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K 텔레콤
① SK 텔레콤 소개
② 한국시장에서의 성공요인
③ SWOT분석 & STP 분석
2. 해외진출 배경
① 기업 간 경쟁 치열
② 국내시장의 포화
③ 한국 IT 산업의 도전
3. 해외진출
① 미국진출
② 실패원인
③ 대응방안 &전망
참고자료
① SK 텔레콤 소개
② 한국시장에서의 성공요인
③ SWOT분석 & STP 분석
2. 해외진출 배경
① 기업 간 경쟁 치열
② 국내시장의 포화
③ 한국 IT 산업의 도전
3. 해외진출
① 미국진출
② 실패원인
③ 대응방안 &전망
참고자료
본문내용
마케팅 카페>제목 ‘최초의 핸드폰 광고’ 글)
- 스토리 텔링 마케팅
‘기업은 브랜드보다 고유한 이야기를 팔아야 한다.’ 는 말이 있듯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생수인 에비앙의 200년 전 에비앙 마을의 샘물을 마시고 신장병을 치료했다는 이야기, 베트남전에서 주머니 속 지포라이터가 총알을 막아냈다는 이야기들은 이를 통해 주목을 받으며 세계적 브랜드로 올라섰다.
SK 텔레콤은 한 단계 더 나아가 ‘생각대로 하면 되고’ 와 같은 소비자의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를 함으로써 더 큰 공감과, 소비와 생산을 함께 하는 현 시대의 소비자들의 특성과 맞아 떨어지면서 수많은 패러디를 생산하며 소비자들에게 가까이 다가갔다.
③ 1) SWOT분석
2) STP 분석
- 시장세분화(Segmenting): 연령대별, 라이프스타일별, 행동적 변수 등에 의거하여 시장세분화를 하였다. 연령대별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른 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회적 품격과 중년층의 나이, 중산층을 겨냥해 공항을 자주 이용할시 받을 수 있는 워커힐 에어가든 할인 서비스, 25-35세 여자들을 위한 그녀들의 T는 호텔, 주유, 면세점 서비스를 10대20대를 위한 TTL과 Ting 은 영화, PC방, 멜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타겟시장의 선정(Targeting): 주된 타겟시장은 10대, 20대 시장이다. 주요잠재고객층 일뿐 아니라 트렌드에 민감하고 과시적 타인지향성적 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어도 충동적이거나 과시용으로 충분히 물건을 구매할 가능성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포지셔닝(Positioning): 초기에는 ‘SKT는 잘 터진다.’ ‘통화 품질이 좋다.’라는 문구로 통화품질의 우수함을 강조하는 포지셔닝 을 했고, 시장포화와 번호이동성제도 등의 변수로 ‘SK를 쓴다는 것’ 등의 카피로 SK는 자부심을 주는 번호라는 이미지를 포지셔닝 하였다. 현재에는 ‘사람을 향합니다.’, ‘어머니 당신이 행복입니다.’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SK=행복 이라는 이미지를 포지셔닝 하고 있다.
2. SK 텔레콤 해외진출 배경
① 기업 간 경쟁 치열
SK 텔레콤이 국내 시장점유율을 50% 가까이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KTF 아이폰, LG 텔레콤의 개방형 무선인터넷서비스 OZ 등과 같이 라이벌 기업에서 SK 에 타격을 가할 만큼의 다양한 시도들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위협적인 존재로 성장,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통신요금 하락세의 가속화 로 인해 해외진출을 고려하게 되었다.
② 국내시장의 포화
2008년 한국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4,498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90%이상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청소년, 초등학생까지 1인당 1개 이상의 휴대폰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으로 더 이상 신규가입자를 늘린다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연스레 해외시장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출처: SERI 보고서로 읽는 불황기 경영전략. P.263. 2009. 삼성경제연구소 저)
③ 한국 IT 산업의 도전
제조업은 수출을 통해 글로벌화 됐지만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선 제조업만으로는 충분하지가 못 하다. IT 서비스가 해외진출에 성공을 하게 되면 그와 관련된 여러 많은 연관분야 즉, 관련 콘텐츠, 소프트웨어 등이 함께 진출 하게 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
3. 해외진출
① 미국진출
1) 진출배경 : 미국은 글로벌 통신시장을 선도하는 사업 환경과 양질의 대규모 고객기반을 보유한 시장으로 SK텔레콤의 데이터 및 컨버전스 사업 확장을 위한 성장 기 회가 존재함.
기존통신사(MNO)사업자 : AT&T. T모바일, 버라이즌, 스프린트 등
2) 미국시장현황 : 미국 내 이동 통신사 가입자 중 40%가 삼성과 LG휴대폰을 사용하고 있 다. 삼성, 모토롤라,LG 등 3개 사가 거의 동일한 비율로 마켓을 점유하 고 있는 상황이며 RIM(블랙베리 제조사로 유명)과 노키아가 나머지 시 장 중 각각 거의 동일한 볼륨을 나누어 갖고 있다. 이 통계 내에는 스마 트폰도 함께 포함이 되어 있으니 아직 애플이나 htc등 스마트폰 제조사 는 5위 내에 진입하지 못했다. 여기에 리스팅된 상위 5개사의 점유율은 82.2%로서 나머지 17.8%에 애플이나 htc등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 삼성은 약간 상승한 반면 모토롤라는 비교적 하락하였 다. 가장 큰 성장을 보인 제 조사는 RIM으로써 스마트폰의 성장세와 맥 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입자들의 단말기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가 기능은 역시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이었고 인터넷 서핑이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게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의 접속이나 블로그 접속도 20퍼센트 전후로 나타나 꽤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악 청취는 서핑이나 게임보다는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3) 진출현황 :
2001 미국의 퀄컴사와 1천만불의 Joint Venture Fund 설립
2002 썬마이크로시스템사와 유망기술 육성 및 상용화 협력을 위한 MOU 체결
2004 Verizon Wireless사, SiRF사, Mognolia사와 동기식 IMT 2000기술인 EV-DO 서비 스와 네트워크 장비 개발 및 글로벌 시장 공동마케팅 제안하는 사업협력 계약 체결
2005 미국의 ISP업체인 어스링크사와 합작설립을 통해 아시아 네트워크 업계로서는 최초로 미국 시장에 진출
2008 6월, SK텔레콤의 가상이동망서비스사업자(MVNO)인 Helio가 Virgin Mobile USA와 한 가족이 되었음.
2008 SK텔레콤의 미주사업 부문 글로벌 금융그룹인 Citi와 합작, ‘Mobile Money Ventures’ 라는 회사를 설립, 통합적인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추진.
2008 Virgin Mobile USA가 Helio를 인수함으로써 SK의 미국시장진출은 철수
★여기서 잠깐!!
"MVNO란? MNO란?\"
- 현재 이동통신 사업을 하고 있는 통신회사가 SKT, KTF, LGT가 있는데 이를 MNO(Mobile Network Operator)라고 한다. 이는 통신망시설을 가지고 있는 통신회사를 일
- 스토리 텔링 마케팅
‘기업은 브랜드보다 고유한 이야기를 팔아야 한다.’ 는 말이 있듯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생수인 에비앙의 200년 전 에비앙 마을의 샘물을 마시고 신장병을 치료했다는 이야기, 베트남전에서 주머니 속 지포라이터가 총알을 막아냈다는 이야기들은 이를 통해 주목을 받으며 세계적 브랜드로 올라섰다.
SK 텔레콤은 한 단계 더 나아가 ‘생각대로 하면 되고’ 와 같은 소비자의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를 함으로써 더 큰 공감과, 소비와 생산을 함께 하는 현 시대의 소비자들의 특성과 맞아 떨어지면서 수많은 패러디를 생산하며 소비자들에게 가까이 다가갔다.
③ 1) SWOT분석
2) STP 분석
- 시장세분화(Segmenting): 연령대별, 라이프스타일별, 행동적 변수 등에 의거하여 시장세분화를 하였다. 연령대별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른 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회적 품격과 중년층의 나이, 중산층을 겨냥해 공항을 자주 이용할시 받을 수 있는 워커힐 에어가든 할인 서비스, 25-35세 여자들을 위한 그녀들의 T는 호텔, 주유, 면세점 서비스를 10대20대를 위한 TTL과 Ting 은 영화, PC방, 멜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타겟시장의 선정(Targeting): 주된 타겟시장은 10대, 20대 시장이다. 주요잠재고객층 일뿐 아니라 트렌드에 민감하고 과시적 타인지향성적 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어도 충동적이거나 과시용으로 충분히 물건을 구매할 가능성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포지셔닝(Positioning): 초기에는 ‘SKT는 잘 터진다.’ ‘통화 품질이 좋다.’라는 문구로 통화품질의 우수함을 강조하는 포지셔닝 을 했고, 시장포화와 번호이동성제도 등의 변수로 ‘SK를 쓴다는 것’ 등의 카피로 SK는 자부심을 주는 번호라는 이미지를 포지셔닝 하였다. 현재에는 ‘사람을 향합니다.’, ‘어머니 당신이 행복입니다.’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SK=행복 이라는 이미지를 포지셔닝 하고 있다.
2. SK 텔레콤 해외진출 배경
① 기업 간 경쟁 치열
SK 텔레콤이 국내 시장점유율을 50% 가까이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KTF 아이폰, LG 텔레콤의 개방형 무선인터넷서비스 OZ 등과 같이 라이벌 기업에서 SK 에 타격을 가할 만큼의 다양한 시도들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위협적인 존재로 성장,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통신요금 하락세의 가속화 로 인해 해외진출을 고려하게 되었다.
② 국내시장의 포화
2008년 한국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4,498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90%이상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청소년, 초등학생까지 1인당 1개 이상의 휴대폰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으로 더 이상 신규가입자를 늘린다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연스레 해외시장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출처: SERI 보고서로 읽는 불황기 경영전략. P.263. 2009. 삼성경제연구소 저)
③ 한국 IT 산업의 도전
제조업은 수출을 통해 글로벌화 됐지만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선 제조업만으로는 충분하지가 못 하다. IT 서비스가 해외진출에 성공을 하게 되면 그와 관련된 여러 많은 연관분야 즉, 관련 콘텐츠, 소프트웨어 등이 함께 진출 하게 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
3. 해외진출
① 미국진출
1) 진출배경 : 미국은 글로벌 통신시장을 선도하는 사업 환경과 양질의 대규모 고객기반을 보유한 시장으로 SK텔레콤의 데이터 및 컨버전스 사업 확장을 위한 성장 기 회가 존재함.
기존통신사(MNO)사업자 : AT&T. T모바일, 버라이즌, 스프린트 등
2) 미국시장현황 : 미국 내 이동 통신사 가입자 중 40%가 삼성과 LG휴대폰을 사용하고 있 다. 삼성, 모토롤라,LG 등 3개 사가 거의 동일한 비율로 마켓을 점유하 고 있는 상황이며 RIM(블랙베리 제조사로 유명)과 노키아가 나머지 시 장 중 각각 거의 동일한 볼륨을 나누어 갖고 있다. 이 통계 내에는 스마 트폰도 함께 포함이 되어 있으니 아직 애플이나 htc등 스마트폰 제조사 는 5위 내에 진입하지 못했다. 여기에 리스팅된 상위 5개사의 점유율은 82.2%로서 나머지 17.8%에 애플이나 htc등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 삼성은 약간 상승한 반면 모토롤라는 비교적 하락하였 다. 가장 큰 성장을 보인 제 조사는 RIM으로써 스마트폰의 성장세와 맥 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입자들의 단말기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가 기능은 역시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이었고 인터넷 서핑이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게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의 접속이나 블로그 접속도 20퍼센트 전후로 나타나 꽤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악 청취는 서핑이나 게임보다는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3) 진출현황 :
2001 미국의 퀄컴사와 1천만불의 Joint Venture Fund 설립
2002 썬마이크로시스템사와 유망기술 육성 및 상용화 협력을 위한 MOU 체결
2004 Verizon Wireless사, SiRF사, Mognolia사와 동기식 IMT 2000기술인 EV-DO 서비 스와 네트워크 장비 개발 및 글로벌 시장 공동마케팅 제안하는 사업협력 계약 체결
2005 미국의 ISP업체인 어스링크사와 합작설립을 통해 아시아 네트워크 업계로서는 최초로 미국 시장에 진출
2008 6월, SK텔레콤의 가상이동망서비스사업자(MVNO)인 Helio가 Virgin Mobile USA와 한 가족이 되었음.
2008 SK텔레콤의 미주사업 부문 글로벌 금융그룹인 Citi와 합작, ‘Mobile Money Ventures’ 라는 회사를 설립, 통합적인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추진.
2008 Virgin Mobile USA가 Helio를 인수함으로써 SK의 미국시장진출은 철수
★여기서 잠깐!!
"MVNO란? MNO란?\"
- 현재 이동통신 사업을 하고 있는 통신회사가 SKT, KTF, LGT가 있는데 이를 MNO(Mobile Network Operator)라고 한다. 이는 통신망시설을 가지고 있는 통신회사를 일
추천자료
SK이동업체의 이미지개선(마케팅 기업경영 마케팅전략 경영전략 이동통신 sk텔레콤
SK텔레콤의 인력 육성 체계 HRM
SK텔레콤 신입사원 교육의 내용및 방안분석(A+완벽분석)
sk텔레콤
[경영][경영이론][기업경영][경영전략][경영전략 사례]경영이론의 발전과정, 다양한 기업의 ...
SK텔레콤 마케팅사례
lg텔레콤,sk텔레콤,ktf 2005년,2006년,2007년 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기업분석
SK텔레콤과 KTF
Sk텔레콤을 통해 본 기업윤리와 윤리경영
sk텔레콤,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이동통신서비스 산업의 서비스품질 (이동통신 산업의 정의, 발전과정, 결정 요인, SK텔레콤 ...
SK텔레콤의 인사제도,채용정보,복리후생,연봉자료 정리
빅데이터(big data) 개념분석과 빅데이터 기업활용사례(SK텔레콤)분석 및 빅데이터 향후전망...
빅 데이터의 정의,빅 데이터란, 빅 데이터의 특성,ZARA실시간 데이터 분석,SK텔레콤 스마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