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간호(정의, 목적, 적응증, 종류, 혈액투석, 복막투석, HD, PD, 간호중재,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석간호(정의, 목적, 적응증, 종류, 혈액투석, 복막투석, HD, PD, 간호중재,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투석의 정의

2. 투석의 목적

3. 투석의 적응증

4. 투석의 종류
1) 혈액투석(hemodialysis, HD)
(1) 혈액투석의 원리
(2) 투석장치 요소
(3) 혈액투석 방법
(4) 혈액투석 절차
(5) 혈액투석을 위한 조건
(6) 혈관통로의 종류 & 합병증
(7) 혈액투석 모니터
(8) 혈액투석의 합병증
(9)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
(10) 계속적인 혈액투석을 위한 생활 관리
(11) 혈액투석의 올바른 식사법
2)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PD)
(1) 복막투석의 원리와 종류
⓵ 지속성 보행성 복막투석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⓶ 다중백 연속성 보행성 복막투석(Multi-bag continuous ambulatory PD, MB-CAPD)
⓷ 자동화된 복막투석 (Automated PD, APD)
⓸ 간헐적 복막 투석(Intermittent PD, IPD)
⓹ 지속성 주기성 복막투성(Continuous-cycle PD, CCPD)
(2) 복막투석방법
(3) 복막투석 절차
(4) 복막투석의 합병증
⓵ 복막염(peritonitis)
⓶ 통증
⓷ 삽입구와 복부 터널의 감염(Exit site and tunnel infection)
⓸ 불충분한 투석액 흐름
⓹ 카테터 관련 합병증
⓺ 고지질혈증 발생
⓻ 투석액의 누출(dialysate leakage)
(5) 복막투석환자의 간호
(6) 복막투석의 올바른 식사법

5. 간호중재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중재
4) 평가

본문내용

증가한다. CAPD는 기계가 필요 없으며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다. 투석액을 안전하고 오염되지 않게 튜브와 연결시키는 장치가 점차 많이 개발되어 시력이 손상되었거나 손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거나 상지의 힘이 약한 대상자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 CAPD는 지속적으로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점이 HD보다 신장 기능과 더 유사하다. 입원중에도 스스로 자신의 투석을 계속할 수 있다.
다중백 연속성 보행성 복막투석(Multi-bag continuous ambulatory PD, MB-CAPD)
병원에서 스스로 CAPD를 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다중백 CAPD(MB-CAPD)을 이용할 수 있다. MB-CAPD는 휴대용 기둥에 투석백을 걸어 두고 투석액이 든 연결 튜브를 통해 PD 카테터와 연결한다. 간호사는 처방된 시간에 따라 투석액을 주입하고, 저류시키며, 각 교환 때마다 배액을 실시한다. MB-CAPD는 움직일 수 있는 대상자에게 기동성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PD를 가능케 한다.
자동화된 복막투석 (Automated PD, APD)
시간과 용량을 설정해 놓으면 기계가 자동으로 투석액의 주입, 저류, 배액과정을 반복한다. 기계에는 투석액을 데우는 장치가 있다. ER, 외래투석실, 대상자의 집에서 사용가능하다. 대상자의 특수한 요구에 맞춰 개별적으로 기계의 프로그램을 설정하면 이를 통해 투석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8-10시간에 걸쳐 30분(주입, 저류, 배액에 10분씩)의 교환주기를 처방한다. 이 기계는 많은 안전 모니터와 경보장치가 있으며, 사용법도 비교적 간단하다. 자동화된 복막투석의 장점은 첫째, 대상자는 가정에서 수면 중에 투석을 하기 때문에 깨어 있는 시간에는 투석을 할 필요가 없다. 둘째, 연결과 분리 횟수가 거의 없어 복막염 발생가능성이 낮아진다. 마지막으로, 청소율(Clearance)을 높여야 할 경우 더 많은 투석용액을 주입할 수 있다.
간헐적 복막 투석(Intermittent PD, IPD)
간헐적 복막투석은 보통 30-60분 간격으로 2L의 투석액을 교환한다. 배액시간은 15-20분이다. 대부분의 무뇨성 대상자는 주당 3회씩, 1회에 2L의 투석액을 30~40회 교환한다. 간헐적 복막투석은 자동기계를 이용하거나 혹은 수동으로 할 수 있다.
지속성 주기성 복막투성(Continuous-cycle PD, CCPD)
지속성 주기성 복막투석 역시 자동화된 주기성 기계를 이용한다. 교환은 대상자가 자는 밤에 이루어 진다. 밤의 마지막 교환은 배액시키지 않고 저류되도록 남겨 두었다가 다음날 저녁에 배액시키면서 과정을 시작한다. CCPD는 CAPD과 마찬가지로 24시간 투석이 가능하고 멸균카테터의 오염도가 낮은 장점이 있다.
(2) 복막투석방법
- 복막투석을 위한 수술 전에 환자는 질병과 치료의 목적, 복막 투석과정이나 치료에 대한 예상되는 결과에 대해서 미리 알고 준비해야 한다. 수술 승낙서를 받고 방광과 장을 비우도록 한다. 수술방법은 투석액을 주입하기 위한 반영구적인 복강 카테터(tenckhoff catheter)를 수술을 통해 복강내 삽입하는 것이다. 카테터 삽입은 대부분 국소마취하에 수술실에서 시행하며 이상적인 삽입부위는 비교적 혈관분포가 적고 근막의 저항이 적은 배꼽주변 약 3~5cm가 적당하다. 수술직후 곧바로 복막투석을 시작하며 카테터내 혈액응고로 인한 폐쇄를 막기 위해 헤파린을 투여한다. 복강카테터에는 2개의 dacron cuff가 붙어 있다. 카테터를 삽입한지 1~2주가 지나면 섬유아세포(fibroblasts)와 혈관들이 커프 주변에 자라서 카테터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투석액 누출과 세균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술 후 복막투석을 위해 우선 복강내에 삽입된 복강 카테터와 주입관을 연결한다. 투석백을 교환하는 절차는 주입관을 통해 복강 내에 1~2l의 투석액(dialysate)을 주입한 후 일정시간동안(10~20분에 걸쳐 중력을 이용해 복강안으로 주입) 저류시킨 다음 다시 체외로 배액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교환조작에는 1회 30~40분이 소요되며 투석액의 주입과 배액은 중력의 힘에 의해 이루어진다. 투석액은 중력에 의해 체내에서 빠져나와 배액주머니로 들어간다. 복막에서 흘러나온 투석액에는 과도한 수분과 전해질, 첸에 축적되었던 질소성 노폐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배출된 투석액을 복막 삼출액(peritoneal effluent)이라 부른다. 3단계 과정(주입,저류,배출)의 과정을 한번의 복막 투석 교환으로 간주한다. 복막투석의 횟수와 빈도는 임상증상과 검사결과에 따라 의사가 처방한다. 투석액 주입 전에 투석액을 체온정도로 가온함으로서 복막혈관 확장에 따른 물질 교환을 촉진하고 추위로 인한 불편감을 방지할 수 있다. 수술직후에는 투석액을 소량 주입하지만 점차 양을 늘려 성인은 대략 2l 정도 주입하게 된다.
(3) 복막투석 절차
복막투석 필요 물품
투석투입 세트(1회용, 폐쇄계)
처방된 복막투석액
처방된 보조약물
국소마취제
중심정맥압 측정기구
심전도
봉합세트
멸균장갑
피부소독
복막투석 절차
동의서 작성을 확인한다.
투석 전과 24시간 마다 체중을 측정한다.(검사 초기의 체중을 기준으로 매일 체중을 평가한다)
v/s check 한다.
방광을 비우게 한다.(복막으로 탐침을 삽입할 때 천공의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튜브를 투석액으로 통과 시킨다.(복막강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예방한다. 공기는 복부 불편감과 배액곤란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앙와위로 편안한 체위를 취하게 한다. 환자와 의료팀은 마스크를 착용한다.
<의사가 수행- 복막강 도관의 삽입방법을 요약한 것>
복부를 수술 시와 같이 준비하고, 피부와 피하조직을 국소 마취한다.
배꼽 아래 복부를 3~5cm 절개한다.
절개부위에 stylet을 끼운 탐침을 삽입하거나, 얇은 stylet관을 경피적으로 삽입한다.
탐침을 삽입한 후 환자의 머리를 들게 한다. (복부근육을 팽팽하게 하고 복강내 기관의 손상없이 탐침이 쉽게 관통한다.)
복막이 천자 되었을 때, 탐침을 골반의 좌측면을 향하여 삽입한다. stylet을 제거하고, 탐침을 통해 도관을 삽입하여 자리를 잡는다. 자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6.05.11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