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정의와 분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의 정의와 분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시 각 장 애

1. 시각장애의 정의

2. 시각장애아동의 특성

3. 시각장애아동의 교육

II. 청 각 장 애

1.청각장애의 정의

2. 청각장애아동의 특성

2. 청각장애아동의 특성

III. 정 신 지 체

1. 정신지체의 정의와 분류

2.정신지체아동의 특성

3. 정신지체아동의 교육

IV. 지 체 장 애

1. 지체장애의 정의와 분류

2. 지체장애아동의 심리 및 행도특성

3. 지체장애아동의 교육과 관련지원

V. 정 서 장 애 

1. 정서장애의 정의

2. 정서장애의 분류

본문내용

1) 교과학습지도
(1) 시각의 이용
대다수의 시각장애아동들은 묵자를 읽는데 충분한 잔존시력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와서 의사들은 시력을 절약하는 것보다 시력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눈을 사용한다는 것이 눈을 악화시키는 것이라고 하는 말은 옛말이며, 눈의 적절한 사용은 눈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눈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시각을 사용하게 되면 시각자료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시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시각자료를 그만큼 더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시각의 효과적인 사용법은 학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각장애아동에게 시각자료 해석을 보다 잘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의 잔존시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2) 점자의 지도
맹아동에게는 묵자 대신 점자를 가르쳐야 한다. 점자는 맹인의 문자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6개의 볼록 나온 점으로 표시하게 되어 있는 점자는 1829년에 Louis Braille이 발전시킨 것이며, 한글점자는 이를 기초로 하여 1926년에 박두성을 비롯한 몇 사람이 제정한 것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점자에는 한글점자 외에도 음악, 수학, 과학기호의 점자도 있다.
(3) 묵자의 지도
묵자의 읽기와 쓰기지도는 저시력 아도뿐만 아니라 맹아동에게도 하여야 한다. 맹아동이 묵자를 배우게 되면 다른 사람의 지원을 받지 않고도 간단한 용건을 처리할 수 있게 되고, 맹인용 독서기로 묵자를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4) 듣기의 지도
듣기에 의한 학습은 맹아동 뿐만 아니라 저시력 아동에게도 권장하여야 한다. 저시력 아동이 묵자를 읽는 속도도 느리기 때문이다.
듣는 속도가 읽는 the도보다 빠른 아동은 읽었을 때보다 들었을 때 더 잘 이해하고, 읽는 속도가 듣는 속도보다 빠른 아동은 들었을 때보다 읽었을 때 더 잘 이해한다(Witty &Sizemore, 1959). 따라서 듣기에 의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듣기능력을 개발하여야 한다. Bischoff(1967)에 의하면 훈련으로 듣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5) 수학의 지도
맹아동에게 수학을 지도할 때에는 수학 점자를 사용하여 지도한다. 그리고 계산법으로는 ①점자타자기셈 ②점판과 점필셈 ③규바리덤셈(cubarithum) ④테일러판셈(Taylor slate)
⑤주판셈 ⑥암산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6) 과학의 지도
도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만져서 지각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주거나 설명으로 전환하여 주어야 한다. 그리고 물리, 화학, 생물같은 과목의 실험경험도 충분히 하게 하여야 한다.
(7) 미술의 지도
미술교육의 목적은 형태, 선, 색의 관찰을 통해서 미의 인식능력을 개발하고 아동에게 세계에 대한 그의 반응과 세계 속에서 한 그의 경험을 나누어 가지고 전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주는데 있다.
(8) 체육의 지도
달리기, 뛰어오르기, 레슬링과 같은 전신운동을 요하는 신체활동은 시각장애아동의 신체 및 정신건강에 대단히 중요하다.
2) 생활적응활동의 지도
시각장애아동이 개인생활이나 사회생활을 자력으로 할 수 있게 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잔조시력과 시각 이외의 감각을 활용하여 생활하고 이동하는 훈련을 하여야 한다.
(1) 생활훈련
생활은 식생화, 의생활, 건강과 청결생화, 사회생활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식생활을 위해서는 음식물을 식별하기, 음식물 다루기, 과일깎기, 물따르기, 덜어 먹기, 식사예절 등을 알게 하여야 하며, 의생활을 위해서는 옷을 선택하기, 입고 벗기, 식별하기, 보관하기 빨래하기, 신발을 선택하기 등을 알게 하여야 한다.
(2) 이동훈련
시각장애아동이 환경을 이해하고, 한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방향정위(orientation)와 가동성(mobility)훈련을 하여야 한다. 방향정위는 환경 속에서 자신의 위치와 의미있는 모든 대상간의 관계를 정하는데 잔존감각을 이용하는 훈련이며, 가동성은 잔존감각을 이요해서 한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편하게 이동하는 능력이다.
3) 중복장애아동의 지도
시각장애아동 중에는 시각에만 장애가 있는 아동도 있지만 청각장애, 정신지체, 행동장애, 학습장애, 지체장애, 언어장애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가지고 있는 중복장애아동도 있다.
중복장애아동용 교육과정은 의사소통 능력, 운동 및 이동능력, 대상 및 자기 개념 능력, 자조능력 등의 개발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중복장애아동에게는 일상생활 훈련은 물론 방향정위와 가동성의 훈련도 하여야 한다. Seelyt와 Thomas(1966)는 방향정위와 가동성의 훈련으로 학령기 중복장애아동의 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으며, Moore(1970)는 단기간의 훈련으로 학경 전 중복장애아동의 방향정위와 가동성을 개발할 수 있었다 하였다.
4) 배 치
시각에 장애가 있는 아동이라 하더라도 가능하면 일반학교의 일반학급에 통합하여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학교가 시각장애아동을 통합하여 교육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고 있지 않거나 시각장애아동이 통합하여 교육할 수 없는 종류나 수준의 장애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그를 일정 시간 또는 거의 모든 시간 일반아동과 분리시켜 놓고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I. 청 각 장 애
1.청각장애의 정의
전문가에 따라 다르며, 청각장애의 원인 청력손실연령 청력손실 유형 청각장애인의 교육 및 복지 등 고려되는 변인에 달라 다르다.
청각 장애는 그 원인에 따른 세 가지 주된 청력손실형, 즉 전도성 청력손실 감각신경성 청력손실 혼합성 청력손실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전도성 또는 전음성 청력손실은 외이와 중이의 이상에 기인하는 것을 의미하며, 감각신경성 또는 감음성 청력손실은 내이의 결손이나 충동을 뇌에 전달하는 청신경의 결손에 기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혼합성 청력손실은 전도성 손실과 감각신경성 손실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1) 일반 정의
청각장애는 그 원인에 따른 세 가지 주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10.18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