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9주 - 1 한국의 종이문화
9주-2 전통한지 체험
10주-1 한국의 천연염색
10주-2 천연염색체험
11주-1 전통과 창작] 민화의 세계
11주-2 [민화를 활용한 창작] 김기창과 박생광
12주-1 [화실탐방] 한국화 작가 장혜용
12주-2 [화실탐방] 서양화 작가 김택상
13주-1 [건축] 부분과 전체의 관계, 어울림의 미학
13주-2 지붕의 역할과 유형
14주-1 배치계획의 비대칭적 특성 11.1.1.
14주-2 배치계획의 비대칭적 특성 2
15주-1 한국의 주거건축 - 안동 하회마을의 개관
15주-2 안동 하회마을의 살림집들
9주-2 전통한지 체험
10주-1 한국의 천연염색
10주-2 천연염색체험
11주-1 전통과 창작] 민화의 세계
11주-2 [민화를 활용한 창작] 김기창과 박생광
12주-1 [화실탐방] 한국화 작가 장혜용
12주-2 [화실탐방] 서양화 작가 김택상
13주-1 [건축] 부분과 전체의 관계, 어울림의 미학
13주-2 지붕의 역할과 유형
14주-1 배치계획의 비대칭적 특성 11.1.1.
14주-2 배치계획의 비대칭적 특성 2
15주-1 한국의 주거건축 - 안동 하회마을의 개관
15주-2 안동 하회마을의 살림집들
본문내용
子圖), 경직도, 여러 종류의 춘화(春), 평생도, 시회(詩會) · 기로 (耆老) · 계회(契會) · 연악(宴樂) 장면, 궁중관아 · 가족 행사 그림, 충무공의 해전도(海戰圖), 임진왜란의 전투도, 고대설화(춘향전도(春香傳圖) · 구운몽도(九雲夢圖) · 별주부전도 · 삼국지도(三國志圖) 등 ) · 민담 · 문학 장면, 시 구절.
민화감상
민화 모란도: 모란, 화려하고 탐스러움으로 인해 꽃 중의 왕으로 불리움/부귀, 행복, 성실, 여성을 상징/혼례, 경사스러운 일에 사용되는 병풍에 가장 많이 그려지던 꽃/괴석과 함께 ‘괴석모란도’ 형식으로 그려짐/장식적인 대형 병풍은 궁중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괴석, 붉은색과 청색을 번갈아 채색/ 모란, 곧고 튼튼한 가지에 탐스러운 색색의 꽃송이가 만발/괴석에 쓰인 청색안료, 19세기 이후의 민화나 불화의 채색에 많이 사용된 것/19세기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
책거리그림 : 책거리 그림은 선비들의 서재를 장식하는 그림/서가에 책을 비롯, 꽃, 과일, 거문고, 필기구, 도장 등 일상생활의 물건들이 같이 그려짐/특별한 의미보다 장식적 의미/민화는 치졸한 경우도 있지만, 대담한 구성이나 화려한 색상 등 일반 회화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멋이 깃든 것도 있음/이 작품도 정교한 탁자 위에 쌓듯이 놓인 책, 골동품, 문방구, 거문고, 꽃들이 어울려 화려해 보임/서양화에서 사용되는 원근법과 명암법의 사용은 당시 화단의 여러 경향 반영/
문자도병풍 : 좋은 의미를 가진 한자(漢字) 글자를 쓰고 장식적인 그림으로 그린 것이 문자도/유교사회인 조선시대,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여덟 자를 주로 씀/『논어(論語)』에서 ‘효제충신’과 ‘예의’를, 『관자(官子)』에서 ‘예의염치’를 따온 것/글자마다 어울리는 고사가 그려짐/효(孝) 자 안에는 진나라 왕상(王祥)이 계모를 위해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은 유명한 설화, 오나라 맹종(孟宗)이 노모를 위해 겨울 눈 속에서 죽순을 따낸 일 등이 그려짐/문자도는 글자가 주는 권계적인 의미와 그림이 어울린 장식적인 효과로 민간에서 애용/이 작품은 검은 색이 주는 강렬함에 화려한 꽃무늬가 더해져 장식성이 돋보임
십장생도 : 십장생도는 늙지 않고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을 열 가지 자연물상에 비유하여 그림으로 그린 것/해, 구름, 물, 바위, 사슴, 거북, 학, 소나무, 대나무, 불로초 등 열 가지 장생(長生)의 상징물을 그림/십장생은 함께 그려지기도 하지만 몇 가지만 따로 떼어 그리기도 함/병풍과 세화, 자수품, 도자기, 베개 마구리와 수저주머니 등 일상생활에서 몸 가까이 두고 쓰는 것들에 십장생을 형상화하였음/고려 말 조선 초에 열가지 상징물 구성됨/조선 후기에 복숭아, 연꽃, 모란, 해당화, 산호 등이 배합되어 구성이 더 복잡해짐/열 가지 중에서 소나무와 학, 소나무와 대, 대와 학, 사슴과 불로초, 모란과 복숭아 등을 짝지어 따로 그리기도 함/대상들의 본질적 특성을 간결하게 집약적으로 형상화하고 장식성을 띠게 함/우리 민족의 소박한 염원과 조국의 모든 것을 아끼고 사랑한 지극한 마음이 스며 있음
까치호랑이 : 연화(年畵) -새해가 되면 대문에 용호도(龍虎圖)를 붙이는 풍습이 있었음/호랑이는 재앙을 막아주고, 용은 다섯 가지 복을 지켜준다는 속설 때문/호랑이 그림은 청룡(靑龍), 백호(白虎), 현무(玄武), 주작(朱雀)의 사신사상(四神思想)에서 유래/사신사상은 조선시대 민화(民畵)의 호랑이 그림에까지 이르게 됨/민화에서 호랑이는 반드시 까치와 함께 그려짐/까치는 이른 아침에 기쁜 소식을 전해준다 하여 희조(喜鳥)로 알려짐/까치와 호랑이가 함께 등장하는 ‘까치호랑이’는 악을 물리치는 벽사( 邪)의 기능/호랑이는 용맹스럽기보다 익살스러운 모습으로 등장/호랑이는 인간과 가까이 있으면서 늘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대상/호랑이를 재미있게 그림으로써 두려움을 극복해보고자 했던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짐/
퀴즈:)
01.십장생이란?(해, 구름, 물, 바위, 사슴. 거북. 학, 소나무, 대나무, 불로초)
02.야나기 무네요시는 민화를 무엇이라 정의하는가?(민중 속에서 태어나고 민중에 의해 그려지고 민중에 의해 유통된 그림)
11주-2 [민화를 활용한 창작] 김기창과 박생광
한국 근대미술에 나타난 민화의 영향
민화에 영향 받은 작가들 : 1950년대 김기창, 박래현, 박생광, 천경자
과거 전통이나 일본화 양식의 교조성을 벗어나 새로운 실험적인 작품을 제작, 서구적 추상형식의 미술과 합류하여 창의성을 추구
민화에 나타난 오방색의 적용 : 박생광, 천경자
민화의 정서와 조형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 김기창
민화의 여러 요소 ‘바보산수’에 적용,
현대 한국화의 새로운 장르 구축
“진정한 전통의 현대화가 곧 철저한 세계화”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순수한 인간 감정을 잘 표현해 놓은 것이 민화“
민화와 김기창의 작품
바보산수의 의미와 특징
의미
민화 산수의 일종’, ‘민화 속의 산수’ , “바보산수는 …민화 산수의 일종으로서 민화라면 누구나 호랑이.까치.새 그리고 꽃이나 그리는 걸로 알고 있지만 실은 산수도 많아요. 민화 속의 산수, 이것이 오랫동안 내가 찾고 있었던 모습이었습니다. 산이나 들.나무.언덕 등 이 모든 것이 바보스럽고 불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실로 이것처럼 자연을 정확히 표현한 그림은 없습니다”
특징,
해학성, 우리 선조들의사상에 잠재된 여유의미학으로 연결, 한국적전통의 재발견
작품비교
바보산수에 등장하는 민화의 소재 / 사람.집.소나무.바위.학.사슴.닭.꽃 / 김기창의 〈꽃 그리고 새 시리즈〉와 민화 / <운보 김기창 전작도록>》에 수록된 운보의 바보산수 중〈꽃 그리고 새 시리즈〉는 총 29점. / <꽃 그리고 새 시리즈〉는 민화 중에서도 화조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 / 민화 화조화 / 민화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 모란.석류.꿩.원앙.오리.연꽃.봉황.매화.국화.목련.난초.학.기러기.닭.해오라기.제비.꾀꼬리.참새.벌.나비.여치 등의 소재
연화도와 김기창의 바보화조
연화도 : 연잎은 잎의 앞쪽을 그린 것과 뒤쪽을 그린것이 혼재하고 있음 / 보통 <연화도>는 연
민화감상
민화 모란도: 모란, 화려하고 탐스러움으로 인해 꽃 중의 왕으로 불리움/부귀, 행복, 성실, 여성을 상징/혼례, 경사스러운 일에 사용되는 병풍에 가장 많이 그려지던 꽃/괴석과 함께 ‘괴석모란도’ 형식으로 그려짐/장식적인 대형 병풍은 궁중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괴석, 붉은색과 청색을 번갈아 채색/ 모란, 곧고 튼튼한 가지에 탐스러운 색색의 꽃송이가 만발/괴석에 쓰인 청색안료, 19세기 이후의 민화나 불화의 채색에 많이 사용된 것/19세기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
책거리그림 : 책거리 그림은 선비들의 서재를 장식하는 그림/서가에 책을 비롯, 꽃, 과일, 거문고, 필기구, 도장 등 일상생활의 물건들이 같이 그려짐/특별한 의미보다 장식적 의미/민화는 치졸한 경우도 있지만, 대담한 구성이나 화려한 색상 등 일반 회화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멋이 깃든 것도 있음/이 작품도 정교한 탁자 위에 쌓듯이 놓인 책, 골동품, 문방구, 거문고, 꽃들이 어울려 화려해 보임/서양화에서 사용되는 원근법과 명암법의 사용은 당시 화단의 여러 경향 반영/
문자도병풍 : 좋은 의미를 가진 한자(漢字) 글자를 쓰고 장식적인 그림으로 그린 것이 문자도/유교사회인 조선시대,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여덟 자를 주로 씀/『논어(論語)』에서 ‘효제충신’과 ‘예의’를, 『관자(官子)』에서 ‘예의염치’를 따온 것/글자마다 어울리는 고사가 그려짐/효(孝) 자 안에는 진나라 왕상(王祥)이 계모를 위해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은 유명한 설화, 오나라 맹종(孟宗)이 노모를 위해 겨울 눈 속에서 죽순을 따낸 일 등이 그려짐/문자도는 글자가 주는 권계적인 의미와 그림이 어울린 장식적인 효과로 민간에서 애용/이 작품은 검은 색이 주는 강렬함에 화려한 꽃무늬가 더해져 장식성이 돋보임
십장생도 : 십장생도는 늙지 않고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을 열 가지 자연물상에 비유하여 그림으로 그린 것/해, 구름, 물, 바위, 사슴, 거북, 학, 소나무, 대나무, 불로초 등 열 가지 장생(長生)의 상징물을 그림/십장생은 함께 그려지기도 하지만 몇 가지만 따로 떼어 그리기도 함/병풍과 세화, 자수품, 도자기, 베개 마구리와 수저주머니 등 일상생활에서 몸 가까이 두고 쓰는 것들에 십장생을 형상화하였음/고려 말 조선 초에 열가지 상징물 구성됨/조선 후기에 복숭아, 연꽃, 모란, 해당화, 산호 등이 배합되어 구성이 더 복잡해짐/열 가지 중에서 소나무와 학, 소나무와 대, 대와 학, 사슴과 불로초, 모란과 복숭아 등을 짝지어 따로 그리기도 함/대상들의 본질적 특성을 간결하게 집약적으로 형상화하고 장식성을 띠게 함/우리 민족의 소박한 염원과 조국의 모든 것을 아끼고 사랑한 지극한 마음이 스며 있음
까치호랑이 : 연화(年畵) -새해가 되면 대문에 용호도(龍虎圖)를 붙이는 풍습이 있었음/호랑이는 재앙을 막아주고, 용은 다섯 가지 복을 지켜준다는 속설 때문/호랑이 그림은 청룡(靑龍), 백호(白虎), 현무(玄武), 주작(朱雀)의 사신사상(四神思想)에서 유래/사신사상은 조선시대 민화(民畵)의 호랑이 그림에까지 이르게 됨/민화에서 호랑이는 반드시 까치와 함께 그려짐/까치는 이른 아침에 기쁜 소식을 전해준다 하여 희조(喜鳥)로 알려짐/까치와 호랑이가 함께 등장하는 ‘까치호랑이’는 악을 물리치는 벽사( 邪)의 기능/호랑이는 용맹스럽기보다 익살스러운 모습으로 등장/호랑이는 인간과 가까이 있으면서 늘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대상/호랑이를 재미있게 그림으로써 두려움을 극복해보고자 했던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짐/
퀴즈:)
01.십장생이란?(해, 구름, 물, 바위, 사슴. 거북. 학, 소나무, 대나무, 불로초)
02.야나기 무네요시는 민화를 무엇이라 정의하는가?(민중 속에서 태어나고 민중에 의해 그려지고 민중에 의해 유통된 그림)
11주-2 [민화를 활용한 창작] 김기창과 박생광
한국 근대미술에 나타난 민화의 영향
민화에 영향 받은 작가들 : 1950년대 김기창, 박래현, 박생광, 천경자
과거 전통이나 일본화 양식의 교조성을 벗어나 새로운 실험적인 작품을 제작, 서구적 추상형식의 미술과 합류하여 창의성을 추구
민화에 나타난 오방색의 적용 : 박생광, 천경자
민화의 정서와 조형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 김기창
민화의 여러 요소 ‘바보산수’에 적용,
현대 한국화의 새로운 장르 구축
“진정한 전통의 현대화가 곧 철저한 세계화”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순수한 인간 감정을 잘 표현해 놓은 것이 민화“
민화와 김기창의 작품
바보산수의 의미와 특징
의미
민화 산수의 일종’, ‘민화 속의 산수’ , “바보산수는 …민화 산수의 일종으로서 민화라면 누구나 호랑이.까치.새 그리고 꽃이나 그리는 걸로 알고 있지만 실은 산수도 많아요. 민화 속의 산수, 이것이 오랫동안 내가 찾고 있었던 모습이었습니다. 산이나 들.나무.언덕 등 이 모든 것이 바보스럽고 불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실로 이것처럼 자연을 정확히 표현한 그림은 없습니다”
특징,
해학성, 우리 선조들의사상에 잠재된 여유의미학으로 연결, 한국적전통의 재발견
작품비교
바보산수에 등장하는 민화의 소재 / 사람.집.소나무.바위.학.사슴.닭.꽃 / 김기창의 〈꽃 그리고 새 시리즈〉와 민화 / <운보 김기창 전작도록>》에 수록된 운보의 바보산수 중〈꽃 그리고 새 시리즈〉는 총 29점. / <꽃 그리고 새 시리즈〉는 민화 중에서도 화조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 / 민화 화조화 / 민화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 모란.석류.꿩.원앙.오리.연꽃.봉황.매화.국화.목련.난초.학.기러기.닭.해오라기.제비.꾀꼬리.참새.벌.나비.여치 등의 소재
연화도와 김기창의 바보화조
연화도 : 연잎은 잎의 앞쪽을 그린 것과 뒤쪽을 그린것이 혼재하고 있음 / 보통 <연화도>는 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