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정서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국어정서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서법이란?

2. 현대국어의 범위

3. 현대 국어 정서법의 역사적 전개

4. <한글 맞춤법>(1988)에 근거한 정서법

5. <표준어 규정>과 <외래어 표기법>

6. 결론

3,4 부분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본문내용

시대 국어 표기법
3.2.1.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
(1) 조선총독부의 주체로 <국문연구 의정안>의 연구 성과를 배제하고 독자적 작업
(2) ㆍ 의 폐기(예; >는, >를), 된소리 표기 시 합용병서 된시옷 채택(각자병서로 정한 의정서의 내용과 상반, ㅺ, ㅼ 등), 받침 10개(ㄱ,ㄴ,ㄷ,ㄹ,ㅁ,ㅂ,ㅛ,ㅇ,ㄺㄻㄼ)로 제한(ㅈㅊㅋㅌㅍㅎㅅ 등도 인정한 의정서 내용과 배치됨) 등
3.2.2.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 대요(1921)
(1) 장음 부호 폐지, 사이시옷 표기 위치 규정(상어의 말, 또는 하어의 초에 붙여씀. 예; 동짓달, 외양), 새 받침에 대한 논의(ㄷㅌㅈㅊㅍㄲㄳㄵㄾㄿㅄ 등 새로 쓸 것 논의. 확정은 못했으나 음소주의적 표기법의 틀 안에서 형태주의적 표기법의 논의했다는 점에 주목됨)
3.2.3. 언문철자법(1930)
(1) 분명히 원형을 밝혀 적음(예; 웃음, 깊이 등)
(2) 사이시옷의 채용과 표기 위치 개정(예; 동짓달, 일ㅅ군, 문ㅅ자 등)
(3) 새 받침 사용(1912년 결정된 받침 외에 1921년 논의한 받침을 모두 사용키로 함. 21개 종성 체계)
(4) 구개음화 부인(예; 같이-같치, 밭이-밭치)
(5) 한자음의 표음화(예;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7.06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