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영훈련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야영훈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등산의 정의
2. 등산의 3요소
3. 등산의 형태
4. 등산 윤리
5. 보행법
6. 산악 기상
7. 등산 장비
8. 계절별 산행 요령
9. 응급 처치
10. 운행계획 짜기

본문내용

세운다(선두가 길을 잘 모르면 진행이 느려지고, 걷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대원의 페이스를 흐트릴 수 있다)
일행 중 가장 약한 사람을 대열 두 번째쯤에 세운다.
선두와 후미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수시로 연락이 가능해야한다.
산행 중 리더는 대원의 체력상태를 파악하여 속도와 휴식, 간식, 점심시간 등을 조절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전체의 보행능력은 체력이 가장 약한 사람을 기준으로 해서 일정과 운행계획을 세워 무리한 운행에서 오는 사고를 방지한다.
대원은 리더의 지시 없이 대열을 이탈하거나 추월 또는 낙오해서는 안된다.
능선이나 계곡의 덤불을 지날 때 자신이 건드리고 지나간 나뭇가지가 뒷사람을 때리지 않도록 조심하고 자신도 앞사람이 건드린 나뭇가지에 맞지 않도록 한다. 특히 자신도 모르게 메고있는 베낭에 의해 나뭇가지가 튕기는 일이 많으므로 앞뒤에 있는 사람이 서로 주의해야한다. 배낭에 부착된 장신구가 나뭇가지에 걸려 보행에 불편을 주기도 하므로 이들은 되도록 배낭에 넣는 것이 좋다.
6. 산악 기상
1) 기온 - 고도에 따른 기온 감률
▶ 100m오를 때 마다 0.6℃씩 낮아진다.
⇒ 대구 지방의 기온이 5℃일 때 팔공산 정상의 기온은 계산해보면 대충 -1∼2℃ 정도가 된다.
∴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덧옷이 꼭 필요하다.
2) 기압 - 고도에 따른 기압 감률
▶100m오를 때 마다 12mb씩 내려간다.(1기압= 1013mb=760mmHg)
5000m↑당 처음 기압의 1/2↓
에베레스트는 처음 기압의 1/3↓
물이 끓는 온도: 760mm ⇒ 100℃, 700mm ⇒ 97℃, 600mm ⇒ 93.5℃
⇒ 팔공산 정상에서 밥을 한다면, 집에서 할 때와 어떻게 다를까? 집에서는 100℃ 에서 물이 끓지만 팔공산 정상에서는 약96℃ 에 물이 끓게 된다.
∴ 밥을 맛있게 지으려면 물을 더 많이 붓고, 오래 끓이고, 뚜껑위에 돌을 얹어 압력을 높여 뜸을 오래 들여야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게된다.
3) 바람
▶낮에는 곡풍(골짜기→산마루)로 불고, 밤에는 산풍(산마루→골짜기)로 분다.
⇒산에서 탠트를 칠 때에는 바람을 고려하여 탠트 입구를 정한다.
∴겨울에는 탠트 입구를 골짜기 쪽으로 두고, 여름에는 산마루쪽으로 둔다.
▶체감온도율 : 1m/sec당 1.2℃↓
⇒대구 지방의 기온이 5℃일 때 팔공산정상에 초속 10미터의 바람이 분다면 체감온도는 6℃정도이다. 거기에다 고도에 따른 기온 가율을 감안하면 몸으로 느끼는 온도는 -7∼8℃이다
∴바람을 막을 수 있는 윈드자켓을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
4) 관천 망기에 의한 기상 예측법
※관천 망기시대
1. 하늘의 상태를 보고 일기를 예상하는 것으로 어부, 농부, 등산가가 많이 활용
2. 숙달시 국지적, 단시간(대개 5∼6시간전) 적중률이 60∼70%로 매우 유효하다
3. 평소 숙달하여 그 적용법을 간직한다는 것은 중요한 등산기술의 하나이다.
● 비올 징조
1) 달무리, 햇무리가 생길 때. 아침 노을, 아침무지개
2) 저녁의 비, 안개. 새, 물, 기적, 종소리가 잘들릴 때
3) 새털, 양털구름. 연기가 북서쪽으로 날릴 때
4) 남풍이 불 때. 기온이 급강하 할 때
5) 소금이 수분을 흡수할 때. 변소, 하수도등의 냄새가 심해질 때
6) 밥풀이 식기에서 잘 떨어질 때. 청개구리가 울 때
7)자라가 물에 올라올 때. 물고기가 물위로 올라올 때
8) 제비가 낮게 날 때. 개미가 장을 칠 때
9) 고양이가 세수할 때. 개가 풀을 먹을 때
10) 신경통, 상처가 가려울 때
● 폭풍우, 뇌우의 징조
1) 바다가 울 때. 산곡풍향이 반대일 때
2) 아침의 뇌우. 까마귀가 떠들 때
3) 황소가 심히 울 때. 초가을에 북동풍이 강해지고 남쪽하늘이 검은 빛으로 변할 때
● 소나기의 징조 : 뭉게구름이 대규모로 확산될 때
● 강풍의 징조 : 별빛이 유난히 흔들릴 때
● 맑아질 징조
1) 연기가 똑바로 오를 때
2) 뭉게 구름
3) SW→NW풍 일 때.
4) 거미가 집을 지을 때
5) 그외는 거의 비올징조와 반대임
● 기타
1) 서풍은 일몰 때가지 계속된다.
2) 남풍은 약해질 줄을 모른다.
7. 등산 장비
등산의 물질적 요소 중 하나인 등산 장비란 \"등반자가 목적한 산을 보다 안전하게 오를 수 있도록 도와주고 보호해 주며 조난 시에는 꼭 필요한 도구\"를 말한다.
등산 장비는 등반자의 노력과 올라가야 할 산 그리고 계절에 따라 일정한 장비가 필요하다. 장비를 갖추고 준비할 때에는 경험자나 산악회 등에 조언을 구해서 장비의 성능을 잘 알아야함은 물론 사용법과 보존법을 충분히 습득해야한다.
등산 장비에 관한 참된 산악인은 필요한 최소 한도의 장비를 최대한도로 활용할 줄 아는 기술과 몸가짐을 갖고 있어야 한다.
1) 장비의 선택 요령 및 구비 조건
- 가볍고 부피가 적은 것
- 취급 및 사용하기 간편한 것
- 튼튼하고 질기며 파손 우려가 적은 것
- 사용 효과 즉 성능이 좋은 것
- 자기의 체격과 기술에 적합한 것
2) 실제 등산에 따른 장비 준비
(1) 당일 산행(봄, 여름, 가을)
복장
등산화(클레터 슈즈, 카라반 슈즈 등 경등산화), 방풍 및 방수의(오버트라우져), 예비옷, 예비양말, 손수건, 모자 등
등반 운행구
배낭(30리터), 수통, 배낭 커버, 지도, 컴퍼스, 라디오, 시계
취사구
대부분의 산이 취사금지 구역이므로 도시락 및 행동식으로 대치
기타
다용도칼, 랜턴, 구급약, 사진기 등
(2) 당일 산행 (겨울철 - 적설기) 1)의 준비물을 모두 포함하며 다음의 것을 추가 함복장
등산화(비브람, 프라스틱화 등 방수 처리된 중등산화), 파카, 오버트라우즈, 장갑, 털모자, 오버미튼
등반운행구
아이젠, 스패츠, 피켈(또는 스키스톡), 보온병

(3) 야영 산행(장기 산행) 1), 2)의 준비물을 모두 포함하며 다음의 것을 추가함
등반구
배낭(60∼80리터)
막영구
침낭(우모), 매트리스, 텐트슈즈, 텐트, 가스등(양초등), 삽, 비닐
취사구
코펠, 버너(개스, 석유, 휘발유 등), 방풍판, 물통, 수저, 조미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11.16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