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쓰기(글쓰기)의 정의
Ⅲ. 쓰기(글쓰기)의 목표
Ⅳ.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원리
1. 쓰기 평가의 목적면
2. 쓰기 평가의 내용과 방법면
3. 평가 결과의 활용면
Ⅴ.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요소
Ⅵ. 쓰기평가(글쓰기평가)와 과정중심쓰기평가
1.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개념
2.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와 제한점
1)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
2)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제한점
3.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방법
1) 사고 구술법
2) 과정상 자기 기록법
3) 과정상 질문법
4) 자기 회상법
5) 오필 분석법
6) 글 분석 추론법
Ⅶ.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사례
Ⅷ.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방법
1. 결과 평가 방법
2. 과정평가
3. 기타 방법
4. 수행 평가법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쓰기(글쓰기)의 정의
Ⅲ. 쓰기(글쓰기)의 목표
Ⅳ.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원리
1. 쓰기 평가의 목적면
2. 쓰기 평가의 내용과 방법면
3. 평가 결과의 활용면
Ⅴ.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요소
Ⅵ. 쓰기평가(글쓰기평가)와 과정중심쓰기평가
1.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개념
2.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와 제한점
1)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
2)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제한점
3.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방법
1) 사고 구술법
2) 과정상 자기 기록법
3) 과정상 질문법
4) 자기 회상법
5) 오필 분석법
6) 글 분석 추론법
Ⅶ.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사례
Ⅷ.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방법
1. 결과 평가 방법
2. 과정평가
3. 기타 방법
4. 수행 평가법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 고작인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학기가 끝나고 방학이 될 무렵에는 통지표에 점수를 기재하거나 간단하게 서술하고 만다. 그만큼 쓰기 평가의 결과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측정 자체보다는 평가나 총평의 측면에 대해 좀더 많은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Ⅴ.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요소
쓰기 평가요소에 대한 분류는 학자들이나 단체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디드리히(Diederich)는 ‘내용, 형태, 문체, 맞춤법(어법, 철자, 구두점, 필체), 어휘’로 다섯 요소를 주장하였고, 국제교육평가협의회(IEA)에서는 ‘내용의 질과 범위, 내용의 조직과 표현방법, 문체 및 표현의 적절성, 독자에 대한 인식, 맞춤법’을 내세웠다. 여기서는 글의 종류별로 평가하는 것과는 달리 평가 요소를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보았다. 내용생성, 내용조직, 표현, 고쳐 쓰기맞춤법태도가 그것이다.
이런 네 가지 요소에 의한 평가는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우선 지적할 수 있는 것이 평가준거의 진술은 추상성을 띌 수밖에 없고, 위계화가 어려운 준거들도 더러 있다는 점이다. 평가준거의 위계화는 동시적인 분포를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보적인 분포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내용이 수준을 대표할 수 있는 것도 있다.
또 글의 구성요소를 ‘내용생성’, ‘내용조직’, ‘표현’, ‘고쳐 쓰기맞춤법태도’로 나눈다고 해서 그것이 엄격하게 분리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것은 ‘내용’에 속할 수도 있고, 또 ‘조직’에 속할 수도 있다. 보기를 들면 “주장에 대한 뒷받침 문장이 있다.”와 같은 것은 ‘내용’에도 들어갈 수 있고 ‘조직’에도 들어갈 수 있다. 또 “개성적인 글감으로 솔직하게 표현한다.”는 내용과 표현 중 어디에도 속할 수 있다. 여기서는 어떤 평가준거가 어떤 구성요소에 속하느냐 하는 문제를 결정할 때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쪽으로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
앞으로 제시할 10단계 표의 평가준거는 기존의 교육과정의 도움을 받았다. 또 Patrick Griffin, Patricia G. Smith, Lois E. Burrill(1995: 38-55)에서의 9단계를 참고했다. 또 다른 중요한 도움은 학생들의 글이었다. 학생들의 글을 분석하고 평가하면서 해당 단계에 맞는 평가준거를 도출할 수 있었다.
평가준거의 진술은 추상성을 띌 수밖에 없고, 위계화가 어려운 준거들도 더러 있다. 평가준거의 위계화는 동시적인 분포를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보적인 분포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내용이 수준을 대표할 수 있는 것도 있다.
Ⅵ. 쓰기평가(글쓰기평가)와 과정중심쓰기평가
1.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개념
과정 평가의 뜻
대체로 과정 평가라는 말은 다음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과정 평가라는 말은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를 일컫는 용어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둘째, 한 달이나 한 학기를 단위로 할 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평가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셋째, 완성된 결과보다는 그 결과를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평가 할 때 과정평가라는 말을 쓴다.
2.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와 제한점
1)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
쓰기 과정을 평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 쓰기 과정 평가는 무엇보다도 쓰기가 의미 구성 행위이자 문제 해결 행위라는 점을 좀 더 부각시킬 수 있다. 둘째, 쓰기의 과정 평가는 일종의 사회적 행위임을 부각시킬 수 있다. 셋째, 쓰기 과정 평가를 통해 각 개인의 쓰기 과정에 대해 좀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넷째, 각 학생들의 발달 과정을 좀 더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수업과 평가가 좀 더 긴밀하게 관련을 맺을 수 있다. 여섯째, 과정평가를 통해 쓰기 동안에 이루어지는 상위인지 측면을 강조할 수 있다. 일곱째, 상위인지 측면과 어느 정도 관련이 되나 과정평가를 하면 고등정신능력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2)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제한점
첫째, 다수를 대상으로 할 수 없다. 둘째, 학업 성취도의 변별을 위해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이 좀 더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다섯째, 자연스런 상태에서 글쓰기 행위를 제한 할 수 있다.
3.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방법
1) 사고 구술법
이 방법은 필자에게 자신이 글을 써 나가는 과정에서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행위를 모두 말해 보게 한 다음, 말한 것을 분석하여 필자의 의미 구성 과정을 추론해 보는 것이다.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글을 쓰는 과정에서 중얼거리는 것을 보고 어느 정도 글쓰기의 과정을 추론해 볼 수 있다.
2) 과정상 자기 기록법
이 방법은 글을 쓰는 과정에서 말로 하지 않고 자신의 사고 과정에 대해 간다하게 쓰게 하는 방법이다.
3) 과정상 질문법
이 방법은 교사가 일련의 글쓰기 과정에서 학생에게 질문을 하여 교사가 원하는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 교사는 일련의 쓰기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적절한 시기에 학생에게 질문을 한다.
4) 자기 회상법
이 방법은 글을 다 쓴 다음 과정에 대해 세밀하게 회상하게 하는 방법이다. 글을 다 쓴 다음 그냥 순서대로 자기 순간순간 했던 사고 행위를 말해 보게 할 수도 있고, 한두 문장을 끊어서 그때 무슨 생각을 했는지 말해 보게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5) 오필 분석법
이 방법은 학생이 글을 쓰는 과정을 옆에서 면밀하게 지켜보면서 그 학생이 잘못 쓰거나 쓴 것을 고치는 행위를 살펴 그 학생이 어떤 사고 활동을 해 나가고 있는지를 추론해 보는 방법이다.
6) 글 분석 추론법
이 방법은 학생이 써 놓은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학생의 사고 과정을 추론해 보는 방법이다. 학생이 완성해 놓은 글을 대상으로 할 수 도 있고, 글을 쓴 과정에서 산출해 놓은 자료, 예를 들어 얼른 떠올리거나 생각 그물 만들기를 한 자료, 개요나 수정을 하는 것을 보고 이 때 학생이 무슨 생각을 했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다.
Ⅶ.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사례
(꽃그림) 아빠가 축구를했다.
밥을 먹었다.
과자도먹었다. 참맛있섰다.
우리아빠가몰래갔다.
우리 아빠편 이저다.
내가 밀감을먹었다
참
Ⅴ.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요소
쓰기 평가요소에 대한 분류는 학자들이나 단체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디드리히(Diederich)는 ‘내용, 형태, 문체, 맞춤법(어법, 철자, 구두점, 필체), 어휘’로 다섯 요소를 주장하였고, 국제교육평가협의회(IEA)에서는 ‘내용의 질과 범위, 내용의 조직과 표현방법, 문체 및 표현의 적절성, 독자에 대한 인식, 맞춤법’을 내세웠다. 여기서는 글의 종류별로 평가하는 것과는 달리 평가 요소를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보았다. 내용생성, 내용조직, 표현, 고쳐 쓰기맞춤법태도가 그것이다.
이런 네 가지 요소에 의한 평가는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우선 지적할 수 있는 것이 평가준거의 진술은 추상성을 띌 수밖에 없고, 위계화가 어려운 준거들도 더러 있다는 점이다. 평가준거의 위계화는 동시적인 분포를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보적인 분포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내용이 수준을 대표할 수 있는 것도 있다.
또 글의 구성요소를 ‘내용생성’, ‘내용조직’, ‘표현’, ‘고쳐 쓰기맞춤법태도’로 나눈다고 해서 그것이 엄격하게 분리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것은 ‘내용’에 속할 수도 있고, 또 ‘조직’에 속할 수도 있다. 보기를 들면 “주장에 대한 뒷받침 문장이 있다.”와 같은 것은 ‘내용’에도 들어갈 수 있고 ‘조직’에도 들어갈 수 있다. 또 “개성적인 글감으로 솔직하게 표현한다.”는 내용과 표현 중 어디에도 속할 수 있다. 여기서는 어떤 평가준거가 어떤 구성요소에 속하느냐 하는 문제를 결정할 때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쪽으로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
앞으로 제시할 10단계 표의 평가준거는 기존의 교육과정의 도움을 받았다. 또 Patrick Griffin, Patricia G. Smith, Lois E. Burrill(1995: 38-55)에서의 9단계를 참고했다. 또 다른 중요한 도움은 학생들의 글이었다. 학생들의 글을 분석하고 평가하면서 해당 단계에 맞는 평가준거를 도출할 수 있었다.
평가준거의 진술은 추상성을 띌 수밖에 없고, 위계화가 어려운 준거들도 더러 있다. 평가준거의 위계화는 동시적인 분포를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보적인 분포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내용이 수준을 대표할 수 있는 것도 있다.
Ⅵ. 쓰기평가(글쓰기평가)와 과정중심쓰기평가
1.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개념
과정 평가의 뜻
대체로 과정 평가라는 말은 다음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과정 평가라는 말은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를 일컫는 용어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둘째, 한 달이나 한 학기를 단위로 할 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평가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셋째, 완성된 결과보다는 그 결과를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평가 할 때 과정평가라는 말을 쓴다.
2.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와 제한점
1)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
쓰기 과정을 평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 쓰기 과정 평가는 무엇보다도 쓰기가 의미 구성 행위이자 문제 해결 행위라는 점을 좀 더 부각시킬 수 있다. 둘째, 쓰기의 과정 평가는 일종의 사회적 행위임을 부각시킬 수 있다. 셋째, 쓰기 과정 평가를 통해 각 개인의 쓰기 과정에 대해 좀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넷째, 각 학생들의 발달 과정을 좀 더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수업과 평가가 좀 더 긴밀하게 관련을 맺을 수 있다. 여섯째, 과정평가를 통해 쓰기 동안에 이루어지는 상위인지 측면을 강조할 수 있다. 일곱째, 상위인지 측면과 어느 정도 관련이 되나 과정평가를 하면 고등정신능력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2)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제한점
첫째, 다수를 대상으로 할 수 없다. 둘째, 학업 성취도의 변별을 위해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이 좀 더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다섯째, 자연스런 상태에서 글쓰기 행위를 제한 할 수 있다.
3.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방법
1) 사고 구술법
이 방법은 필자에게 자신이 글을 써 나가는 과정에서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행위를 모두 말해 보게 한 다음, 말한 것을 분석하여 필자의 의미 구성 과정을 추론해 보는 것이다.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글을 쓰는 과정에서 중얼거리는 것을 보고 어느 정도 글쓰기의 과정을 추론해 볼 수 있다.
2) 과정상 자기 기록법
이 방법은 글을 쓰는 과정에서 말로 하지 않고 자신의 사고 과정에 대해 간다하게 쓰게 하는 방법이다.
3) 과정상 질문법
이 방법은 교사가 일련의 글쓰기 과정에서 학생에게 질문을 하여 교사가 원하는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 교사는 일련의 쓰기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적절한 시기에 학생에게 질문을 한다.
4) 자기 회상법
이 방법은 글을 다 쓴 다음 과정에 대해 세밀하게 회상하게 하는 방법이다. 글을 다 쓴 다음 그냥 순서대로 자기 순간순간 했던 사고 행위를 말해 보게 할 수도 있고, 한두 문장을 끊어서 그때 무슨 생각을 했는지 말해 보게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5) 오필 분석법
이 방법은 학생이 글을 쓰는 과정을 옆에서 면밀하게 지켜보면서 그 학생이 잘못 쓰거나 쓴 것을 고치는 행위를 살펴 그 학생이 어떤 사고 활동을 해 나가고 있는지를 추론해 보는 방법이다.
6) 글 분석 추론법
이 방법은 학생이 써 놓은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학생의 사고 과정을 추론해 보는 방법이다. 학생이 완성해 놓은 글을 대상으로 할 수 도 있고, 글을 쓴 과정에서 산출해 놓은 자료, 예를 들어 얼른 떠올리거나 생각 그물 만들기를 한 자료, 개요나 수정을 하는 것을 보고 이 때 학생이 무슨 생각을 했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다.
Ⅶ. 쓰기평가(글쓰기평가)의 사례
(꽃그림) 아빠가 축구를했다.
밥을 먹었다.
과자도먹었다. 참맛있섰다.
우리아빠가몰래갔다.
우리 아빠편 이저다.
내가 밀감을먹었다
참
추천자료
애니메이션․광고를 활용한 서사적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탈 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3단원-생활 속의 글쓰기
[우수 평가 자료]글쓰기의 전략- 저자가 말하는 핵심 교훈과 시사점.
[초등학교 국어교육]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말하기교육과 글쓰기교육, 초등학교 국어과(...
도정일 외 13명의 '글쓰기의 최소원칙'을 읽고
한글의 역사와 맞춤법을 통한 글쓰기 방법 조사분석
작문 교과서에 제시된 일상적 글쓰기 연구 분석
[방송대,방통대,1학년공통,글쓰기,과제물] 우리동네
[비문학 독후감] 임재춘의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를 읽고...
[독후감] 글쓰기로 부업하라 : 일기 정도 쓸 수 있다면 누구나 가능하다
체육학)운동 선수들에게 글쓰기는 왜 필요한가 운동 선수들은 왜 공부를 해야 하는가 에 대한...
만줄라 마틴 엮음의 “밥벌이로써의 글쓰기”를 읽고 독서 감상문
[a+레포트]아웃풋 독서법을 읽고 글쓰기 독서 서평 독후감 소설 글짓기 자기계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