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업 및 브랜드 소개
(1) 인디텍스
(2) Zara
2. SPA 소개
(1) SPA의 정의
(2) SPA의 발생배경
(3) SPA의 유형
3. SWOT 분석
4. SCM 분석
(1) 주문 프로세스
(2) 물류 및 유통과정
(3) 디자인 및 제조
(4) 재고관리
(5) IT 기술
(6) 혁신
5. 향후 전략 및 결론
(1) 향후 전략
(2) 결론
(1) 인디텍스
(2) Zara
2. SPA 소개
(1) SPA의 정의
(2) SPA의 발생배경
(3) SPA의 유형
3. SWOT 분석
4. SCM 분석
(1) 주문 프로세스
(2) 물류 및 유통과정
(3) 디자인 및 제조
(4) 재고관리
(5) IT 기술
(6) 혁신
5. 향후 전략 및 결론
(1) 향후 전략
(2) 결론
본문내용
야 한다.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시장의 다양화와 세계화로 인해 Zara는 주문 배달의 시간과 수량 및 경로가 유연해질 필요성을 자각했고,. 비용이 들더라도 고객에게 제품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류배송을 세계 시간대에 따라 스케쥴링하고, 일주일에 2회 외부 택배업체를 통해 창고에서 각 점포로 배송하며, 배송 시 신속한 차량이나 항공을 이용한다. 이러한 신속한 배송과정을 통해 평균적으로 주문 이틀 후에 각 매장에 제품이 도착한다.
현재 Zara의 상품 중 75%가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벨기에, 영국, 독일 일부 등지로 도로를 통해 36시간 내에 배송되며, 나머지 25%는 유럽 외부에 KLM 또는 DHL에 의해 48시간 내에 배송된다. 신속한 배송과 동시에 진열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제품을 옷걸이에 걸린 채로 배송하는 Packaging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각 상품을 접어 사이즈를 줄여 배송하는 방법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이 요구되지만 전체 리드타임을 단축시키기 위해 Zara가 기꺼이 감수하고 있는 부분이다. 지금까지는 Zara의 성공은 유럽에 기인한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Zara가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 세계화에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아시아 시장 진출을 공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아시아에 있는 공장에서는14%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아시아 시장에 비해서 매우 적은 양이라고 할 수 있다.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거점지로서 아시아에 투자해야 한다.
3) 빠른 고객의 needs 반영
일반 의류업체들이 6개월~1년 전부터 차기 컬렉션을 준비하는데 비해, Zara의 디자이너들은 세계 각국 매장에서 들어온 고객정보와 시장조사 정보를 바탕으로 2주 만에 패션을 재창조해 낸다. Zara는 고객 needs조사를 하는 과정이 불과 몇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매장 직원들의 현장조사를 활용한다. 현장조사는Zara 매장에 있는 한번에 10벌까지 입어볼 수 있는 피팅룸에서 이루어진다. 고객들이 입어본 옷 중에 마음에 들지 않는 옷은 반납하게 되는데, 이 때 매장 직원들은 고객이 그 옷을 선택하지 않은 근본 이유를 찾아내 본사로 피드백 한다. 직원들은 고객들과 직접 대면하여 취향이나 현재 나온 제품들에 대한 품평, 향후 기대하는 의류 제품 등에 대해 문의하기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객의 니즈를 즉각 파악하여 제품을 출시, 매장에 선보이는 전략을 통해 매출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고객의 needs 파악을 위한 방법으로 직접적인 고객의 소리를 제품으로 반영하는 활동이 더욱 필요하다. 홈페이지를 통한 고객의 직접 요구사항을 받고 요구사항을 제품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소비자와 직접 의사소통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 결론
최신 IT기술을 가지고 있어야지만 고객의 Needs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구시대적인 방식의 기술을 오랫동안 업그레이드 시켜서 사용해온 방식은 ZARA에게 가장 안정적이고 가장 큰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내부적으로 ZARA의 IT부서에서는 DOS 방식의 POS를 윈도우방식으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로에 서있는 중이다. 그러나 윈도우즈 기반으로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면 매니저들이 각 매장을 돌아다니면서 신상품을 주문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는 좋은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자라의 가장 큰 장점인 매니저가 직접 돌아다니면서 상품을 직접 주문하는 방식이 사라지게 된다. ZARA의 빠른 QR이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적 으로나 안정적으로나 기존의 DOS방식을 그대로 고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재고관리부분에서 RFID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오늘날 RFID는 SCM에서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위한 IT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RFID를 도입하게 된다면 L/T 감소, 상품의 분류 속도 및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채찍효과를 줄여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ZARA는 빠른 배송을 위해 이미 배송부분에서 많은 비용을 들이고 있는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RFID까지 도입을 한다면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ZARA의 상품은 품절이 되면 다시는 재입고가 되지 않는 방식이기 때문에 RFID의 도입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고 본다.
현재 각 기업들은 앞 다투어 최신기술의 IT기반을 도입하여 SCM을 관리하고 있다. 최신기술만이 SCM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줄 것으로 보고 많은 기대와 함께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그중에서 성공하는 기업은 극히 드물다. 많은 비용을 투자해서 제대로 된 시스템구축도 못하고 이용도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기술들이 많다. 예를 들어 3PL을 이용하고 있는 물류회사가 4PL이라는 혁신적인 기술이 나와서 도입을 했다가 실패한 경우에서 볼 수 있다. ZARA의 CASE에서 볼 수 있듯이, 꼭 최신기술만이 고객의 수요예측과, 재고관리가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증명해준다. 각 기업에 맞게 자신들만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구식의 기술로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각 기업들은 ZARA의 이러한 사례를 기반으로 최신기술도입을 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들을 다시 뒤돌아봐야 할 때 인 것 같다.
<참고자료>
www.zara.com
www.inditex.com
www.samsungdesign.net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SUPPLY CHAIN MANAGEMENT 전략 계획 및 운영 - Sunil Chopra 외, 정봉주 역, 석정, 2007
SUPPLY CHAIN 프로세스 혁신 - 박성칠, 시그마인사이트컴, 2007
Brand equity 향상을 위한 마케팅 믹스 전략 : SPA 브랜드와 일반 캐주얼 의류 브랜드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근애, 경희대 경영대학원, 2004
e비즈니스 전문 과정 SCM - 정봉주 외,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2
SPA형 전문점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점포속성중요도에 관한 연구 - 정준원, 한양대 대학원, 2002
국내 브랜드의 SPA 전략 연구 - 이지현,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2001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시장의 다양화와 세계화로 인해 Zara는 주문 배달의 시간과 수량 및 경로가 유연해질 필요성을 자각했고,. 비용이 들더라도 고객에게 제품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류배송을 세계 시간대에 따라 스케쥴링하고, 일주일에 2회 외부 택배업체를 통해 창고에서 각 점포로 배송하며, 배송 시 신속한 차량이나 항공을 이용한다. 이러한 신속한 배송과정을 통해 평균적으로 주문 이틀 후에 각 매장에 제품이 도착한다.
현재 Zara의 상품 중 75%가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벨기에, 영국, 독일 일부 등지로 도로를 통해 36시간 내에 배송되며, 나머지 25%는 유럽 외부에 KLM 또는 DHL에 의해 48시간 내에 배송된다. 신속한 배송과 동시에 진열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제품을 옷걸이에 걸린 채로 배송하는 Packaging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각 상품을 접어 사이즈를 줄여 배송하는 방법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이 요구되지만 전체 리드타임을 단축시키기 위해 Zara가 기꺼이 감수하고 있는 부분이다. 지금까지는 Zara의 성공은 유럽에 기인한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Zara가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 세계화에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아시아 시장 진출을 공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아시아에 있는 공장에서는14%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아시아 시장에 비해서 매우 적은 양이라고 할 수 있다.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거점지로서 아시아에 투자해야 한다.
3) 빠른 고객의 needs 반영
일반 의류업체들이 6개월~1년 전부터 차기 컬렉션을 준비하는데 비해, Zara의 디자이너들은 세계 각국 매장에서 들어온 고객정보와 시장조사 정보를 바탕으로 2주 만에 패션을 재창조해 낸다. Zara는 고객 needs조사를 하는 과정이 불과 몇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매장 직원들의 현장조사를 활용한다. 현장조사는Zara 매장에 있는 한번에 10벌까지 입어볼 수 있는 피팅룸에서 이루어진다. 고객들이 입어본 옷 중에 마음에 들지 않는 옷은 반납하게 되는데, 이 때 매장 직원들은 고객이 그 옷을 선택하지 않은 근본 이유를 찾아내 본사로 피드백 한다. 직원들은 고객들과 직접 대면하여 취향이나 현재 나온 제품들에 대한 품평, 향후 기대하는 의류 제품 등에 대해 문의하기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객의 니즈를 즉각 파악하여 제품을 출시, 매장에 선보이는 전략을 통해 매출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고객의 needs 파악을 위한 방법으로 직접적인 고객의 소리를 제품으로 반영하는 활동이 더욱 필요하다. 홈페이지를 통한 고객의 직접 요구사항을 받고 요구사항을 제품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소비자와 직접 의사소통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 결론
최신 IT기술을 가지고 있어야지만 고객의 Needs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구시대적인 방식의 기술을 오랫동안 업그레이드 시켜서 사용해온 방식은 ZARA에게 가장 안정적이고 가장 큰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내부적으로 ZARA의 IT부서에서는 DOS 방식의 POS를 윈도우방식으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로에 서있는 중이다. 그러나 윈도우즈 기반으로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면 매니저들이 각 매장을 돌아다니면서 신상품을 주문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는 좋은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자라의 가장 큰 장점인 매니저가 직접 돌아다니면서 상품을 직접 주문하는 방식이 사라지게 된다. ZARA의 빠른 QR이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적 으로나 안정적으로나 기존의 DOS방식을 그대로 고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재고관리부분에서 RFID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오늘날 RFID는 SCM에서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위한 IT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RFID를 도입하게 된다면 L/T 감소, 상품의 분류 속도 및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채찍효과를 줄여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ZARA는 빠른 배송을 위해 이미 배송부분에서 많은 비용을 들이고 있는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RFID까지 도입을 한다면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ZARA의 상품은 품절이 되면 다시는 재입고가 되지 않는 방식이기 때문에 RFID의 도입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고 본다.
현재 각 기업들은 앞 다투어 최신기술의 IT기반을 도입하여 SCM을 관리하고 있다. 최신기술만이 SCM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줄 것으로 보고 많은 기대와 함께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그중에서 성공하는 기업은 극히 드물다. 많은 비용을 투자해서 제대로 된 시스템구축도 못하고 이용도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기술들이 많다. 예를 들어 3PL을 이용하고 있는 물류회사가 4PL이라는 혁신적인 기술이 나와서 도입을 했다가 실패한 경우에서 볼 수 있다. ZARA의 CASE에서 볼 수 있듯이, 꼭 최신기술만이 고객의 수요예측과, 재고관리가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증명해준다. 각 기업에 맞게 자신들만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구식의 기술로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각 기업들은 ZARA의 이러한 사례를 기반으로 최신기술도입을 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들을 다시 뒤돌아봐야 할 때 인 것 같다.
<참고자료>
www.zara.com
www.inditex.com
www.samsungdesign.net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SUPPLY CHAIN MANAGEMENT 전략 계획 및 운영 - Sunil Chopra 외, 정봉주 역, 석정, 2007
SUPPLY CHAIN 프로세스 혁신 - 박성칠, 시그마인사이트컴, 2007
Brand equity 향상을 위한 마케팅 믹스 전략 : SPA 브랜드와 일반 캐주얼 의류 브랜드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근애, 경희대 경영대학원, 2004
e비즈니스 전문 과정 SCM - 정봉주 외,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2
SPA형 전문점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점포속성중요도에 관한 연구 - 정준원, 한양대 대학원, 2002
국내 브랜드의 SPA 전략 연구 - 이지현,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2001
키워드
추천자료
H&M 한국시장 진출 전략
ZARA의 문제점과 경영혁신 방안
SPA 브랜드 포에버21의 마케팅 전략
H&M의 마케팅 전략 분석
유니클로(UNIQLO) 기업분석및 마케팅 SWOT, STP, 4P전략 제안보고서 - 기업소개, 상황분석, ...
A+[글로벌경영,국제경영]SPA브랜드 유니클로
8 seconds - SPA,SPA브랜드,에잇세컨즈,에이세컨즈브랜드,제일모직,제일모직마케팅,에잇세컨...
유니클로 UNIQLO의 글로벌 전략 - 합작투자와 전략적 제휴를 중심으로.PPT자료
UNIQLO 유니클로 한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분석및 유니클로 SWOT분석과 향후개선방향 제안
주요 SPA브랜드 마케팅전략 비교분석레포트( ZARA,유니클로,H&M 경영전략과 마케팅전략비...
유니클로 마케팅 전략 Marketing Plan for UNIQLO
「유니클로 (Uniqlo)」 유니클로의 한국 진출, 유니클로 산업구조분석, SWOT 분석, 유니클로 ...
유니클로 UNIQLO 브랜드분석, 유니클로 환경분석, 유니클로 마케팅전략분석, 유니클로 향후전...
다국적기업과 글로벌기업의 시사점 및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