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번식우 및 송아지 사양관리
2. 조사료 생산관리
3. 광덕농장 경영분석
Ⅲ. 결 론
Ⅱ. 본 론
1. 번식우 및 송아지 사양관리
2. 조사료 생산관리
3. 광덕농장 경영분석
Ⅲ. 결 론
본문내용
수정비
합 계
1
1,342,000
1,342,000
2
1,403,000
1,403,000
3
1,586,000
200,000
1,786,000
4
1,981,000
18,000
149,000
2,148,000
5
1,462,500
35,500
5,500
193,000
420,000
2,116,500
6
1,462,500
26,000
246,000
480,000
2,214,500
7
1,813,500
540,000
1,190,000
155,000
3,698,500
8
1,170,000
186,000
658,630
155,000
2,169,630
9
1,023,750
30,000
195,000
85,000
1,333,750
10
994,500
122,610
195,000
50,000
1,362,110
11
1,813,500
105,500
25,000
1,944,000
12
1,462,500
289,130
1,751,630
합계
17,514,750
600,740
1,106,500
2,677,630
1,370,000
23,269,620
평균
1,459,563
50,062
92,208
223,136
114,167
1,939,135
생산된 송아지 37두중 조산 폐사1두. 장염폐사 1두. 아플라톡신 폐사 1두로 34두 출하가 가능하게 되어 8%의 폐사율을 보였다. 이중 2마리의 폐사는 조사료 생산 활동으로 인한 관리 소흘로 조금만 신경을 썼더라면 막을 수 있었던 부분이다.
송아지 출하 기준은 수송아지 190kg, 암송아지 170kg로 200만원을 펀드 운영회사로부터 받는다. 1년간 송아지 생산에 필요한 경비는 약 2,400만원으로 송아지 출하후 순 소득으로 계산하면 약 4,000만 원가량이 된다.
Ⅲ. 결 론
현 상태의 축사 구조는 번식우 사양에 맞지 않으며, 현 사육두수는 포화상태로 관리상으로도 힘든 부분이 발생하고 있고, 소들또한 바닥상태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서 적정 규모로 낮추는 것이 생산성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어 번식암소의 규모를 25두로 낮출 계획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태기간이 긴 소, 재발정이 잦은 소, 송아지 포유능력이나 폐사가 있는 소등
을 처분하고 자질이 우수한 밑소를 선발하여 사육해야 겠다.
축사 구조를 현 상태에서 우방 칸막이를 일부 제거하여, 분만방. 송아지방. 운동장으로 바꾸어 솔의 운동량을 늘려줄 생각이다.
최고경영자과정 교육을 통해 배웠던 인공수정 기술을 활용 자가수정을 통해 좀 더 계획성 있는 번식을 할 생각이며, 축사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케이블을 교체하여 거실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통해 정확한 관찰로 빠른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다.
조사료 위주로 사육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농장의 송아지 초산우의 생시체중이 평균 25.6kg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앞으로도 양질의 조사료의 양을 늘려주어 생산비를 현재비용의 30%를 더 낮출 것이고, 송아지 사육에 더 신경을 써서 사육 성적을 좋게 할 생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벼농사 대신 옥수수보다 수량성이 30% 더 높은 케네프를 심고, 월동형 조사료파종시기를 앞당겨서 수량성을 높여야만 하겠다.
1년간의 교육을 통해서 우리농장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알았고, 어떤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미래 지향적인지를 깨우쳐준 좋은 시간이었다.
그동안 배운 것들을 실천하면서 우리농장이 더 발전하는 것이 많은 도움을 준분들에 대한 고마움의 보답일 것 이다. 교육시간 동안 축사를 관리해준 아내에게도 감사를 표한다.
합 계
1
1,342,000
1,342,000
2
1,403,000
1,403,000
3
1,586,000
200,000
1,786,000
4
1,981,000
18,000
149,000
2,148,000
5
1,462,500
35,500
5,500
193,000
420,000
2,116,500
6
1,462,500
26,000
246,000
480,000
2,214,500
7
1,813,500
540,000
1,190,000
155,000
3,698,500
8
1,170,000
186,000
658,630
155,000
2,169,630
9
1,023,750
30,000
195,000
85,000
1,333,750
10
994,500
122,610
195,000
50,000
1,362,110
11
1,813,500
105,500
25,000
1,944,000
12
1,462,500
289,130
1,751,630
합계
17,514,750
600,740
1,106,500
2,677,630
1,370,000
23,269,620
평균
1,459,563
50,062
92,208
223,136
114,167
1,939,135
생산된 송아지 37두중 조산 폐사1두. 장염폐사 1두. 아플라톡신 폐사 1두로 34두 출하가 가능하게 되어 8%의 폐사율을 보였다. 이중 2마리의 폐사는 조사료 생산 활동으로 인한 관리 소흘로 조금만 신경을 썼더라면 막을 수 있었던 부분이다.
송아지 출하 기준은 수송아지 190kg, 암송아지 170kg로 200만원을 펀드 운영회사로부터 받는다. 1년간 송아지 생산에 필요한 경비는 약 2,400만원으로 송아지 출하후 순 소득으로 계산하면 약 4,000만 원가량이 된다.
Ⅲ. 결 론
현 상태의 축사 구조는 번식우 사양에 맞지 않으며, 현 사육두수는 포화상태로 관리상으로도 힘든 부분이 발생하고 있고, 소들또한 바닥상태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서 적정 규모로 낮추는 것이 생산성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어 번식암소의 규모를 25두로 낮출 계획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태기간이 긴 소, 재발정이 잦은 소, 송아지 포유능력이나 폐사가 있는 소등
을 처분하고 자질이 우수한 밑소를 선발하여 사육해야 겠다.
축사 구조를 현 상태에서 우방 칸막이를 일부 제거하여, 분만방. 송아지방. 운동장으로 바꾸어 솔의 운동량을 늘려줄 생각이다.
최고경영자과정 교육을 통해 배웠던 인공수정 기술을 활용 자가수정을 통해 좀 더 계획성 있는 번식을 할 생각이며, 축사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케이블을 교체하여 거실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통해 정확한 관찰로 빠른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다.
조사료 위주로 사육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농장의 송아지 초산우의 생시체중이 평균 25.6kg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앞으로도 양질의 조사료의 양을 늘려주어 생산비를 현재비용의 30%를 더 낮출 것이고, 송아지 사육에 더 신경을 써서 사육 성적을 좋게 할 생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벼농사 대신 옥수수보다 수량성이 30% 더 높은 케네프를 심고, 월동형 조사료파종시기를 앞당겨서 수량성을 높여야만 하겠다.
1년간의 교육을 통해서 우리농장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알았고, 어떤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미래 지향적인지를 깨우쳐준 좋은 시간이었다.
그동안 배운 것들을 실천하면서 우리농장이 더 발전하는 것이 많은 도움을 준분들에 대한 고마움의 보답일 것 이다. 교육시간 동안 축사를 관리해준 아내에게도 감사를 표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