아의 운영 원칙은 언론과 유사성을 갖는다.
3) 법률, 의료, 명예훼손 관련한 법적 책임의 면책
위키피디아는 사용자들이 만드는 커뮤니티이다. 따라서 절대 진리는 아니다. 그렇기에 엉터리 정보들이 난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앙일보>는 지난 4월 24일 버지니아 문리대 학장으로 임명된 우정은(49, 미국명 메리디스 정은 우) 미시간대 교수를 저명한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의 딸로 잘못 보도한 일이 있었다. 특히 <중앙일보>는 부정확한 내용의 진원지로 무료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를 지목했는데, \"25일 무료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우 교수 항목에는 \'한국에서 그녀는 유명한 농학자이자 식물학자인 우장춘 박사의 딸로 잘 알려져 있다\'라고, 우 박사 항목에는 \'그의 딸 우정은씨가 역사학자 브루스 커밍스의 부인이다\'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내용은 26일 삭제됐습니다. 이 인터넷 사건은 이용자들이 수시로 내용을 수정해 올릴 수 있어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여과없이 실릴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간과, 이런 실수를 하게 됐습니다.\"라고 오보 정정기사를 실었다. 결국 <중앙일보>의 대형오보는 잘못된 정보를 수록한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했다는 얘기다. \'우장춘 박사 딸 <중앙> 오보, 위키피디아가 제공했다\' 2008년 4월 28일 ohmynews 구영식
하지만 콘텐츠를 스스로 생산하지 않는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에게 면책 받을 여지를 두고 있는 미국의 ‘연방 통신 품위법(Communications Decency Act)’에 의해서 위키피디아는 위의 명예훼손과 관련해 법적 책임을 면할 가능성이 많다. 뉴욕타임즈 닷컴(NYtimes.co
m)이나 CNN닷컴(CNN.com)과 같은 언론매체와 달리 위키피디아는 콘텐츠를 스스로 생산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법률, 의료와 같은 전문분야에 관해서도 해당 전문가들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다고 미리 고지를 해둠으로써 공적 책임성을 면하고 있다.
5. 미래 발전상과 한계점
1)발전상
①전자민주주의 대안 한국의 전자민주주의 현황과 전개방향 - 백경재 논문 중 -
산업사회에는 소수 엘리트 집단에게만 주어졌던 정치적 권한이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국민 모두가 국가의 의사결정자로서 활동할 수 있는 전자민주주의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여기에서 전자민주주의라 함은 전자정보기술을 통하여 정치과정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민주주의로서 시민개개인은 의제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자신의 결정을 내리고 정책결정과 관련된 정보와 의견전달을 돕는 의사소통기술의 운용을 의미한다.
위키피디아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이슈나 정책현안과 관련해서 글을 쓰고 고칠 수가 있다. 정치관련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소소한 일들까지 백과사전으로 기재됨으로써 오랜 전통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과 견주어 뒤지지 않는다. 오히려 하루하루 새로운 정보가 생성되고 기존의 내용에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그 영향력이 더 막대하다. 이러한 참여공유개방을 통해서 다양한 구성원의 참여, 분산되고 개방적인 의사 결정 구조와 구성원의 의견에 영향 받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네티즌들은 정치적 현안에 대해 좀 더 깊은 관심과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과거 자신의 권한을 소수 엘리트들에게 위임하였다면 현재는 그들과 인터넷 토론장 속에서 열띤 논쟁을 벌이며 서로가 영향을 주고받는 쌍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0.1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