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9품사 정리
♣형태 중심의 품사분류(일차적 분류)
단어
형태불변어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관계언
조사(서술격조사제외)
형태변화어
용언
동사
형용사
관계언
조사(서술격조사)
♣기능중심의 품사 분류(이차적 분류)
단어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관계언
조사
용언
동사
형용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1. 명사
★ 의미 : 명사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은 품사로서 조사와 결합하여 문장의 여러 성분으로 쓰인다. 의미적 측면에서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라고 정의되기도 하나 모든 명사가 그렇지는 않다.
예1) 아름다운 꽃이 진다는 사실에 나는 슬펐다.
‘꽃’은 관형사 ‘아름다운’의 수식을 받는다.
‘사실’은 ‘아름다운 꽃이 일찍 진다는’이라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다.
∴ 명사 + 관형어
★ 의존명사 : 실질적인 의미를 갖지 못하더라도 다른 명사들처럼 수식을 받는 명. 따라서 관형어 수식 없이는 문장에서 쓰여 질 수 없다.
예2) 아는 것이 힘이다.
나는 그곳에 갈 수가 없다.
★ 명사 +조사가 문장의 여러 성분으로 쓰이는 예
ㄱ. 하늘이 맑다. (주어)
ㄴ. 영호는 순이 에게 선물을 주었다. (목적어)
ㄷ. 어머니의 사랑은 그를 성공하게 만들었다. (관형어)
ㄹ. 나무가 바람에 쓰러졌다. (부사어)
ㅁ. 그것은 철수가 준 책이다. (서술어)
→ 조사와 결합해 여러 성분으로 쓰인다.(특징 적이지 않음)
→ 따라서 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관형어(D)+명사(N)이다.
★ 명사의 내적 특성에 따른 명사의 분류
명사
특정성 여부
보통명사
사물을 두루 지시 예) 사람, 나무 꽃
고유명사
특정사람이나 사물 예) 이순신, 한라산 등
자립성여부
자립명사
관형어의 수식이 없어도 됨 예) 바다, 산
의존명사
관형어의 선행이 필수적 예) 것, ~바. ~수
구상성 유무
구상명사
구체적 대상을 지시 예) 안경, 책상, 가위
추상명사
지시물과 대응 불가 예) 행복, 사랑, 이상
감정유무
유정명사
감정표현을 지닌 대상 예) 사람, 어머니, 형님
무정명사
감정표현을 지니지 않은 대상 예) 나무, 바위, 사랑
2. 대명사
★ 의미적 측면에서 : 명사를 대신하여 지칭하는 단어
기능적 측면에서 : 관형사와의 호응이 명사처럼 자유롭지 않음.
★대명사의 특징 (명사와 비교)
① 대명사는 관형사와의 호응이 되지 않는 것이 명사와 대명사 구분의 중요한 특징이다.
예1) 이너, 그나, 저너 - 관형사+대명사 (호응이 안됨)
예2) 이사람, 그 망아지 - 명사+대명사
② 대명사와 관형어의 수식은 명사와 유사
예1) 용감한 그, 튼튼한 너 - 관형어+대명사
예2) 용감한 사람, 튼튼한 망아지 - 관형어+명사
③ 대명사의 변항(變項)
예1) 철수는 그의 집으로 갔다.
예2) 나는 내일 부산으로 간다
예3) 영희는 순이에게 “너를 믿는다”고 말했다.
밑줄 친 명사들은 특정한 개체가 아닌 지시하는 대상에 따라 개체가 달리 결정되는 성질이 있다.
★ 대명사의 분류
대명사
인칭대명사
1인칭
나, 저희
2인칭
너, 너희
3인칭
이이, 저이 그이
부정칭
누구, 아무개
비인칭대명사
사물대명사
이것, 저것, 아무것
처소대명사
여기, 저기, 거기
3. 수사
★ 의미 : 사물의 수효나 차례 등 수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
양수사
수효를 나타냄 예) 하나, 둘, 셋, 일, 이, 삼
서수사
차례를 나타냄 예) 제일, 제이, 제삼
★ (양)수사의 특징
예1) 예쁜 셋은 너의 것이고 예쁘지 않은 둘은 내 것이다.
예2) 부지런한 열은 우리 마을 사람이다
예1에서와 같이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지만 예2에서처럼 사람을 지칭할
♣형태 중심의 품사분류(일차적 분류)
단어
형태불변어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관계언
조사(서술격조사제외)
형태변화어
용언
동사
형용사
관계언
조사(서술격조사)
♣기능중심의 품사 분류(이차적 분류)
단어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관계언
조사
용언
동사
형용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1. 명사
★ 의미 : 명사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은 품사로서 조사와 결합하여 문장의 여러 성분으로 쓰인다. 의미적 측면에서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라고 정의되기도 하나 모든 명사가 그렇지는 않다.
예1) 아름다운 꽃이 진다는 사실에 나는 슬펐다.
‘꽃’은 관형사 ‘아름다운’의 수식을 받는다.
‘사실’은 ‘아름다운 꽃이 일찍 진다는’이라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다.
∴ 명사 + 관형어
★ 의존명사 : 실질적인 의미를 갖지 못하더라도 다른 명사들처럼 수식을 받는 명. 따라서 관형어 수식 없이는 문장에서 쓰여 질 수 없다.
예2) 아는 것이 힘이다.
나는 그곳에 갈 수가 없다.
★ 명사 +조사가 문장의 여러 성분으로 쓰이는 예
ㄱ. 하늘이 맑다. (주어)
ㄴ. 영호는 순이 에게 선물을 주었다. (목적어)
ㄷ. 어머니의 사랑은 그를 성공하게 만들었다. (관형어)
ㄹ. 나무가 바람에 쓰러졌다. (부사어)
ㅁ. 그것은 철수가 준 책이다. (서술어)
→ 조사와 결합해 여러 성분으로 쓰인다.(특징 적이지 않음)
→ 따라서 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관형어(D)+명사(N)이다.
★ 명사의 내적 특성에 따른 명사의 분류
명사
특정성 여부
보통명사
사물을 두루 지시 예) 사람, 나무 꽃
고유명사
특정사람이나 사물 예) 이순신, 한라산 등
자립성여부
자립명사
관형어의 수식이 없어도 됨 예) 바다, 산
의존명사
관형어의 선행이 필수적 예) 것, ~바. ~수
구상성 유무
구상명사
구체적 대상을 지시 예) 안경, 책상, 가위
추상명사
지시물과 대응 불가 예) 행복, 사랑, 이상
감정유무
유정명사
감정표현을 지닌 대상 예) 사람, 어머니, 형님
무정명사
감정표현을 지니지 않은 대상 예) 나무, 바위, 사랑
2. 대명사
★ 의미적 측면에서 : 명사를 대신하여 지칭하는 단어
기능적 측면에서 : 관형사와의 호응이 명사처럼 자유롭지 않음.
★대명사의 특징 (명사와 비교)
① 대명사는 관형사와의 호응이 되지 않는 것이 명사와 대명사 구분의 중요한 특징이다.
예1) 이너, 그나, 저너 - 관형사+대명사 (호응이 안됨)
예2) 이사람, 그 망아지 - 명사+대명사
② 대명사와 관형어의 수식은 명사와 유사
예1) 용감한 그, 튼튼한 너 - 관형어+대명사
예2) 용감한 사람, 튼튼한 망아지 - 관형어+명사
③ 대명사의 변항(變項)
예1) 철수는 그의 집으로 갔다.
예2) 나는 내일 부산으로 간다
예3) 영희는 순이에게 “너를 믿는다”고 말했다.
밑줄 친 명사들은 특정한 개체가 아닌 지시하는 대상에 따라 개체가 달리 결정되는 성질이 있다.
★ 대명사의 분류
대명사
인칭대명사
1인칭
나, 저희
2인칭
너, 너희
3인칭
이이, 저이 그이
부정칭
누구, 아무개
비인칭대명사
사물대명사
이것, 저것, 아무것
처소대명사
여기, 저기, 거기
3. 수사
★ 의미 : 사물의 수효나 차례 등 수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
양수사
수효를 나타냄 예) 하나, 둘, 셋, 일, 이, 삼
서수사
차례를 나타냄 예) 제일, 제이, 제삼
★ (양)수사의 특징
예1) 예쁜 셋은 너의 것이고 예쁘지 않은 둘은 내 것이다.
예2) 부지런한 열은 우리 마을 사람이다
예1에서와 같이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지만 예2에서처럼 사람을 지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