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 의의와 필요성,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 내용,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와 표준발음법, 표준발음사전, 장단음,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사례,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 의의와 필요성,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 내용,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와 표준발음법, 표준발음사전, 장단음,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사례,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의 의의
1. 모국어
2. 연령
3. 노출
4. 선천적 발음 능력
5. 정체성과 언어 자아
6. 우수한 발음에 대한 동기와 관심

Ⅱ.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의 필요성

Ⅲ.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의 내용

Ⅳ.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와 표준발음법

Ⅴ.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와 표준발음사전

Ⅵ.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와 장단음

Ⅶ.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의 사례
1. 〈ㅏ〉와〈ㅓ〉소리의 길이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낱말 찾기
1) 불러 주는 말 듣고 그림 알아 맞히기
2) 〈ㅏ〉와〈ㅓ〉소리의 길이에 주의하여 정확하게 발음하기
2. 〈ㅗ〉와〈ㅜ〉소리를 정확하게 발음하기
3. 정확하게 발음하기
1) 말소리의 길이에 주의하며 정확하게 발음하기
2) 말소리의 길이를 정확하게 발음하기

Ⅷ.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의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려움을 갖는다. 엄격하게 말하면, 설령 漢族이라 하더라도 어음의 학습은 어휘 보다 어렸다. 가정 어떤 성인이 어느 타 지역에서 약 10년간 거주하여 그 곳의 어휘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어도 정확한 발음이나 억양은 파악할 수 없는 확률이 높다. 그러므로 중국 사람이 하는 보통화에도 역시 자신의 방언 억양이 들어 있다. 비록 보통화가 북경어를 기초로 한 것이지만, 북경인조차도 북경 토착어의 색채가 짙다. 兒化語를 많이 쓰거나 아니면 표준어휘가 아닌 북경 토착 어휘(예. 鷄子兒. 鷄蛋이 표준어임)를 쓰는 것은 모두 표준어가 아닌 것이다. 정확한 어음 학습은 漢人조차도 어려움을 갖는데 권설음이 없을 뿐더러, 음의 高低區分이 없는 한국어가 입에 익숙한 우리의 경우, 정확한 발음 내기란 두 말 할 것 없이 어렵다. 書面語가 아닌 口頭語의 토대가 되는 語音은 언어학습의 기본 요소이며, 보다 견고한 언어 구사를 위한 기반이라고도 할 수 있다.
Ⅲ.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의 내용
발음 지도 내용은 문자 지도 내용과 혼합되어 있고, 막연한 표현으로 낱자의 분명하고 정확한 발음, 표준어 인식 정도로 그치고 있어 그 구체적 내용을 가늠하기가 어렵다.
1, 2학년의 발음지도 내용은 음성언어 사용 기능 신장을 위한 것이라기보다 문자언어 사용 기능 신장을 위한 문자학습 지도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낱소리에 대한 인식과, 낱소리가 이어질 때 어떤 자모가 사용되는가보다 자모의 낱소리 발음과 자모가 배합될 때의 정확한 발음학습이 중심이 되고 있다. 문자사용의 체계적 학습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일이라 하겠으나 우리 말소리가 먼저이고, 말소리 표기 수단이 한글 자모임을 먼저 인지시켜야 한다. 또 3학년의 발음지도 내용은 표준어의 필요성 인식 정도로 그치고 있을 뿐, 4, 5, 6학년에는 직접 관련 항목을 찾아내기 힘들다. 특히 국어 운율과 관련해서는 56차 교육과정 〈말하기듣기〉영역에서만 다음과 같은 내용이 열거되어 있다.
(1) 제5차 교육과정의 발음지도 관련 내용
학 년
내 용
5, 6학년
내용, 목적, 상황에 따라 속도, 어조, 성량 등을 조절하여 말한다.
6학년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어조, 속도, 쉼 등이 말하는 상황 목적에 적절한지 판단한다.
(2) 제6차 교육과정의 발음지도 관련 내용
학 년
내 용
6학년
내용, 목적, 상황에 따라 속도, 어조, 성량 등을 조절하여 말한다.
6학년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어조, 속도, 쉼 등이 말하는 상황 목적에 적절한지 판단한다.
교육과정의 발음지도 내용을 교과서의 발음지도 내용과 관련지어 볼 때 교육과정의 지침내용이 너무나 빈약하고 표현이 막연하다. 1, 2, 3학년 지도 내용에 이어, 4, 5, 6학년 지도내용(언어영역)에도 명시적인 지도항목 설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Ⅳ.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와 표준발음법
1988년에 문교부가 고시한 현행 표준어 규정의 내용에 비추어 보면 표준 발음은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의 실제 발음 중에서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에 부합되게 정해진 발음이라고 할 수 있다(權仁瀚 2000). 이에 대한 몇몇 원칙을 담고 있는 것이 표준어 규정의 제2부인 표준 발음법인데, 그 내용에 대한 평가 및 미비점에 대한 지적이 민현식(1999), 許椿(2001), 배주채(2003) 등에서 나름대로 이루어진 바 있었다. 그리고 고시 당시의 현실 언어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진행된 언어 변화로 인하여 언어 현실과의 괴리가 적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 규정의 일부로서 사전에 실을 표준어의 발음 정보를 정하는 원리를 담은 것 또는 언어로서의 표준어의 음성 부문을 기술한 것 등의 두 가지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 이런 상반된 두 관점이 존재하도록 한 점 자체가 첫째로 꼽을 수 있는 표준 발음법의 단점이다. 그런데 어떤 관점을 취하느냐에 따라 규정의 항목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수 있고, 관점을 초월하여 문제가 되는 항목이 존재하기도 한다.
첫째는 표준 발음법을 개정하는 것인데 언어 현실과의 괴리가 없어질 것이지만 개정안 정착 시까지의 혼란과 잦은 개정이라는 인식의 문제가 있다. 둘째는 표준 발음법을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는 개정에 따른 혼란을 야기하지 않는 반면 시간이 갈수록 언어 현실과 동떨어지는 현상이 예상되므로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셋째는 표준 발음법 규정을 폐지하고 국어사전의 기술에 의지하는 방법이다.
이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표준 발음법 대신에 서울말을 충실히 기술한 ― 서울말에 없는 어휘일 경우에는 일종의 합리적인 차용 방식을 마련하여 ― 국어사전을 사용하는 것이다. 법 개정이나 언어 현실과의 괴리 모두 국민들에게 불편을 주기는 마찬가지일 것이기 때문이다. 또 이 방법은 언어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세계적인 추세와도 부합되는 합리적인 방법이다. 기술 사전에 의지하자는 제3안을 통해서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진정한 중심에, 공통어로서의 표준어를 확립할 수 있다고 믿는다.
Ⅴ.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와 표준발음사전
발음 사전은 일반인들에게는 매우 낯선 사전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발음 사전이 있다는 사실을 모를 것이고, 서점에서 발음 사전을 보더라도 발음 사전이 왜 필요한지 고개를 갸우뚱할 것이다.
모든 언어에서 철자는 현실 발음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dame [deim], dad[daed], father[fːo], call[kːl], village[vilid], many[meni]\' 등의 단어에서 보듯이, 철자 \'a\'는 서로 다른 음가로 발음된다. 이와 같이 철자만으로 단어의 발음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발음 기호를 이용해 각 단어의 발음을 표기하고 이를 사전에 싣는 것이다.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표음문자이고, 한글 맞춤법이 1933년에 제정됐기 때문에 철자와 현실 발음과의 괴리가 매우 작다. 예를 들어 모음 \'ㅏ\'는 어떤 환경에서도 다른 모음으로 발음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현행 한글 맞춤법에서는 형태소 원형 표기 원칙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꽃\'이라는 단어가 \'꽃가루[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