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직소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의 의미
Ⅲ. 직소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의 구성
1. 특별히 고안된 학습 자료
2. 소집단 리더
3. 소집단
4. 전문가 집단
5. 개인적 평가와 보상
Ⅳ. 직소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의 유형별 단계
Ⅴ. 직소우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
Ⅵ. 직소우Ⅱ(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
1. JigsawⅡ의 수업 절차
2. JigsawⅡ가 JigsawⅠ과 다른 점
Ⅶ. 직소우Ⅲ(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
1. 도입(getting started)
2. 모집단 활동(home teams convene)
1) 집단의 조직(arranging students)
2) 역할의 부여와 설명(describing the roles)
3) 단원의 소개(introducing the unit)
4) 학습과제와 역할의 점검(reviewing task and role)
3. 전문가 활동(expert groups convene)
1) 전문가 집단 조직(forming expert groups)
2) 전문가 과제의 수행(completing their expert-group tasks)
3) 순회 지도(circulating)
4) 격려(assisting students)
4. 모집단의 재소집(home team reconvene)
1) 모집단의 재소집 지시(returning their home team)
2) 전체 학급 단위의 요약(whole-class summary)
3) 협력적 기능의 점검(debriefing the collaborative skills)
5. 휴식기(interim period)
6. 평가 대비를 위한 모집단의 재소집(home team reconvene as cooperative test review teams)
7. 평가와 추수 지도(post-home-group activities including individual test taking and feedback)
1) 시험(test)
2) 평가(assess)
3) 보상(reward)
Ⅷ. 직소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의 실천 과제
1. 주제 배분과 학습 자료의 준비
2. 전문가 집단 활동
3. 보고서 작성의 문제
참고문헌
Ⅱ. 직소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의 의미
Ⅲ. 직소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의 구성
1. 특별히 고안된 학습 자료
2. 소집단 리더
3. 소집단
4. 전문가 집단
5. 개인적 평가와 보상
Ⅳ. 직소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의 유형별 단계
Ⅴ. 직소우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
Ⅵ. 직소우Ⅱ(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
1. JigsawⅡ의 수업 절차
2. JigsawⅡ가 JigsawⅠ과 다른 점
Ⅶ. 직소우Ⅲ(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
1. 도입(getting started)
2. 모집단 활동(home teams convene)
1) 집단의 조직(arranging students)
2) 역할의 부여와 설명(describing the roles)
3) 단원의 소개(introducing the unit)
4) 학습과제와 역할의 점검(reviewing task and role)
3. 전문가 활동(expert groups convene)
1) 전문가 집단 조직(forming expert groups)
2) 전문가 과제의 수행(completing their expert-group tasks)
3) 순회 지도(circulating)
4) 격려(assisting students)
4. 모집단의 재소집(home team reconvene)
1) 모집단의 재소집 지시(returning their home team)
2) 전체 학급 단위의 요약(whole-class summary)
3) 협력적 기능의 점검(debriefing the collaborative skills)
5. 휴식기(interim period)
6. 평가 대비를 위한 모집단의 재소집(home team reconvene as cooperative test review teams)
7. 평가와 추수 지도(post-home-group activities including individual test taking and feedback)
1) 시험(test)
2) 평가(assess)
3) 보상(reward)
Ⅷ. 직소우(JIGSAW, 과제분담학습)협동학습의 실천 과제
1. 주제 배분과 학습 자료의 준비
2. 전문가 집단 활동
3. 보고서 작성의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해야 할 주제를 나눈 후에 교사는 학생들이 해야 할 활동과 질문을 제시하는 전문지(Expert sheet)를 개발해야 하고, 제시한 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이것은 학생들이 학습할 과제를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사의 능력이다.
전문지에는 자기가 맡은 소주제에 대해서 학생들 수준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노력할 유인책이 되도록 흥미도 부여하고 장애물도 적당히 부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제별로 조사탐구 활동, 책읽기, 컴퓨터 모의 실험, CAI 프로그램 적용, 비디오 보기, 실험 해보기와 같은 해야 할 일을 전문지에 구체적으로 정해 주고, 질문 형태로 주제의 줄거리를 제시하여야 한다.
한편 전문조가 부차적 논제를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학습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전문지 제작과 자료 준비에서 교사의 창의성이 발휘되는 것이다.
2. 전문가 집단 활동
모집단의 구성은 가능한 성별, 학습 능력 등을 기준으로 이질 집단으로 구성해야 하나 꼭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모집단에서 구성원이 공부할 주제를 충분히 인식하고 주제의 분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안내해야 한다. 집단 활동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전문가 집단과 모집단에서 얼마나 활기찬 토론이 이루어지는가? 또 얼마나 질서를 유지하는가\"하는 것은 학습의 효율화를 결정하는 요인이다. 그러므로 토론이나 발표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브레인스토밍 법 등 의사 결정 요령을 익혀야 하며 조장이 이를 짤 이끌어 조정되어야 한다. 전문가로서 각자의 주제의 공부가 끝나면, 다른 모집단에서 같은 주제를 공부한 전문조끼리 모이는 전문가 집단으로 모인다.
여기서 각자 공부한 내용을 검토하고 토론에 의해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서로 보완하여 소주제의 내용을 충분히 학습한 다음에 모집단에서 발표할 내용을 요약 정리하게 된다.
여기서의 활동에서 각자가 모집단의 구성원에게 발표할 간단한 자료와 지도 자료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전문조가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부과된 주제에 대해서 충분히 공부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하고, 전문가 집단에서 활기찬 토론이 이루어져 자기가 공부한 내용을 발표할 방법을 모색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모집단의 구성원들이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도 고려해 보도록 안내해야 한다.
3. 보고서 작성의 문제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하여 모집단에서 자기가 공부한 내용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하는가?\" 하는 문제는 학습 목표에 얼마큼 도달할 수 있는가를 결정해 준다.
전문가 집단에서의 활동이 끝나면 학생들은 원래의 팀으로 돌아간 후에 전문가들은 주제를 팀원에게 가르칠 책임성이 있다.
학생들이 다양한 교수법을 이용하도록 장려하면 그들은 자기 생각을 자기 나름대로 표현할 것이다. 보고서를 읽거나 컴퓨터, 괘도, OHP 자료, 슬라이드 자료, 또는 참고 도서, 복사 자료를 보여주며 생각한 바를, 요약된 글, 사진, 도해, 도표, 그림으로 설명한다.
팀원들이 보고서를 토의하고 질문하도록 하면 각 팀원들은 다른 소주제에 관해 배우게 될 것이다. 전문가들이 각 팀에 보고할 때에는 짧은 학급 토의나 질의 응답을 수행케 하고 전문가가 자기 주제에서 간단한 문제를 만들어 조원에게 답하게 한다.
간단한 퀴즈 문제는 각자의 학습을 충실하게 보충할 수 있다.
학생들 스스로가 배우는 학습 과정을 강조하는 점에서 STAD보다 우수하며 학생들이 더 활동적이다. 이런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능력은 물론 모든 능력이 신장될 수 있다. 비록 그 학습의 깊이나 학습의 양은 학습자에 따라 다양할지 모르나 자기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여 자기만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모형이다.
참고문헌
김종희(1999), 가정과 수업의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용보(1996), Jigsaw 협동학습방법이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주(1990), Jigsaw학습 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이영식(2000), Jigsaw·LT·GI 협동학습이 대인관계 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원(1995), 집단경쟁과 집단 무경쟁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혜경(2003), Kagan식 협동학습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것은 학생들이 학습할 과제를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사의 능력이다.
전문지에는 자기가 맡은 소주제에 대해서 학생들 수준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노력할 유인책이 되도록 흥미도 부여하고 장애물도 적당히 부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제별로 조사탐구 활동, 책읽기, 컴퓨터 모의 실험, CAI 프로그램 적용, 비디오 보기, 실험 해보기와 같은 해야 할 일을 전문지에 구체적으로 정해 주고, 질문 형태로 주제의 줄거리를 제시하여야 한다.
한편 전문조가 부차적 논제를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학습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전문지 제작과 자료 준비에서 교사의 창의성이 발휘되는 것이다.
2. 전문가 집단 활동
모집단의 구성은 가능한 성별, 학습 능력 등을 기준으로 이질 집단으로 구성해야 하나 꼭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모집단에서 구성원이 공부할 주제를 충분히 인식하고 주제의 분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안내해야 한다. 집단 활동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전문가 집단과 모집단에서 얼마나 활기찬 토론이 이루어지는가? 또 얼마나 질서를 유지하는가\"하는 것은 학습의 효율화를 결정하는 요인이다. 그러므로 토론이나 발표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브레인스토밍 법 등 의사 결정 요령을 익혀야 하며 조장이 이를 짤 이끌어 조정되어야 한다. 전문가로서 각자의 주제의 공부가 끝나면, 다른 모집단에서 같은 주제를 공부한 전문조끼리 모이는 전문가 집단으로 모인다.
여기서 각자 공부한 내용을 검토하고 토론에 의해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서로 보완하여 소주제의 내용을 충분히 학습한 다음에 모집단에서 발표할 내용을 요약 정리하게 된다.
여기서의 활동에서 각자가 모집단의 구성원에게 발표할 간단한 자료와 지도 자료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전문조가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부과된 주제에 대해서 충분히 공부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하고, 전문가 집단에서 활기찬 토론이 이루어져 자기가 공부한 내용을 발표할 방법을 모색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모집단의 구성원들이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도 고려해 보도록 안내해야 한다.
3. 보고서 작성의 문제
\"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하여 모집단에서 자기가 공부한 내용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하는가?\" 하는 문제는 학습 목표에 얼마큼 도달할 수 있는가를 결정해 준다.
전문가 집단에서의 활동이 끝나면 학생들은 원래의 팀으로 돌아간 후에 전문가들은 주제를 팀원에게 가르칠 책임성이 있다.
학생들이 다양한 교수법을 이용하도록 장려하면 그들은 자기 생각을 자기 나름대로 표현할 것이다. 보고서를 읽거나 컴퓨터, 괘도, OHP 자료, 슬라이드 자료, 또는 참고 도서, 복사 자료를 보여주며 생각한 바를, 요약된 글, 사진, 도해, 도표, 그림으로 설명한다.
팀원들이 보고서를 토의하고 질문하도록 하면 각 팀원들은 다른 소주제에 관해 배우게 될 것이다. 전문가들이 각 팀에 보고할 때에는 짧은 학급 토의나 질의 응답을 수행케 하고 전문가가 자기 주제에서 간단한 문제를 만들어 조원에게 답하게 한다.
간단한 퀴즈 문제는 각자의 학습을 충실하게 보충할 수 있다.
학생들 스스로가 배우는 학습 과정을 강조하는 점에서 STAD보다 우수하며 학생들이 더 활동적이다. 이런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능력은 물론 모든 능력이 신장될 수 있다. 비록 그 학습의 깊이나 학습의 양은 학습자에 따라 다양할지 모르나 자기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여 자기만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모형이다.
참고문헌
김종희(1999), 가정과 수업의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용보(1996), Jigsaw 협동학습방법이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주(1990), Jigsaw학습 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이영식(2000), Jigsaw·LT·GI 협동학습이 대인관계 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원(1995), 집단경쟁과 집단 무경쟁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혜경(2003), Kagan식 협동학습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노인교육]지역 교육을 통한 노인교육의 필요성 및 과제
학령기 아동의 발달특성 및 방과후 아동지도 교육과정의 과제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제 11회차. 프로젝트 학습과정의 설계
교수매체이론- 오수벨,가네, 브루너의 교수학습이론을 비교하시오
[역할극]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의의,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학습전개, 역할...
[과학기술정책][디지털경제]과학기술정책의 기본 방향, 과학기술정책의 지배구조, 과학기술정...
[교육개혁][교육혁신][교육과정]교육개혁의 원칙, 교육개혁의 필요성과 교육개혁의 현실, 교...
대학교육의 발전과 교육개발센터의 과제) 교육개발센터 설치의 배경과 교수개발 프로그램
대학개혁의 필요성과 대학의 위기 요인 및 대학 위기 극복의 과제
정신지체아의 특성, 정신지체아의 사회성, 정신지체아교육의 목표, 정신지체아교육의 원리, ...
기술가정과(실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과 의의, 기술가정과(실과) ICT활용교...
정신간호학 PBL(문제중심학습) - 알코올 (Alcohol) 관련 장애 (환자 간호력, 문제의 분석, 공...
사회복지조직 중 목표관리이론(MBO)에 대해 설명하시고, 제한점과 한계점에 따른 학습자님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