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수설계의 모형
교수설계의 기본모형
- addie 모형
교수설계 모형의 종류
- 딕, 캐리 및 캐리의 모형
- 스말디노, 러셀, 하인리크 및 몰렌다의 모형 (ASSURE 모형)
- 모리슨 , 로스 및 켐프의 모형
교수설계 모형의 특성
교수설계의 기본모형
- addie 모형
교수설계 모형의 종류
- 딕, 캐리 및 캐리의 모형
- 스말디노, 러셀, 하인리크 및 몰렌다의 모형 (ASSURE 모형)
- 모리슨 , 로스 및 켐프의 모형
교수설계 모형의 특성
본문내용
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성취도가 높다는 사실은 너마나도 당연한 진리이다.
-학습에 참여할 경우 반드시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일수록 즉각적인 피드백을 해 주는것이 학습에 강력한 동기를 줄 수 있다.
(6) 평가와 수정(Evaluation and revise)
-평가는 ASSURE모형의 마지막 구성요소로 이는 수업전, 중, 후에 지속적으로 행해진다.
3. 모리슨, 로스 및 켐프의 모형
1) 모리슨, 로스 및 켐프의 모형이란?
- 체제접근의 올바른 이해를 전제로 교수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
‘타원형’의 순환과정을 수업설계 모형의 기본양식으로 취함.
- 순환모형
교수체제개발 과정에서 설계자가 필요하다고 판달할 때 어느 시점 어느 단계에서나 수정활동을 수행 할 수 있으며 이 수정활동은 교수체제 개발의 다른 요소들과 계속적으로 관련됨.학습자 상호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데 유용한 개발모형
2) 교수설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강조점
- 목표성취를 위한 개별 학생의 준비도
- 목표와 학습자 특성에 적절한 교수 · 학습방법
- 적절한 매체와 자원
- 교사와 사용가능한 자원을 제외한 지원체제
- 목표성취의 기준
- 수업에서 기대와 불일치되는 결과와 관련된 수정 등의 구성요소
3) 모리슨, 로스 및 켐프의 교수설계 모형의 설계활동에서 요구되는 강조점
- 교수문제를 확인하고, 교수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목표를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 수업, 또는 교수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을 분석한다.
- 주제의 내용을 확인하고 교수목적에 관련된 과제의 구성요소를 분석한다.
- 학습자를 위한 교수목표를 진술한다.
- 논리적 학습을 위한 수업단위(instructional unit)의 범위에서 수업내용을 계열화한다.
- 개별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수전략을 설계한다.
- 교수메세지를 계획하고 수업을 개발한다.
- 목적을 사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한다.
- 수업과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교수 · 학습자원을 선정한다.
4. 교수설계 모형의 특성
1) 체계적 의사결정 과정
- 교수설계자가 수업의 성격과 범위에 관한 의사결정들을 각 단계별로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서 할 수 있게 해 주는 학습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
2) 체제적 접근
- 교수설계의 각 단계들이 성공적인 학습문제 해결에 필요한 중요한 과정들을 포함
- 교수설계자가 학습자, 교사, 교수자료, 환경 등 전체 교수체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계속적으로 의식.
3) 신뢰적이고 표준화된 수업설계
- 교수설계의 각 단계들이 각기 다른 교수설계자, 장소, 과제, 시간 등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수행되어 신뢰할 수 있고 표준화된 수업설계가 가능함
4) 순환적 과정
- 교수설계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전체 과정이 최종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수설계 과정에서 여러번 반복될 수 있음.
5) 교수 · 학습에 관한 경험적인 자료수집 가능
- 교수설계를 위한 자료 수집은 교수설계 전체과정 내에서 형성되며 이들 자료에 기초해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짐.
-학습에 참여할 경우 반드시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일수록 즉각적인 피드백을 해 주는것이 학습에 강력한 동기를 줄 수 있다.
(6) 평가와 수정(Evaluation and revise)
-평가는 ASSURE모형의 마지막 구성요소로 이는 수업전, 중, 후에 지속적으로 행해진다.
3. 모리슨, 로스 및 켐프의 모형
1) 모리슨, 로스 및 켐프의 모형이란?
- 체제접근의 올바른 이해를 전제로 교수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
‘타원형’의 순환과정을 수업설계 모형의 기본양식으로 취함.
- 순환모형
교수체제개발 과정에서 설계자가 필요하다고 판달할 때 어느 시점 어느 단계에서나 수정활동을 수행 할 수 있으며 이 수정활동은 교수체제 개발의 다른 요소들과 계속적으로 관련됨.학습자 상호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데 유용한 개발모형
2) 교수설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강조점
- 목표성취를 위한 개별 학생의 준비도
- 목표와 학습자 특성에 적절한 교수 · 학습방법
- 적절한 매체와 자원
- 교사와 사용가능한 자원을 제외한 지원체제
- 목표성취의 기준
- 수업에서 기대와 불일치되는 결과와 관련된 수정 등의 구성요소
3) 모리슨, 로스 및 켐프의 교수설계 모형의 설계활동에서 요구되는 강조점
- 교수문제를 확인하고, 교수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목표를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 수업, 또는 교수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을 분석한다.
- 주제의 내용을 확인하고 교수목적에 관련된 과제의 구성요소를 분석한다.
- 학습자를 위한 교수목표를 진술한다.
- 논리적 학습을 위한 수업단위(instructional unit)의 범위에서 수업내용을 계열화한다.
- 개별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수전략을 설계한다.
- 교수메세지를 계획하고 수업을 개발한다.
- 목적을 사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한다.
- 수업과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교수 · 학습자원을 선정한다.
4. 교수설계 모형의 특성
1) 체계적 의사결정 과정
- 교수설계자가 수업의 성격과 범위에 관한 의사결정들을 각 단계별로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서 할 수 있게 해 주는 학습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
2) 체제적 접근
- 교수설계의 각 단계들이 성공적인 학습문제 해결에 필요한 중요한 과정들을 포함
- 교수설계자가 학습자, 교사, 교수자료, 환경 등 전체 교수체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계속적으로 의식.
3) 신뢰적이고 표준화된 수업설계
- 교수설계의 각 단계들이 각기 다른 교수설계자, 장소, 과제, 시간 등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수행되어 신뢰할 수 있고 표준화된 수업설계가 가능함
4) 순환적 과정
- 교수설계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전체 과정이 최종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수설계 과정에서 여러번 반복될 수 있음.
5) 교수 · 학습에 관한 경험적인 자료수집 가능
- 교수설계를 위한 자료 수집은 교수설계 전체과정 내에서 형성되며 이들 자료에 기초해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짐.
추천자료
'교수 학습 이론과 수업모형'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사범/법학]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
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교수 설계
교수.학습이론 분석과 바람직한 수업모형
교수 설계
협동학습 교수학습 모형 -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구성주의][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의 배경, 구성주의의 유래, 구성주의의 필요성, 구성주의의...
[화법이론]말하기, 듣기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고찰
인간 자원 개발 모형 : 설계 부분
우리주변에 위험에 처해있는 사람들을 인터뷰 한 후 동기부여적 직무설계 방법 중 직무특수모...
수업설계(授業設計)에 대한 레포트 [교육공학] {ADDIE 모형, 정상적인 수업설계의 단계, 글레...
교수 설계 이론,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 문제중심학습(PBL)의 개념과 특징 ; 문제중심학습모형의 절차와 설계 방법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과정및교수요목설계-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