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정신과 Depression case study-간호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정신과 Depression case study-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경정신과 환자 기초조사서

1. 정신병력사정

2. 대상자 개인사정

3. 가족사정

4. 복용중인 약물

Ⅱ. 간호과정

본문내용

1.68^2=20.7
* 현재 정상체중군(18.6~22.9)
식사를 거르지 않게 하고, 소량의 식사를 자주 제공 한다.
->Bulimia Nervosa에서 나타나는 증상인 마구먹는 행동(binge eating)은 식사를 거르거나 식사를 적게 한 후 자주 발생한다.
제시간에 식사를 하는지 확인하였다.
(아침 혹은 저녁식사 확인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지만, 병원식이이므로 치료적 NPO가 아니라면 끼니를 거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식사량을 증가시켜, 간식량을 감소시킨다.
->체중에 비해 식사량이 적어, 계속 간식을 입에 달고 있다. 특히 하루에 10개정도 몽쉘통통을 먹은 적이 있다.
다음 사실을 설명하고, 식사량 늘리도록 권유하였다.
* 과자 1조각=상대적 밥의 양
* 식사량 증가=간식량 감소
* 간식을 많이 먹는 것이 더 위험
대응행동으로 ‘순환운동’을 교육하고 하루 2~3세트 하도록 한다.
->‘유산소운동-무산소운동’을 교대로 함으로써 신체의 형태를 올바르게 하는데 효과가 크다.
-1 대상자에게 순환운동에 대해 설명후, 운동의 목적(다이어트가 아닌 몸의 균형-신체의 형태-을 잡기 위해서 시행)을 차근차근 설명하였다.
-2 대상자에게 시범을 보여주며, 같이 하도록 유도하였다.
-3 대상자에게 달력을 제공하여 운동한 세트 수만큼 스티커를 붙이게 하였다.
날 짜
시행회수
2세트
1세트
1세트
1세트
1세트
1세트
2세트
-4 대상자의 순환운동 결과
복도 걷는 횟수를 늘리고, 아령을 대체하여 500ml 생수병을 들고 걷는다.
->틈새 운동으로 복도를 걷도록 하고,양 손에 500ml생수병을 들고 걷게 하여 운동효과를 증진시킨다.
저녁식사 후 걷기 운동을 함께 하였다.
평가 및 재계획
평가
대상자는 BMI측정을 통해서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식욕이 조금씩 줄고 있다고 하며, 식후 구토 행위를 하지 않아도 마음이 편하다고 하였다. (Indirect Data-12/12. RN정진숙)
대상자는 앞으로 다이어트 방법으로 구토가 아닌 운동을 하겠다고 말하였다.
‘순환운동’을 하고나니 땀이 쫙 나는 게 걷는 것 보다 훨씬 기분이 좋다고 하였다.
점심식사를 1공기 다 먹었더니, 간식 생각이 없다고 하였다.
간호 계획 번 중 ‘소량의 식사를 자주 제공 한다.’는 병원환경 상 시행하지 못하였다.
재계획
간호 계획 번 중 ‘순환운동을 하루 2~3세트 하도록 한다.’에서 **/*(* )~**(* )는 1세트만 하였다.
-> 1세트만 하게 된 이유: 엎드리거나 누워서 해야 하는 동작이 2개가 있는데 ‘온돌 방에서 침대방으로 옮기게 되어 운동을 할 장소가 마땅치 않고 1세트만 해도 다 른 사람이 들어와 2세트 이상 못했다고 함
-> 재계획: 눕거나 엎드려야 하는 근육운동은 자기 전에 침상 위에서 틈틈이 하도록 권유하였고, 다른 근력동작으로 대체하여 교육하고 시범을 보였다.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 제 5판. 서울: 수문사.
김강미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24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1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