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erms of reference
2. Company
1. Firm Mission, Vision and Objectives
2. Value Chain
3.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4. Weaknesses
3. Situation Analysis
1. Market Definition
2. Context(PEST)
3. Customers
4. Competitors
5. Industry Analysis
4. SWOT Analysis
1. Strengths
2. Weaknesses
3. Opportunities
4. Threats
5. STP Strategy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4. Strategy Summary
6. Marketing Mix
1. Product
2. Promotion
3. Price
4. Place
7. Conclusion & Recommendation
2. Company
1. Firm Mission, Vision and Objectives
2. Value Chain
3.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4. Weaknesses
3. Situation Analysis
1. Market Definition
2. Context(PEST)
3. Customers
4. Competitors
5. Industry Analysis
4. SWOT Analysis
1. Strengths
2. Weaknesses
3. Opportunities
4. Threats
5. STP Strategy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4. Strategy Summary
6. Marketing Mix
1. Product
2. Promotion
3. Price
4. Place
7. Conclusion & Recommendation
본문내용
술」을 중국인 기술자에 전수하고 있다. 유니클로는 중국의 생산체제 강화가 품질저하로 연결되지 않도록 중국에 대한 기술 이전을 단호하게 실행하고 있으며 이는 싸고 질 좋은 유니클로의 의류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합작투자에 관련한 내용 중 폭스바겐의 중국 진출 사례와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폭스바겐이 기술이전을 통해 중국 공장의 기술력을 향상시켜 성공적인 합작 투자를 이루어 낸 것과 같이 유니클로 역시 해외 공장에 기술이전을 통해 질 좋은 의류를 생산, 국제적인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성공적인 합작투자 성과를 얻어 내고 있다.
2) 누구나 쉽게 입는 옷
유니클로의 성공비결로는 우선 \'폭넓은 고객층\'을 꼽을 수 있다. 유니클로는 10대부터 50대까지 입는 브랜드로써,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게 입는 생필품 같은 옷\'이 유니클로가 표방하는 전략이다. 이는 로고를 드러내지 않기에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폴로\' \'갭\' 등 유니클로의 경쟁 캐주얼 업체들이 로고로 차별화를 꾀하지만 유니클로는 겉만 봐선 구별이 되지 않는다. 과연 이 점이 어떻게 차별화를 이끌어 낸 것일까?
통상적으로 일반 브랜드들은 그들이 주 고객대로 겨냥하는 연령대가 존재한다. 따라서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이미지나 타겟 연령층이 자신의 연령과 맞지 않으면 구입하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유니클로는 로고를 없애고 자사의 제품이 모든 연령층이 소화할 수 있고 매일 입어도 티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래서 유니클로 고객들은 마트에서 생필품을 구입하듯 같은 디자인의 셔츠, 카디건, 니트 등을 색상별로 여러 벌씩 산다. 이런 다량 구매는 폭발적인 매출 신장을 끌어내는 밑바탕이 되었다. 한국경제, [유니클로의 성공비결, 고객 스스로 패션 조립하게 하라], 2009.04.26 App13
유니클로의 이러한 정책은 유니클로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유니클로 공식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은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의류를 값싸게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최대한 강조하는 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여기서 유니클로가 지향하는 ‘의류의 생필품화’ 마인드를 엿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패스트 리테일링사는 유니클로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의 구매동기가 모든 연령층이 입을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 적합한 기본적인 의류를 다량으로 구매하고자 한다는 것에 착안, 브랜드나 회사의 로고를 전면에 내세우는 것이 아닌 베이직한 디자인과 실용성으로써 본인들을 차별화하고 이러한 가치를 고객들의 마음에 심어주기 위한 포지셔닝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고기능과 고객의 니즈 결합
패션이 본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부상함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은 과거의 소비자들과는 달리 가격과 품질이 좋을지라도 본인이 원하는 디자인이 아니라면 구매하지 않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유니클로의 경우 기본 스타일의 심플한 캐주얼 의류를 주로 판매하기 때문에 2005년까지 디자인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다. 2005년까지 디자이너들은 고객의 상황보다는 본인들의 아이디어에만 기초해서 제품을 만들었다. 그들은 ‘유니클로의 고객은 저가격 제품과 심플한 디자인을 선호한다.’고 판단할 뿐 고객의 니즈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크게 고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안일한 대처는 2004년 매출이 소폭 하락함에 이어 2005년에는 전년대비 11% 하락한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후 유니클로는 품질만으로는 경쟁우위를 점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고 디자인 강화에 힘을 쏟기 시작한다.
디자인 강화에 대한 노력의 일례로, 현장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트렌드를 포착하여 제품과 연결시켜 주는 것이 디자이너의 역할이라는 지론 아래 실시한 매장 미팅이 있다. 전국 110명의 유니클로 디자이너들은 한 달에 한번 특정한 날에 지정된 매장에 모두 모인다. 이때 자신이 디자인한 상품의 판매 수치를 확인하고 현장 스텝의 생생한 목소리를 의무적으로 듣는다. 이 날에 유니클로의 야나이 다다시(柳井正) 사장 및 임원들도 참석한다. 현장에서의 냉혹한 비판 및 코멘트는 신상품 개발에 그대로 반영된다. 가와시마 고타로 지음, 이서연 옮김 ,[왜 유니클로만 팔리는가], 오늘의 책 ,2010
이 같은 디자인 강화로 유니클로는 적정한 가격에 기능과 패션을 결합해 기존 의류시장에 없던 새로운 제품을 히트시키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2800만 장을 팔아 치운 Heattech와 300만 개를 판 Bratop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Heattech의 경우 겨울에도 날씬해 보이고자 하는 여성들의 니즈를 따라 매해 점점 더 얇은 소재로 제작되고 있다. 아래의 사진은 언급된 상품들의 예시 사진이다. 이 상품들은 유니클로의 주력 상품으로써 본사에서 직접 연구, 개발하여 탄생한 제품들이며 현재에도 다른 신상품의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유니클로는 저가의 의류를 선호하는 동시에 자신의 필요와 개성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의류 구매패턴을 정확히 읽어내 적극적으로 디자인에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저가이지만 훌륭한 디자인을 가진 브랜드라는 인식을 통해 소비자에게 자신을 차별화하는 포지셔닝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e. Strategy Summary
유니클로는 점원이 고객에게 제품을 권유하는 것이 아닌 고객이 매장에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와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상품을 인식하여 고객들 스스로 생각하고 살 수 있도록 하는 셀프 마케팅전략을 구사하였다. 또한 좋은 품질을 찾지만 가격은 저렴한 것을 찾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잘 파악하여 저가격+고품질이라는 핵심 역량으로 이러한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켰다. 넌에이지(Non-age)와 장르없는 캐주얼이라는 점 또한 유니클로 전략의 핵심이다. 10대에서 60대까지 누구나 입을 수 있는 캐주얼 의류를 판매하고 있고, 다양한 연령대에 어필하기 위해 가격/기능/품질을 갖춘 다양한 라인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타 브랜드의 경우는 로고를 보임으로써 뚜렷한 고객층을 공략하고자 하지만 유니클로는 로고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폭넓은 고객층을 공략한 점도 주목할만한 점이다. 하지만 유
이는 합작투자에 관련한 내용 중 폭스바겐의 중국 진출 사례와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폭스바겐이 기술이전을 통해 중국 공장의 기술력을 향상시켜 성공적인 합작 투자를 이루어 낸 것과 같이 유니클로 역시 해외 공장에 기술이전을 통해 질 좋은 의류를 생산, 국제적인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성공적인 합작투자 성과를 얻어 내고 있다.
2) 누구나 쉽게 입는 옷
유니클로의 성공비결로는 우선 \'폭넓은 고객층\'을 꼽을 수 있다. 유니클로는 10대부터 50대까지 입는 브랜드로써,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게 입는 생필품 같은 옷\'이 유니클로가 표방하는 전략이다. 이는 로고를 드러내지 않기에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폴로\' \'갭\' 등 유니클로의 경쟁 캐주얼 업체들이 로고로 차별화를 꾀하지만 유니클로는 겉만 봐선 구별이 되지 않는다. 과연 이 점이 어떻게 차별화를 이끌어 낸 것일까?
통상적으로 일반 브랜드들은 그들이 주 고객대로 겨냥하는 연령대가 존재한다. 따라서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이미지나 타겟 연령층이 자신의 연령과 맞지 않으면 구입하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유니클로는 로고를 없애고 자사의 제품이 모든 연령층이 소화할 수 있고 매일 입어도 티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래서 유니클로 고객들은 마트에서 생필품을 구입하듯 같은 디자인의 셔츠, 카디건, 니트 등을 색상별로 여러 벌씩 산다. 이런 다량 구매는 폭발적인 매출 신장을 끌어내는 밑바탕이 되었다. 한국경제, [유니클로의 성공비결, 고객 스스로 패션 조립하게 하라], 2009.04.26 App13
유니클로의 이러한 정책은 유니클로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유니클로 공식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은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의류를 값싸게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최대한 강조하는 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여기서 유니클로가 지향하는 ‘의류의 생필품화’ 마인드를 엿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패스트 리테일링사는 유니클로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의 구매동기가 모든 연령층이 입을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 적합한 기본적인 의류를 다량으로 구매하고자 한다는 것에 착안, 브랜드나 회사의 로고를 전면에 내세우는 것이 아닌 베이직한 디자인과 실용성으로써 본인들을 차별화하고 이러한 가치를 고객들의 마음에 심어주기 위한 포지셔닝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고기능과 고객의 니즈 결합
패션이 본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부상함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은 과거의 소비자들과는 달리 가격과 품질이 좋을지라도 본인이 원하는 디자인이 아니라면 구매하지 않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유니클로의 경우 기본 스타일의 심플한 캐주얼 의류를 주로 판매하기 때문에 2005년까지 디자인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다. 2005년까지 디자이너들은 고객의 상황보다는 본인들의 아이디어에만 기초해서 제품을 만들었다. 그들은 ‘유니클로의 고객은 저가격 제품과 심플한 디자인을 선호한다.’고 판단할 뿐 고객의 니즈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크게 고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안일한 대처는 2004년 매출이 소폭 하락함에 이어 2005년에는 전년대비 11% 하락한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후 유니클로는 품질만으로는 경쟁우위를 점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고 디자인 강화에 힘을 쏟기 시작한다.
디자인 강화에 대한 노력의 일례로, 현장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트렌드를 포착하여 제품과 연결시켜 주는 것이 디자이너의 역할이라는 지론 아래 실시한 매장 미팅이 있다. 전국 110명의 유니클로 디자이너들은 한 달에 한번 특정한 날에 지정된 매장에 모두 모인다. 이때 자신이 디자인한 상품의 판매 수치를 확인하고 현장 스텝의 생생한 목소리를 의무적으로 듣는다. 이 날에 유니클로의 야나이 다다시(柳井正) 사장 및 임원들도 참석한다. 현장에서의 냉혹한 비판 및 코멘트는 신상품 개발에 그대로 반영된다. 가와시마 고타로 지음, 이서연 옮김 ,[왜 유니클로만 팔리는가], 오늘의 책 ,2010
이 같은 디자인 강화로 유니클로는 적정한 가격에 기능과 패션을 결합해 기존 의류시장에 없던 새로운 제품을 히트시키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2800만 장을 팔아 치운 Heattech와 300만 개를 판 Bratop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Heattech의 경우 겨울에도 날씬해 보이고자 하는 여성들의 니즈를 따라 매해 점점 더 얇은 소재로 제작되고 있다. 아래의 사진은 언급된 상품들의 예시 사진이다. 이 상품들은 유니클로의 주력 상품으로써 본사에서 직접 연구, 개발하여 탄생한 제품들이며 현재에도 다른 신상품의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유니클로는 저가의 의류를 선호하는 동시에 자신의 필요와 개성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의류 구매패턴을 정확히 읽어내 적극적으로 디자인에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저가이지만 훌륭한 디자인을 가진 브랜드라는 인식을 통해 소비자에게 자신을 차별화하는 포지셔닝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e. Strategy Summary
유니클로는 점원이 고객에게 제품을 권유하는 것이 아닌 고객이 매장에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와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상품을 인식하여 고객들 스스로 생각하고 살 수 있도록 하는 셀프 마케팅전략을 구사하였다. 또한 좋은 품질을 찾지만 가격은 저렴한 것을 찾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잘 파악하여 저가격+고품질이라는 핵심 역량으로 이러한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켰다. 넌에이지(Non-age)와 장르없는 캐주얼이라는 점 또한 유니클로 전략의 핵심이다. 10대에서 60대까지 누구나 입을 수 있는 캐주얼 의류를 판매하고 있고, 다양한 연령대에 어필하기 위해 가격/기능/품질을 갖춘 다양한 라인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타 브랜드의 경우는 로고를 보임으로써 뚜렷한 고객층을 공략하고자 하지만 유니클로는 로고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폭넓은 고객층을 공략한 점도 주목할만한 점이다. 하지만 유
키워드
추천자료
[문화마케팅][문화마케팅 전개방향][문화마케팅 전략]문화마케팅의 중요성과 문화마케팅의 전...
유니클로의 성공과 마케팅 방안
유니클로의 마케팅 성공사례
[비즈니스/경제] 글로벌spa zara와 uniqlo의 물류전략 분석
글로벌SPA zara와 uniqlo의 물류전략 분석
한국시장 마케팅 전략 - FOREVER21(포에버)
신제품- 유니클로(UNIQLO).ppt
이니스프리 (innisfree) 마케팅 SWOT,STP,4P전략 분석 PPT자료
컬러마케팅 개념분석및 성공,실패 사례분석과 컬러마케팅 활용전략 제안
SPA란,ZARA, H&M, 유니클로 비교 분석,국내패션시장,패션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유니클로 마케팅 성공사례
[ 이랜드(ELAND) 기업분석 및 중국진출 전략보고서 ] 이랜드(EㆍLAND) 경영전략과 중국진출 ...
에잇세컨즈(8 SECONDS) 마케팅 전략.pptx
유니클로 기업분석/ 유니클로 마케팅 4P,STP,SWOT,서비스마케팅분석/ 유니클로 향후시사점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