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국어]국어 사이시옷의 개념, 국어 사이시옷의 배경, 국어 사이시옷의 규칙, 국어 사이시옷과 음운현상, 국어 사이시옷과 합성명사, 국어 사이시옷의 사례 분석(사이시옷, 국어, 음운현상, 합성명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시옷][국어]국어 사이시옷의 개념, 국어 사이시옷의 배경, 국어 사이시옷의 규칙, 국어 사이시옷과 음운현상, 국어 사이시옷과 합성명사, 국어 사이시옷의 사례 분석(사이시옷, 국어, 음운현상, 합성명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사이시옷의 개념
1. 음운론적 설명
2. 문법적 설명
3. 의미론적 설명

Ⅱ. 국어 사이시옷의 배경

Ⅲ. 국어 사이시옷의 규칙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 우리말 + 한자어로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3. 두 음절로 된 한자어

Ⅳ. 국어 사이시옷과 음운현상
1. 15세기의 연결 사잇소리와 그것과 관련된 음운현상
2. 현대어의 연결 사잇소리와 그것과 관련된 음운현상

Ⅴ. 국어 사이시옷과 합성명사

Ⅵ. 국어 사이시옷의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가 참여하는 합성명사 형성은 합성명사 형성 규칙에 ㅅ의 개입여부를 표현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단어형성 전용 요소들의 경우도 대개는 ㅅ전치성이나 후치성이 분명하게 결정되어 있으므로 그 개별 규칙에 ㅅ의 개입 여부를 표현하여야 할 것이다. 양 극단을 제외한 중간의 경우들에서 합성명사 형성 규칙에 사이시옷의 출현 여부를 반영하는 방안으로는 유추에 의한 해결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합성명사에서의 사이시옷의 출현은 어떤 유형을 이룬 기존 합성명사들을 모형으로 하여 유추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유추의 모형이 어떻게 설정되는가가 대답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는데, 형태론적으로 같은 유형, 의미론적으로 같은 유형, 음운론적으로 같은 유형 등 차원이 다른 여러 유형의 기존명사들이 다양한 모형들을 형성할 것이다.
먼저, 형태론적으로는 제1요소가 동일한 합성명사들, 제2요소가 동일한 합성명사들이 모형이 되어 줄 것이다. 그리하여 모형의 제1요소 혹은 제2요소가 가지는 ㅅ후치성, ㅅ전치성이 그 경향의 강도에 따라 강력하게 또는 덜 강력하게 문제의 합성명사가 사이시옷을 가지도록 또는 가지지 않도록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미론적으로는 예컨대 `전체-부분, 장소-존재, 시간-존재\' 등에서 같은 유형의 것들이 모형을 이룰 것이다. 또 예를 들어 단위명사와 그 단위에 의한 계량의 대상이 되는 명사로 이루어진 합성명사의 유형도 생각할 수 있는데(예: 공기ㅅ밥, 甁ㅅ술, 말ㅅ술, 말ㅅ밥, 뭉치ㅅ돈, 개피ㅅ담배, 斤ㅅ담배, 말ㅅ곡식 ...), 이것도 하나의 의미론적 모형이 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음운론적인 모형으로는 제1요소가 ㄹ말음을 가지고 제2요소가 설정음의 두음을 가지는 경우가 한 예가 될 것이다
Ⅵ. 국어 사이시옷의 사례
(1) 개-구멍, 배-다리
(2) 개-똥, 배-탈
(3) 개-값, 배-병
(4) 하루-날, 배-머리
(5) 뒤-일, 깨-잎
(6) 고(庫)-간(間),세(貰)-방(房), 수(數)-자(字), 차(車)-간(間), 퇴(退)-간(間), 회(回)-수(數)
에서, (1)~(5)는 모두 합성어이며, (6)은 이에 준하는 한자어다. 그런데 (1) 의 경우는, 앞 낱말 끝에 ‘ㄷ’음이 첨가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
(2)의 경우는, 뒤 낱말의 첫소리가 된소리(ㄸ)나 거센소리(ㅌ)이므로, 역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
(3)의 경우는, 앞 낱말 끝에 ‘ㄷ’음이 첨가되어 [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