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골절의 개념
Ⅲ. 골절의 분류
1. 해부학적 위치에 의한 분류
2. 골절의 정도에 의한 분류
1) 완전 골절
2) 불완전 골절
3. 골절 면의 방향에 의한 분류
4. 골절 편의 수에 의한 분류
5. 골절 편의 전위 여부에 의한 분류
1) 비전위성 골절
2) 전위성 골절
6. 골절의 안정성에 의한 분류
1) 안정골절
2) 불안정 골절
7. 개방창 동반 유무에 의한 분류
1) 개방성 골절
2) 폐쇄성 골절
Ⅳ. 골절의 진단
Ⅴ. 골절의 치료(응급처치)
Ⅵ. 골절환자의 간호
1. 간호진단 : 통증
2. 간호진단 : 체액부족
3. 혈액손실량의 사정
4. 간호진단 : 지식 결핍
5. 간호진단 : 불안
6. 간호진단 : 가스 교환 장애
7. 간호진단 : 조직 관류 변화(말초)
8. 간호진단 : 감염 발생 위험
9. 간호진단 : 신체적 가동성 장애
참고문헌
Ⅱ. 골절의 개념
Ⅲ. 골절의 분류
1. 해부학적 위치에 의한 분류
2. 골절의 정도에 의한 분류
1) 완전 골절
2) 불완전 골절
3. 골절 면의 방향에 의한 분류
4. 골절 편의 수에 의한 분류
5. 골절 편의 전위 여부에 의한 분류
1) 비전위성 골절
2) 전위성 골절
6. 골절의 안정성에 의한 분류
1) 안정골절
2) 불안정 골절
7. 개방창 동반 유무에 의한 분류
1) 개방성 골절
2) 폐쇄성 골절
Ⅳ. 골절의 진단
Ⅴ. 골절의 치료(응급처치)
Ⅵ. 골절환자의 간호
1. 간호진단 : 통증
2. 간호진단 : 체액부족
3. 혈액손실량의 사정
4. 간호진단 : 지식 결핍
5. 간호진단 : 불안
6. 간호진단 : 가스 교환 장애
7. 간호진단 : 조직 관류 변화(말초)
8. 간호진단 : 감염 발생 위험
9. 간호진단 : 신체적 가동성 장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방법 등, 옛날부터 행해진 방법이 부활되어 좋은 성적을 올리고 있다. 또 새로운 방법으로는 횡단면이 V형 또는 C형인 수내정(髓內釘:큔처못)을 골수 내에 박아서 골절부를 꿰어 고정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수내정이 고정의 역할을 하므로 단기간의 깁스 붕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운동연습을 시작할 수가 있다. 대퇴골·하퇴골 등이 가장 유리한 적용 부위이다.
두개골의 골절에서는 현저한 함몰이 없는 한 특별히 골절에 관한 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외부에서 두피가 이것을 고정하여 주므로 자연히 치유된다. 함몰이 심한 때나 골편이 두개(頭蓋) 내에 박혀서 뇌의 실질을 손상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으로 제거하거나 정복(整復)해야 한다. 개방골절로서 골편이 상실된 때는 플라스틱 또는 특수강판을 이용한 정형수술(整形手術)을 행한다. 골절은 뼈의 손상에 그치지 않고 그 가까이에 있는 신경·근육·혈관 등의 손상을 수반하는 일이 적지 않다. 그 결과 말초근의 마비나 근육의 구련(拘攣)·위축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골절된 수족의 운동기능 회복이 충분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을 초기부터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치료 초기부터 충분한 검사와 치밀한 처치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감염·화농 등을 염려하여 보존적 치료에만 주력하였으나, 현재는 오히려 철저한 X선 검사로 충분한 준비하에서 적극적인 치료가 행해지고 있으며, 그 성적도 매우 우수하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해묵은 골절 등에 대해서도 수술적 치료가 연구되어 실시되는 경향이 강하다.
Ⅲ. 골절의 분류
1. 해부학적 위치에 의한 분류
장골의 부위별 명칭에 따라 골단, 골간단, 골간부, 또는 인접관절을 침범한 경우 관절 내 골절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며, 근위부, 중간부, 원위부로 나누기도 한다. 또한 각각의 뼈의 특수한 해부학적 명칭에 따라, 대퇴골이 경우, 두부, 경부, 전자부, 전자하부, 과상부, 과부골절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2. 골절의 정도에 의한 분류
1) 완전 골절
골절이 양측 피질골의 연속성을 완전히 소실시키는 경우이다.
2) 불완전 골절
일측 피질골의 연속성만을 파괴시킨 경우이다.
3. 골절 면의 방향에 의한 분류
골절이 일어난 방향에 따라 횡상(transvers), 사상(oblipue), 나선상(spiral), 종상(longitu
dinal) 골절 등으로 나눌수 있다.
4. 골절 편의 수에 의한 분류
단순 또는 선상 골절과 분쇄 골절로 나눌 수 있으며, 분쇄 골절은 2개 이상의 골절 선이 만나 골절 편이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분절 골절은 별도의 2개의 완전한 골절이 한 뼈에 동시에 존재 하는 경우를 말한다.
5. 골절 편의 전위 여부에 의한 분류
1) 비전위성 골절
불완전 골절이나 완전골절이나 전위가 없는 경우의 골절을 말함
2) 전위성 골절
완전 골절이며, 전위된 경우를 말한다.
6. 골절의 안정성에 의한 분류
1) 안정골절
뼈가 완전히 부러지지 않은 경우나 부러진 끝이 어디에 박혀 있거나 서로 꽉 끼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런 골절은 팔목, 어깨, 발목, 그리고 골반에 흔하다.
2) 불안정 골절
뼈가 완전히 부러졌거나 인대가 파열된 경우 부러진 뼈나 뼈끝은 어긋나 있게 된다. 더 이상의 내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룰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7. 개방창 동반 유무에 의한 분류
1) 개방성 골절
외상을 동반하며 피부가 찢어지고 뼈는 돌출되어 피부표면이 공기 중에 노출, 오염된다.
2) 폐쇄성 골절
주변 피부는 찢어지지 않은채 주변의 조직 손상으로 부종이 있다.
Ⅳ. 골절의 진단
골절의 진단은 뼈의 고정성의 소실, 이상위치, 움직일 때 나는 이상음 등에 의하여 분명해질 때도 있으나, 골절단의 이개(離開)가 없을 때는 이러한 증세를 나타내지 않는다. 특히, 운동기에 속하지 않는 편평관 등에서는 골절에 의한 증세가 나타나기 어렵다. 골절은 X선 촬영에 의하여 가장 잘 발견된다. 그러나 골절이 금이 간 정도이면 발견하기 어렵고, 복잡한 뼈의 음영(陰影)이 겹쳐 있는 부위에서도 알아보기 어렵다. 두골·안면·척추, 손이나 발목 등의 금이 간 골절의 발견에는 상당한 경험이 필요하다.
Ⅴ. 골절의 치료(응급처치)
골절의 경우 뼈가 부러진 것은 별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부러진 뼈가 그 주위의 조직(신 경, 근육, 혈관, 건)을 손상시켰을 때 문제가 된다. 신경등이 손상받았을 경우 치료기간이 장기화되거나 불구가 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움직여서 부러진 뼈가 신경 등을 손상시키면(악화시키면) 안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조건 다 골절처치를 하는 것이 아니다. 잘못 골절처치를 하다가 또는 골절처치하는 동안 무리하게 움직여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단순골절인 경우 의사나 구급차가 오고 있는 중이면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는다. 복잡골절이 되지 않도록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충격처치를 한다. 그리고 복잡골절인 경우 의사나 구급차가 오고 있는 중이면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는다.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으로 지혈 시킨다.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충격처리를 한다. 골절의 의심이 있을 경우 골절로 간주하고 처치한다. 고정방법으로는 부목, 팔걸이, 베개, 담요 등을 사용함. 부목은 받침이 있어야 한다. 부목은 충분히 길어야 한다. 들것을 사용하여 후송한다. 대용 부목으로 담요 접은 것 / 신문지 접은 것 / 큰 잡지 등을 사용한다. 부분별 처치로는 코 골절인 경우 부목 사용 불능. 사두붕대를 사용한다. 상처에 대한 처치를 한다. 턱 골절인 경우 움직이면 통증이 있다.
아래 윗 이가 맞지 않는다. 담화나 식사가 불가능하다. 입을 열고 있다. 부목 사용 불능. 턱을 부축하는 붕대를 한다.(단, 붕대를 한 뒤에 환자가 토할 기세가 있으면 풀어 주어야 한다.) 쇄골 골절인 경우 손으로 만져서 느낄 수 있다. 손을 올리지 못한다. 다친 쪽 팔이 축 처진다. 부목은 못 쓴다. 팔을 가슴에 붙이고 팔거리를 한 후, 팔을 몸통에 고정 시킨다.
늑골 골절일 경우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 때 아프다. 흔히 손을 가슴에 대고 얕게 쉰다. 폐 가
두개골의 골절에서는 현저한 함몰이 없는 한 특별히 골절에 관한 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외부에서 두피가 이것을 고정하여 주므로 자연히 치유된다. 함몰이 심한 때나 골편이 두개(頭蓋) 내에 박혀서 뇌의 실질을 손상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으로 제거하거나 정복(整復)해야 한다. 개방골절로서 골편이 상실된 때는 플라스틱 또는 특수강판을 이용한 정형수술(整形手術)을 행한다. 골절은 뼈의 손상에 그치지 않고 그 가까이에 있는 신경·근육·혈관 등의 손상을 수반하는 일이 적지 않다. 그 결과 말초근의 마비나 근육의 구련(拘攣)·위축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골절된 수족의 운동기능 회복이 충분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을 초기부터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치료 초기부터 충분한 검사와 치밀한 처치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감염·화농 등을 염려하여 보존적 치료에만 주력하였으나, 현재는 오히려 철저한 X선 검사로 충분한 준비하에서 적극적인 치료가 행해지고 있으며, 그 성적도 매우 우수하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해묵은 골절 등에 대해서도 수술적 치료가 연구되어 실시되는 경향이 강하다.
Ⅲ. 골절의 분류
1. 해부학적 위치에 의한 분류
장골의 부위별 명칭에 따라 골단, 골간단, 골간부, 또는 인접관절을 침범한 경우 관절 내 골절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며, 근위부, 중간부, 원위부로 나누기도 한다. 또한 각각의 뼈의 특수한 해부학적 명칭에 따라, 대퇴골이 경우, 두부, 경부, 전자부, 전자하부, 과상부, 과부골절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2. 골절의 정도에 의한 분류
1) 완전 골절
골절이 양측 피질골의 연속성을 완전히 소실시키는 경우이다.
2) 불완전 골절
일측 피질골의 연속성만을 파괴시킨 경우이다.
3. 골절 면의 방향에 의한 분류
골절이 일어난 방향에 따라 횡상(transvers), 사상(oblipue), 나선상(spiral), 종상(longitu
dinal) 골절 등으로 나눌수 있다.
4. 골절 편의 수에 의한 분류
단순 또는 선상 골절과 분쇄 골절로 나눌 수 있으며, 분쇄 골절은 2개 이상의 골절 선이 만나 골절 편이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분절 골절은 별도의 2개의 완전한 골절이 한 뼈에 동시에 존재 하는 경우를 말한다.
5. 골절 편의 전위 여부에 의한 분류
1) 비전위성 골절
불완전 골절이나 완전골절이나 전위가 없는 경우의 골절을 말함
2) 전위성 골절
완전 골절이며, 전위된 경우를 말한다.
6. 골절의 안정성에 의한 분류
1) 안정골절
뼈가 완전히 부러지지 않은 경우나 부러진 끝이 어디에 박혀 있거나 서로 꽉 끼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런 골절은 팔목, 어깨, 발목, 그리고 골반에 흔하다.
2) 불안정 골절
뼈가 완전히 부러졌거나 인대가 파열된 경우 부러진 뼈나 뼈끝은 어긋나 있게 된다. 더 이상의 내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룰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7. 개방창 동반 유무에 의한 분류
1) 개방성 골절
외상을 동반하며 피부가 찢어지고 뼈는 돌출되어 피부표면이 공기 중에 노출, 오염된다.
2) 폐쇄성 골절
주변 피부는 찢어지지 않은채 주변의 조직 손상으로 부종이 있다.
Ⅳ. 골절의 진단
골절의 진단은 뼈의 고정성의 소실, 이상위치, 움직일 때 나는 이상음 등에 의하여 분명해질 때도 있으나, 골절단의 이개(離開)가 없을 때는 이러한 증세를 나타내지 않는다. 특히, 운동기에 속하지 않는 편평관 등에서는 골절에 의한 증세가 나타나기 어렵다. 골절은 X선 촬영에 의하여 가장 잘 발견된다. 그러나 골절이 금이 간 정도이면 발견하기 어렵고, 복잡한 뼈의 음영(陰影)이 겹쳐 있는 부위에서도 알아보기 어렵다. 두골·안면·척추, 손이나 발목 등의 금이 간 골절의 발견에는 상당한 경험이 필요하다.
Ⅴ. 골절의 치료(응급처치)
골절의 경우 뼈가 부러진 것은 별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부러진 뼈가 그 주위의 조직(신 경, 근육, 혈관, 건)을 손상시켰을 때 문제가 된다. 신경등이 손상받았을 경우 치료기간이 장기화되거나 불구가 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움직여서 부러진 뼈가 신경 등을 손상시키면(악화시키면) 안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조건 다 골절처치를 하는 것이 아니다. 잘못 골절처치를 하다가 또는 골절처치하는 동안 무리하게 움직여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단순골절인 경우 의사나 구급차가 오고 있는 중이면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는다. 복잡골절이 되지 않도록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충격처치를 한다. 그리고 복잡골절인 경우 의사나 구급차가 오고 있는 중이면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는다.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으로 지혈 시킨다.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충격처리를 한다. 골절의 의심이 있을 경우 골절로 간주하고 처치한다. 고정방법으로는 부목, 팔걸이, 베개, 담요 등을 사용함. 부목은 받침이 있어야 한다. 부목은 충분히 길어야 한다. 들것을 사용하여 후송한다. 대용 부목으로 담요 접은 것 / 신문지 접은 것 / 큰 잡지 등을 사용한다. 부분별 처치로는 코 골절인 경우 부목 사용 불능. 사두붕대를 사용한다. 상처에 대한 처치를 한다. 턱 골절인 경우 움직이면 통증이 있다.
아래 윗 이가 맞지 않는다. 담화나 식사가 불가능하다. 입을 열고 있다. 부목 사용 불능. 턱을 부축하는 붕대를 한다.(단, 붕대를 한 뒤에 환자가 토할 기세가 있으면 풀어 주어야 한다.) 쇄골 골절인 경우 손으로 만져서 느낄 수 있다. 손을 올리지 못한다. 다친 쪽 팔이 축 처진다. 부목은 못 쓴다. 팔을 가슴에 붙이고 팔거리를 한 후, 팔을 몸통에 고정 시킨다.
늑골 골절일 경우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 때 아프다. 흔히 손을 가슴에 대고 얕게 쉰다. 폐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