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의 의의
Ⅲ.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의 선행연구
Ⅳ.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OHP
Ⅴ.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비디오
1. 비디오
2. 학습 과정
3. 사용 되는 곳
4. 설치 방법
1) 연결에 필요한 부속품
2) 일반 TV와 비디오 연결 및 사용법
3) TV 프로그램 녹화 방법
4) 비디오 두 대로 테이프를 복사하는 방법
5. 평가
Ⅵ.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LCD프로젝터
1. LCD 프로젝터의 설치
1) 프로젝터의 설치 유형
2) 프로젝터의 기기별 연결법
2. 프로젝터의 사용 시 관리 및 주의사항
Ⅶ.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컴퓨터프로젝션
Ⅷ.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대형모니터
1. 38인치 대형모니터의 연결법
1) 대형 모니터와 교내방송(일반방송)의 연결
2) 대형 모니터와 비디오 장치의 연결
3) 대형 모니터와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연결
2. 대형모니터(38인치)와 기기들의 전체 연결법
1) 대형 모니터와 컴퓨터의 연결
2) 대형 모니터와 비디오 장치의 연결
3) 대형 모니터와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연결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의 의의
Ⅲ.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의 선행연구
Ⅳ.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OHP
Ⅴ.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비디오
1. 비디오
2. 학습 과정
3. 사용 되는 곳
4. 설치 방법
1) 연결에 필요한 부속품
2) 일반 TV와 비디오 연결 및 사용법
3) TV 프로그램 녹화 방법
4) 비디오 두 대로 테이프를 복사하는 방법
5. 평가
Ⅵ.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LCD프로젝터
1. LCD 프로젝터의 설치
1) 프로젝터의 설치 유형
2) 프로젝터의 기기별 연결법
2. 프로젝터의 사용 시 관리 및 주의사항
Ⅶ.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컴퓨터프로젝션
Ⅷ.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대형모니터
1. 38인치 대형모니터의 연결법
1) 대형 모니터와 교내방송(일반방송)의 연결
2) 대형 모니터와 비디오 장치의 연결
3) 대형 모니터와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연결
2. 대형모니터(38인치)와 기기들의 전체 연결법
1) 대형 모니터와 컴퓨터의 연결
2) 대형 모니터와 비디오 장치의 연결
3) 대형 모니터와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연결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② 비디오 전원을 확인한다.
③ 비디오 기기의 RF 입력을 출력에 바꾸어 연결하였는지 확인한다.
④ RCA 케이블의 단선 유무를 확인한다(교체사용 점검).
⑤ 프로젝터의 선택버튼이 비디오(VIDEO)에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프로젝터의 사용 시 관리 및 주의사항
① 프로젝터의 사용 시 화면출력 상태에서 본체를 상하로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할로겐 램프의 경우 수명을 단축시킨다.
② 사용이 끝난 후 전원코드를 곧바로 뽑지 않는다(프로젝터를 완전히 냉각을 시킨 후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③ 떨어뜨리거나 강한 충격을 가해서는 안 된다(떨어뜨리는 경우 파손 및 액정의 손상을 가져온다).
④ 액정 판넬에 먼지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임의로 분해 조립을 해서는 안 된다.
⑤ 프로젝터가 지원하는 해상도와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게 연결해서는 안 된다(이상의 대역폭을 입력하는 경우 프로젝터 화면의 왜곡 현상이나 굴곡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정상적인 화면을 볼 수가 없다).
⑥ 휘거나 구부러진 RGB 케이블 사용을 억제하여야 한다(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준다).
⑦ 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 노트북 설정을 정확히 하여야 한다(노트북의 경우 기능 버튼을 이용한 출력을 하기 때문에 고장이 아닌 경우도 고장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Ⅶ.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컴퓨터프로젝션
→ 교육 시, 조명과 지시봉을 잘 활용한다.
→ 방을 어둡게 만들어야 훈련 참가자들이 투사된 내용을 잘 볼 수가 있다.
→ 무선 마우스와 지시 화살표를 이용하면 훈련 동안 도구를 리얼 타임으로 제작할 때, 참가자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가 있다.
→ 회합 전에 충분한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Ⅷ.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대형모니터
1. 38인치 대형모니터의 연결법
1) 대형 모니터와 교내방송(일반방송)의 연결
① RF 단자의 교내방송 케이블을 디코더의 RF(안테나)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② 디코더의 RGB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더의 모니터 출력과 대형 모니터의 RGB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③ AUDIO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더의 스피커 출력 단자와 대형모니터 AUDIO(좌우) 입력에 연결한다.
④ 대형모니터, 디코더의 전원을 연결한 후 디코더 POWER를 켠다.
⑤ 디코더 리모콘으로 채널을 선택한다.
⑥ 화면이 떨리는 경우 리모콘의 “SYNC”기능 버튼을 선택한다.
2) 대형 모니터와 비디오 장치의 연결
① RCA 케이블을 이용하여 비디오 장치의 영상출력과 디코더의 VIDEO IN 단자와 연결한다.
② RCA 케이블을 이용하여 비디오 장치의 음성출력과 디코더의 AUDIO IN 단자와 연결한다.
③ 디코더의 RGB 케이블을 이용하여 대형모니터의 RGB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④ AUDIO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더의 스피커 단자와 대형모니터 AUDIO(좌우) 단자에 연결한다.
⑤ 디코더 리모콘을 비디오1로 선택한다(순서 : TV모드, VIDEO 모드, S-VHS 모드 혹은 AUTO).
⑥ 비디오의 전원을 ON 한 후 재생 버튼을 선택한다.
⑦ 화면이 떨리는 경우 리모콘의 “SYNC” 기능 버튼을 누른다.
3) 대형 모니터와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연결
① RCA 케이블을 이용하여 실물화상기의 영상출력과 디코더의 VIDEO IN 단자를 연결한다.
② RCA 케이블을 이용하여 실물화상기의 음성출력과 디코더의 AUDIO IN 단자를 연결한다.
③ 디코더의 RGB 케이블을 이용하여 대형모니터의 RGB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④ AUDIO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더의 스피커 단자와 대형모니터 AUDIO(좌우) 단자에 연결한다.
⑤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전원을 ON한 후 본체를 선택한다.
2. 대형모니터(38인치)와 기기들의 전체 연결법
교육정보화 기기는 교실에서 수업을 할 경우 화면 확대 장치를 통해 학생들에게 교육물을 제시한다.
1) 대형 모니터와 컴퓨터의 연결
① 컴퓨터의 VGA 카드와 디코더의 VGA IN 단자를 연결한다.
② 디코더의 VGA OUT과 대형모니터의 VGA IN 단자를 연결한다.
③ 대형모니터의 VGA OUT과 컴퓨터 모니터(15인치)를 연결한다.
④ 컴퓨터의 사운드와 디코더의 PC입력 사운드를 연결한다.
⑤ 디코더의 스피커 OUT과 대형모니터의 AUDIO IN을 연결한다.
2) 대형 모니터와 비디오 장치의 연결
① 비디오 영상출력(RCA)과 디코더의 VIDEO IN 단자를 연결한다.
② 비디오 음성출력(RCA)과 디코더의 AUDIO IN 단자를 연결한다.
3) 대형 모니터와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연결
실물화상기의 S-VHS와 디코더의 S-VHS를 연결한다.
Ⅸ. 결론 및 제언
정부는 교육 정보화 사업을 실행하면서,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서 정보화의 물적 기반 구축은 어느 정도 완료되었다고 선언한 바 있다. 각 학교에 보급된 초고속 인터넷망과 펜티엄급 이상의 컴퓨터들은 교육 공동체의 성숙한 정보화 마인드와 높은 활용 능력과 결합할 때, 엄청난 교육적 효과를 낳게 될 것이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 정보 통신 관련 기술의 발전 속도는 빛의 속도에 비유될 정도로 엄청나며, 어느 시점에서의 최신(혹은 가용한) 기술 및 장비가 순식간에 폐기물로 전락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항시 가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하나의 시점을 기준으로 정보화 관련 물적 기반의 구축이 완료되었는가 혹은 그렇지 못한가를 논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기도 하다. 현장에 쏟아 부어졌던 엄청난 물량은 조만간 유지 보수, 업그레이드, 폐기 등을 위하여 그 만큼의 비용을 요구하게 될 것이며, 물적 기반 구축 완료의 축배를 채 다 마시기도 전인 우리에게 다시 한번 커다란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석 /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1
김용성 / 컴퓨터교육의 활성화 방안, 수도교육, 1990
나일주 / 컴퓨터를 통한 수업과 학습, 교육진흥, 1990
노태남 외 3인 / 컴퓨터와 정보사회, 서울 : 정익사, 1990
이용남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 교육과학사, 1991
허운나 / 컴퓨터 보조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1권1호, 1985
② 비디오 전원을 확인한다.
③ 비디오 기기의 RF 입력을 출력에 바꾸어 연결하였는지 확인한다.
④ RCA 케이블의 단선 유무를 확인한다(교체사용 점검).
⑤ 프로젝터의 선택버튼이 비디오(VIDEO)에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프로젝터의 사용 시 관리 및 주의사항
① 프로젝터의 사용 시 화면출력 상태에서 본체를 상하로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할로겐 램프의 경우 수명을 단축시킨다.
② 사용이 끝난 후 전원코드를 곧바로 뽑지 않는다(프로젝터를 완전히 냉각을 시킨 후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③ 떨어뜨리거나 강한 충격을 가해서는 안 된다(떨어뜨리는 경우 파손 및 액정의 손상을 가져온다).
④ 액정 판넬에 먼지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임의로 분해 조립을 해서는 안 된다.
⑤ 프로젝터가 지원하는 해상도와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게 연결해서는 안 된다(이상의 대역폭을 입력하는 경우 프로젝터 화면의 왜곡 현상이나 굴곡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정상적인 화면을 볼 수가 없다).
⑥ 휘거나 구부러진 RGB 케이블 사용을 억제하여야 한다(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준다).
⑦ 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 노트북 설정을 정확히 하여야 한다(노트북의 경우 기능 버튼을 이용한 출력을 하기 때문에 고장이 아닌 경우도 고장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Ⅶ.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컴퓨터프로젝션
→ 교육 시, 조명과 지시봉을 잘 활용한다.
→ 방을 어둡게 만들어야 훈련 참가자들이 투사된 내용을 잘 볼 수가 있다.
→ 무선 마우스와 지시 화살표를 이용하면 훈련 동안 도구를 리얼 타임으로 제작할 때, 참가자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가 있다.
→ 회합 전에 충분한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Ⅷ. 교육기기(학습도구, 교구) 대형모니터
1. 38인치 대형모니터의 연결법
1) 대형 모니터와 교내방송(일반방송)의 연결
① RF 단자의 교내방송 케이블을 디코더의 RF(안테나)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② 디코더의 RGB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더의 모니터 출력과 대형 모니터의 RGB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③ AUDIO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더의 스피커 출력 단자와 대형모니터 AUDIO(좌우) 입력에 연결한다.
④ 대형모니터, 디코더의 전원을 연결한 후 디코더 POWER를 켠다.
⑤ 디코더 리모콘으로 채널을 선택한다.
⑥ 화면이 떨리는 경우 리모콘의 “SYNC”기능 버튼을 선택한다.
2) 대형 모니터와 비디오 장치의 연결
① RCA 케이블을 이용하여 비디오 장치의 영상출력과 디코더의 VIDEO IN 단자와 연결한다.
② RCA 케이블을 이용하여 비디오 장치의 음성출력과 디코더의 AUDIO IN 단자와 연결한다.
③ 디코더의 RGB 케이블을 이용하여 대형모니터의 RGB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④ AUDIO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더의 스피커 단자와 대형모니터 AUDIO(좌우) 단자에 연결한다.
⑤ 디코더 리모콘을 비디오1로 선택한다(순서 : TV모드, VIDEO 모드, S-VHS 모드 혹은 AUTO).
⑥ 비디오의 전원을 ON 한 후 재생 버튼을 선택한다.
⑦ 화면이 떨리는 경우 리모콘의 “SYNC” 기능 버튼을 누른다.
3) 대형 모니터와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연결
① RCA 케이블을 이용하여 실물화상기의 영상출력과 디코더의 VIDEO IN 단자를 연결한다.
② RCA 케이블을 이용하여 실물화상기의 음성출력과 디코더의 AUDIO IN 단자를 연결한다.
③ 디코더의 RGB 케이블을 이용하여 대형모니터의 RGB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④ AUDIO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더의 스피커 단자와 대형모니터 AUDIO(좌우) 단자에 연결한다.
⑤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전원을 ON한 후 본체를 선택한다.
2. 대형모니터(38인치)와 기기들의 전체 연결법
교육정보화 기기는 교실에서 수업을 할 경우 화면 확대 장치를 통해 학생들에게 교육물을 제시한다.
1) 대형 모니터와 컴퓨터의 연결
① 컴퓨터의 VGA 카드와 디코더의 VGA IN 단자를 연결한다.
② 디코더의 VGA OUT과 대형모니터의 VGA IN 단자를 연결한다.
③ 대형모니터의 VGA OUT과 컴퓨터 모니터(15인치)를 연결한다.
④ 컴퓨터의 사운드와 디코더의 PC입력 사운드를 연결한다.
⑤ 디코더의 스피커 OUT과 대형모니터의 AUDIO IN을 연결한다.
2) 대형 모니터와 비디오 장치의 연결
① 비디오 영상출력(RCA)과 디코더의 VIDEO IN 단자를 연결한다.
② 비디오 음성출력(RCA)과 디코더의 AUDIO IN 단자를 연결한다.
3) 대형 모니터와 실물화상기(캠코더)의 연결
실물화상기의 S-VHS와 디코더의 S-VHS를 연결한다.
Ⅸ. 결론 및 제언
정부는 교육 정보화 사업을 실행하면서,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서 정보화의 물적 기반 구축은 어느 정도 완료되었다고 선언한 바 있다. 각 학교에 보급된 초고속 인터넷망과 펜티엄급 이상의 컴퓨터들은 교육 공동체의 성숙한 정보화 마인드와 높은 활용 능력과 결합할 때, 엄청난 교육적 효과를 낳게 될 것이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 정보 통신 관련 기술의 발전 속도는 빛의 속도에 비유될 정도로 엄청나며, 어느 시점에서의 최신(혹은 가용한) 기술 및 장비가 순식간에 폐기물로 전락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항시 가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하나의 시점을 기준으로 정보화 관련 물적 기반의 구축이 완료되었는가 혹은 그렇지 못한가를 논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기도 하다. 현장에 쏟아 부어졌던 엄청난 물량은 조만간 유지 보수, 업그레이드, 폐기 등을 위하여 그 만큼의 비용을 요구하게 될 것이며, 물적 기반 구축 완료의 축배를 채 다 마시기도 전인 우리에게 다시 한번 커다란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석 /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1
김용성 / 컴퓨터교육의 활성화 방안, 수도교육, 1990
나일주 / 컴퓨터를 통한 수업과 학습, 교육진흥, 1990
노태남 외 3인 / 컴퓨터와 정보사회, 서울 : 정익사, 1990
이용남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 교육과학사, 1991
허운나 / 컴퓨터 보조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1권1호, 1985
추천자료
평생교육(평생학습)의 범주, 평생교육(평생학습)의 개념, 평생교육(평생학습)의 특성, 평생교...
[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아지도][학습장애][특수교육]학습장애의 개념, 학습장애아동의 특...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 수업)의 정의와 종류,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 수업) 편성운...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의 유형과 필요성,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선행연구...
음악과교육 창작활동중심학습(창작수업)의 필요성과 실태, 음악과교육 창작활동중심학습(창작...
도덕과교육 대화학습(대화수업, 대화교육)의 의미, 도덕과교육 대화학습(대화수업, 대화교육)...
국어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수학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과학과...
성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인성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일상생활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수학과교육 팀보조개별학습과 수준별학습자료(수업자료), 수학과교육 도형학습과 놀이학습자...
사회과교육 탐구학습, 사회과교육 집단탐구학습, 사회과교육 ICT활용학습, 사회과교육 문제해...
음악과교육 보고부르기학습의 중요성, 음악과교육 보고부르기학습의 기능, 음악과교육 보고부...
음악과교육 창작학습지도(창작교육)의 내용체계, 음악과교육 창작학습지도(창작교육)의 효과,...
음악과교육 창작학습지도(창작교육) 필요성과 내용, 음악과교육 창작학습지도(창작교육) 단계...
미술과교육 창의적학습의 중요성, 미술과교육 창의적학습 기본요소, 미술과교육 창의적학습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