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사회적기업 사례
1. 사회적기업은 무엇인가?
2. 사회적 기업가는 누구인가?
3. 사회적기업의 아이템
4. 어떻게 지역에서 사회적기업을 시작할 수 있는가?
5. 사회적기업 지역별사례
1. 사회적기업은 무엇인가?
2. 사회적 기업가는 누구인가?
3. 사회적기업의 아이템
4. 어떻게 지역에서 사회적기업을 시작할 수 있는가?
5. 사회적기업 지역별사례
본문내용
니지만 정부 제도와의 연계 속에서 향후 사회적기업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자활근로 사업단, 사회적일자리 사업단 등이다.
- 마지막으로 최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삼성전자의 하청회사인 정립전자, 교보생명이 지원하는 다솜이 간병사업단, SK에서 지원하고 있는 도시락사업단 등도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기업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기업가는 누구인가?
- 그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특별히 사람들이 흔히 불필요하게 생각하는 공 간과 물건, 효율성에 가려진 각 사람의 숨겨진 자원을 지역사회와 사회적 통합을 위 한 새로운 자원으로 재창조하는 사람들이다.
- 사회적 기업가는 사회변화의 지도자이며, 그는 시장영역에서, 공공영역에서, 시민사 회에서 발굴될 수 있다.
- 그는 사업가적 정신과 사회적 관심을 균형 있게 통합하며, 과제를 가로막고 있는 장 애와 한계를 비젼에 대한 굳은 믿음과 창의적이며 강한 의지로 극복하여 나가며 다 른 사람을 돕고 설득하여 그것을 현실화하는 사람이다.
- 그들은 매우 높은 협동적 활동과 그들 지역사회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한 마디로 그들은 선한 활동을 선하게 하는 사람들이다.
- 그들은 이상과 현실의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전문적인 기술과 함께 시장의 실용주의를 가지고 있으며, 실용적 태도와 함께 비젼을 가지고 있고, 전술적 날카로움과 함께 윤리적 열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 그들은 남들이 보잘 것 없게 보는 것들을 향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그것들이 어떻게 새롭고 가치 있게 창조될 수 있는가에 관심한다.
- 그들은 사람들을 위하여 시장에서 일하며 선한 세력들과 광범위한 연대를 모색한다.
3. 사회적기업의 아이템(이슈) 발굴
-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비교적 높은 필요가 있지만 자본을 투자할 만큼 수익이 기 대되지 않아 기업이 참여하지 않고, 공공은 재정적 부담으로 방치하고 있는 영역 의 발굴
- 지역사회와 지자체의 동의를 기초로 공공이나 지역사회(민간)에서 인적, 재정적 자원동원 가능성이 높은 영역
- 진행과정을 통하여 공공영역으로의 제도화, 혹은 소비자들의 부담이나 공동부담 을 통하여 안정적인 일자리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은 영역
- 사업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공동체성 회복과 새로운 창조, 지역사회 발전과 주민 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영역
4. 어떻게 지역에서 사회적 기업을 시작할 수 있는가?
-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협동조합이나 자활공동체 등의 지역화전략과 연계하여 다 양한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혹은 지역에서 사회적 기 업을 시작할 수 있는 다양한 시민사회 조직들이나 단체들의 공동작업을 통하여 시작할 수 있다.
- 지역사회와 함께 사회적 경제운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몇 가지 능력들이 있는데 첫째는 다른 사람들의 결핍과 부족한 영역, 의존관계를 보는 능력, 둘째는 서로 다른 공동체들과 함께 이제까지 시도하지 않은 노력을 이끌어 내는 능력, 셋째 장애와 난관 앞에서도 상호신뢰와 희망을 놓지 않는 팀
- 마지막으로 최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삼성전자의 하청회사인 정립전자, 교보생명이 지원하는 다솜이 간병사업단, SK에서 지원하고 있는 도시락사업단 등도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기업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기업가는 누구인가?
- 그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특별히 사람들이 흔히 불필요하게 생각하는 공 간과 물건, 효율성에 가려진 각 사람의 숨겨진 자원을 지역사회와 사회적 통합을 위 한 새로운 자원으로 재창조하는 사람들이다.
- 사회적 기업가는 사회변화의 지도자이며, 그는 시장영역에서, 공공영역에서, 시민사 회에서 발굴될 수 있다.
- 그는 사업가적 정신과 사회적 관심을 균형 있게 통합하며, 과제를 가로막고 있는 장 애와 한계를 비젼에 대한 굳은 믿음과 창의적이며 강한 의지로 극복하여 나가며 다 른 사람을 돕고 설득하여 그것을 현실화하는 사람이다.
- 그들은 매우 높은 협동적 활동과 그들 지역사회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한 마디로 그들은 선한 활동을 선하게 하는 사람들이다.
- 그들은 이상과 현실의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전문적인 기술과 함께 시장의 실용주의를 가지고 있으며, 실용적 태도와 함께 비젼을 가지고 있고, 전술적 날카로움과 함께 윤리적 열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 그들은 남들이 보잘 것 없게 보는 것들을 향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그것들이 어떻게 새롭고 가치 있게 창조될 수 있는가에 관심한다.
- 그들은 사람들을 위하여 시장에서 일하며 선한 세력들과 광범위한 연대를 모색한다.
3. 사회적기업의 아이템(이슈) 발굴
-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비교적 높은 필요가 있지만 자본을 투자할 만큼 수익이 기 대되지 않아 기업이 참여하지 않고, 공공은 재정적 부담으로 방치하고 있는 영역 의 발굴
- 지역사회와 지자체의 동의를 기초로 공공이나 지역사회(민간)에서 인적, 재정적 자원동원 가능성이 높은 영역
- 진행과정을 통하여 공공영역으로의 제도화, 혹은 소비자들의 부담이나 공동부담 을 통하여 안정적인 일자리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은 영역
- 사업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공동체성 회복과 새로운 창조, 지역사회 발전과 주민 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영역
4. 어떻게 지역에서 사회적 기업을 시작할 수 있는가?
-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협동조합이나 자활공동체 등의 지역화전략과 연계하여 다 양한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혹은 지역에서 사회적 기 업을 시작할 수 있는 다양한 시민사회 조직들이나 단체들의 공동작업을 통하여 시작할 수 있다.
- 지역사회와 함께 사회적 경제운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몇 가지 능력들이 있는데 첫째는 다른 사람들의 결핍과 부족한 영역, 의존관계를 보는 능력, 둘째는 서로 다른 공동체들과 함께 이제까지 시도하지 않은 노력을 이끌어 내는 능력, 셋째 장애와 난관 앞에서도 상호신뢰와 희망을 놓지 않는 팀
추천자료
경영학개론-기업의사회적 책임과 기부
(복지와 사회적기업) 사회적 기업과 공공복지정책 관계
유럽의 노동통합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과 일자리(취업)
사회적기업의 한계와 발전방향
외국(해외)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사례와 시사점
사회적기업과 지역경제의 관계에 대해 설명
사회적기업과 국민경제 관계
사회적기업의 기능
사회적기업,사회사업보고서,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윤리경영,기업의사회적책임,경영윤리,미국의스타벅스,한국의스타벅스,스타벅스마케팅,스타벅...
사회적기업 설립
글로벌 전략의 수립 (글로벌 전략의 수립, 핵심 역량 글로벌화와 현지화, 글로벌전략의 주요...
사회적경제, 경제학과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기업, \'인천 햇빛 발전 협동조합\' 협동조합 7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