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 7장 수송문제 >
< 제 8장. 할당문제 >
< 제 9장. 목표계획법 >
< 제 10장. 네트워크 모형 >
< 제 11장. PERT / CPM >
< 제 8장. 할당문제 >
< 제 9장. 목표계획법 >
< 제 10장. 네트워크 모형 >
< 제 11장. PERT / CPM >
본문내용
+부동산“
의 미달성분
d5- : 기대회수금액의 미달성분
d1+ : 스탁옵션에 대한 투자의 초과달성분
d2+ : 채권에 대한 투자의 초과달성분
d3+ : 다이아몬드에 대한 투자의 초과달성분
d4+ : “스탁옵션+다이아몬드 ≤ 본드+부동산“
의 초과달성분
d5+ : 기대회수금액의 초과달성분
이상의 목표제약조건들을 모두 고려하여 완성된 목표계획모형은 다음과 같다.
최 소 화 : Z = P1d1-+ P1d2-+ P2d3-+ P3d4++ P4d5-
제약조건 : X1+ d1-- d1+= 3000, X2+ d2-- d2+= 3000
X3+ d3-- d3+= 3000
X1+ X4- X2- X3+ d4-- d4+= 0
1200X1+ 1080X2+ 1100X3+ X4+ d5-- d5+= 20,000
Xj, di-, di+ ≥ 0 (i = 1,2,3,4, j =1,2,3,4,5)
<10번>
1) 최적해와 기저변수
① 최적해 : X1 = 2,250, X2 = 950
② 기저변수 : d1+ = 35,750, d2+ = 450, d5- = 4450
2) 목표성취도
4가지 목표 모두 성취되었다.
3) 상충되는 목표와 상관관계
상충되는 목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비기저변수들의 (Zj- Cj)값이 모두 0
또는 음수임을 통해 알 수 있다.
< 제 10장. 네트워크 모형 >
<9번>
나 선바 양은 올해 신입생으로 백제여자대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다. 새로가입한 동아리에는 매년 신입생을 위한 여러행사를 추진하여 왔다. 올해는 신입생을 위한 미팅을 추진중이다, 나양은 이 행사에 지각하지 않기 위해 며칠전부터 설레는 마음을 달래며 한편으로는 철저한 사전준비작업을 하였다.
<11번>
1) 가장 짧은 거리로 모든 경로를 연결하는 문제는 일련의 많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다. 우선 임의의 한 단계를 시작점으로 설정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①단계를 시작점으로 한다.
2) ①단계를 시작점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경로를 찾으면 ②단계임을 알 수 있다.
3) 이제 ①단계와 ②단계에서 인근의 모든 경로의 값을 산출해보고 최단경로를 탐색하면 ④단계임을 알 수 있다.
4) 이제 ①단계, ②단계, ④단계에서 인근의 모든 경로로 통하는 값을 산출해보고 최단경로를 탐색하면 ③단계임을 알 수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 때 최단거리결합을 구할 수 있다.
경로 및 거리
1
①→② : 40
2
②→④ : 50
3
④→③ : 30
4
④→⑤ : 40
5
④→⑦ : 40
6
⑦→⑧ : 20
7
⑦→⑥ : 30
8
⑦→⑨ : 40
∴ 위의 경우 최단거리결합문제의 결과는 위와 같고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14번>
1) 임의의 경로 “①→②→④→⑦→⑨”를 최초의 경로로 결정한다. 위의 경로 중 가장 작은 수의 유동능력은 활동 “②→④”의 40이다. 40의 능력을 흘려보낸 후 “①→②→④→⑦→⑨” 주에서 활동 40식을 차감하여 나타낸다.
2) 활동 “①→②”와 활동 “④→⑦”의 경우 아직 유동량이 있으므로 이 단계를 포함한 임의의 경로를 설정하면 “①→②→⑤→⑦→⑨”와 같은 경로를 찾을 수 있고 유동량은 25로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3) 활동 “①→②”의 유동량이 “0“이므로 이제 활동 ”①→③“을 포함하는 경로를 탐색하면 경로 ”①→③→⑤→⑧→⑨“를 찾을 수 있고 이 때의 유동량은 ”70“임을 알 수 있고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4) 활동 “⑤→⑧→⑨”의 유동량이 “0”이므로 여분의 유동량이 존재하는 활동 “①→③→⑤”을 포함하는 새로운 경로를 찾으면 “①→③→⑤→④→⑦→⑨”와 같고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이때의 유동량은 “15”로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5) 활동 “④→⑦”, “⑤→⑦”, "⑧→⑨"의 활동이 “0”이므로 더 이상의 유동량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이제 더 이상의 유동량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위의 경우가 최대허용 가능한 유동량임을 알 수 있다.
∴ 최대허용가능유동량은 활동 “①→②→④→⑦→⑨”일 때 유동량 “40”, 활동 “①→②→⑤→⑦→⑨”일 때 유동량 “25”, 활동 “①→③→⑤→⑧→⑨”일 때 유동량 “70”, 활동 “①→③→⑤→④→⑦→⑨”일 때 유동량 “15”로 총유동량 “150”을 확보할 수 있다.
< 제 11장. PERT / CPM >
<10번>
(점선은 가상활동으로 활동의 크기는 0으로 간주한다.)
1) 단계별 ET, LT, TS, FS의 값을 계산
2) 중대경로 규명
‘ET = LT‘일 때 전체경로의 중대경로일 가능성도 있지만 보다 정확히 하면 “TS=FS=0" 인 구간들의 모임이 중대경로이다. 그러므로 활동 ”①→②→④→⑤→⑥→⑦“이 중대경로이다.
<13번>
1) PERT 네트워크
2) 평균 및 표준편차
Activity(활동)
Activity Nodes
Mean(평균)
S.D.(표준편차)
A
1 --> 2
11.66
1
B
2 --> 3
6.33
1
C
2 --> 4
20.66
2
D
3 --> 5
11
1.6
E
2 --> 6
18.33
1.6
F
4,5 --> 7
12
1
G
3 --> 8
16.33
1
H
6 --> 9
22.33
2.33
I
8 --> 10
13.66
1.6
J
7,9,10 --> 11
4.33
1
3) 중대경로의 규명
중대경로를 규명하기 위해선, TS와 FS값을 알아야 하는데, 이를 규명해보면
①→②에서 TS=0,FS=0이 나오며, ②→⑥에서 TS=0,FS=0 그리고 ⑥→⑨에서
TS=0,FS=0이 도출 된다. 그리고 ⑨→⑪에서 TS=0,FS=0이 도출되어 중대경로가 규명된다.
4) 예상 완료 시간
예상완료시간은 중대경로 각 구간들의 합이므로
56.65(=11.66+18.33+22.33+4.33)이다.
<15번>
1) 각 단계별 ET, LT 값 산출
2) 각 활동의 TS, FS의 값 산출
3) 중대경로 규명 및 작업공정 예상완료시간
‘ET = LT‘일 때 중대경로일 가능성도 있지만 보다 정확히 하면 “TS=FS=0"인 구간들의 모임이 중대경로이다. 그러므로 활동 ”①→②→③→⑤→⑦→⑨“ 혹은 ”①→②→③→⑥→⑦→⑨“ 일 때가 중대경로이고 이 때의 예상완료시간은 각 구간들의 합으로 34(=6+6+8+8+6 or =6+6+10+6+6)이다.
의 미달성분
d5- : 기대회수금액의 미달성분
d1+ : 스탁옵션에 대한 투자의 초과달성분
d2+ : 채권에 대한 투자의 초과달성분
d3+ : 다이아몬드에 대한 투자의 초과달성분
d4+ : “스탁옵션+다이아몬드 ≤ 본드+부동산“
의 초과달성분
d5+ : 기대회수금액의 초과달성분
이상의 목표제약조건들을 모두 고려하여 완성된 목표계획모형은 다음과 같다.
최 소 화 : Z = P1d1-+ P1d2-+ P2d3-+ P3d4++ P4d5-
제약조건 : X1+ d1-- d1+= 3000, X2+ d2-- d2+= 3000
X3+ d3-- d3+= 3000
X1+ X4- X2- X3+ d4-- d4+= 0
1200X1+ 1080X2+ 1100X3+ X4+ d5-- d5+= 20,000
Xj, di-, di+ ≥ 0 (i = 1,2,3,4, j =1,2,3,4,5)
<10번>
1) 최적해와 기저변수
① 최적해 : X1 = 2,250, X2 = 950
② 기저변수 : d1+ = 35,750, d2+ = 450, d5- = 4450
2) 목표성취도
4가지 목표 모두 성취되었다.
3) 상충되는 목표와 상관관계
상충되는 목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비기저변수들의 (Zj- Cj)값이 모두 0
또는 음수임을 통해 알 수 있다.
< 제 10장. 네트워크 모형 >
<9번>
나 선바 양은 올해 신입생으로 백제여자대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다. 새로가입한 동아리에는 매년 신입생을 위한 여러행사를 추진하여 왔다. 올해는 신입생을 위한 미팅을 추진중이다, 나양은 이 행사에 지각하지 않기 위해 며칠전부터 설레는 마음을 달래며 한편으로는 철저한 사전준비작업을 하였다.
<11번>
1) 가장 짧은 거리로 모든 경로를 연결하는 문제는 일련의 많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다. 우선 임의의 한 단계를 시작점으로 설정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①단계를 시작점으로 한다.
2) ①단계를 시작점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경로를 찾으면 ②단계임을 알 수 있다.
3) 이제 ①단계와 ②단계에서 인근의 모든 경로의 값을 산출해보고 최단경로를 탐색하면 ④단계임을 알 수 있다.
4) 이제 ①단계, ②단계, ④단계에서 인근의 모든 경로로 통하는 값을 산출해보고 최단경로를 탐색하면 ③단계임을 알 수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 때 최단거리결합을 구할 수 있다.
경로 및 거리
1
①→② : 40
2
②→④ : 50
3
④→③ : 30
4
④→⑤ : 40
5
④→⑦ : 40
6
⑦→⑧ : 20
7
⑦→⑥ : 30
8
⑦→⑨ : 40
∴ 위의 경우 최단거리결합문제의 결과는 위와 같고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14번>
1) 임의의 경로 “①→②→④→⑦→⑨”를 최초의 경로로 결정한다. 위의 경로 중 가장 작은 수의 유동능력은 활동 “②→④”의 40이다. 40의 능력을 흘려보낸 후 “①→②→④→⑦→⑨” 주에서 활동 40식을 차감하여 나타낸다.
2) 활동 “①→②”와 활동 “④→⑦”의 경우 아직 유동량이 있으므로 이 단계를 포함한 임의의 경로를 설정하면 “①→②→⑤→⑦→⑨”와 같은 경로를 찾을 수 있고 유동량은 25로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3) 활동 “①→②”의 유동량이 “0“이므로 이제 활동 ”①→③“을 포함하는 경로를 탐색하면 경로 ”①→③→⑤→⑧→⑨“를 찾을 수 있고 이 때의 유동량은 ”70“임을 알 수 있고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4) 활동 “⑤→⑧→⑨”의 유동량이 “0”이므로 여분의 유동량이 존재하는 활동 “①→③→⑤”을 포함하는 새로운 경로를 찾으면 “①→③→⑤→④→⑦→⑨”와 같고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이때의 유동량은 “15”로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5) 활동 “④→⑦”, “⑤→⑦”, "⑧→⑨"의 활동이 “0”이므로 더 이상의 유동량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이제 더 이상의 유동량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위의 경우가 최대허용 가능한 유동량임을 알 수 있다.
∴ 최대허용가능유동량은 활동 “①→②→④→⑦→⑨”일 때 유동량 “40”, 활동 “①→②→⑤→⑦→⑨”일 때 유동량 “25”, 활동 “①→③→⑤→⑧→⑨”일 때 유동량 “70”, 활동 “①→③→⑤→④→⑦→⑨”일 때 유동량 “15”로 총유동량 “150”을 확보할 수 있다.
< 제 11장. PERT / CPM >
<10번>
(점선은 가상활동으로 활동의 크기는 0으로 간주한다.)
1) 단계별 ET, LT, TS, FS의 값을 계산
2) 중대경로 규명
‘ET = LT‘일 때 전체경로의 중대경로일 가능성도 있지만 보다 정확히 하면 “TS=FS=0" 인 구간들의 모임이 중대경로이다. 그러므로 활동 ”①→②→④→⑤→⑥→⑦“이 중대경로이다.
<13번>
1) PERT 네트워크
2) 평균 및 표준편차
Activity(활동)
Activity Nodes
Mean(평균)
S.D.(표준편차)
A
1 --> 2
11.66
1
B
2 --> 3
6.33
1
C
2 --> 4
20.66
2
D
3 --> 5
11
1.6
E
2 --> 6
18.33
1.6
F
4,5 --> 7
12
1
G
3 --> 8
16.33
1
H
6 --> 9
22.33
2.33
I
8 --> 10
13.66
1.6
J
7,9,10 --> 11
4.33
1
3) 중대경로의 규명
중대경로를 규명하기 위해선, TS와 FS값을 알아야 하는데, 이를 규명해보면
①→②에서 TS=0,FS=0이 나오며, ②→⑥에서 TS=0,FS=0 그리고 ⑥→⑨에서
TS=0,FS=0이 도출 된다. 그리고 ⑨→⑪에서 TS=0,FS=0이 도출되어 중대경로가 규명된다.
4) 예상 완료 시간
예상완료시간은 중대경로 각 구간들의 합이므로
56.65(=11.66+18.33+22.33+4.33)이다.
<15번>
1) 각 단계별 ET, LT 값 산출
2) 각 활동의 TS, FS의 값 산출
3) 중대경로 규명 및 작업공정 예상완료시간
‘ET = LT‘일 때 중대경로일 가능성도 있지만 보다 정확히 하면 “TS=FS=0"인 구간들의 모임이 중대경로이다. 그러므로 활동 ”①→②→③→⑤→⑦→⑨“ 혹은 ”①→②→③→⑥→⑦→⑨“ 일 때가 중대경로이고 이 때의 예상완료시간은 각 구간들의 합으로 34(=6+6+8+8+6 or =6+6+10+6+6)이다.
추천자료
학교 경영과 학급 경영의 정의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개선방향 고찰
삼국지 경영학을 읽고나서 - 인생경영과 전략의 패러다임
21세기 기업문화를 제시한 피터 생게 Peter Senge의 지식경영 - 제 5경영과 학습조직 경영 총...
고객만족 경영과 경영혁신
시스템적 경영과 상황이론에 바탕을 둔 경영을 비교, 분석하되, 각각에 해당되는 기업이나 조...
시스템적 경영과 상황이론에 바탕을 둔 경영의 비교&#8228;분석
[경영과 정보시스템] 기업경영을 위한 정보시스템
[비전경영과 계획의 실행] 경영비전의 개념과 구성요소, 계획실행과 비전경영의 기능
품질경영과 지식경영 촉진방안
거시경영과 지속가능경영 (의의와 수행방안)
품질경영전략,전략적품질경영,품질지향전략,품질경영시스템의설계,품질경영과품질방침
일본의 경영학 (일본 경영학의 발전, 일본식 경영의 특질과 변화, 일본적 경영과 토요타시스...
품질경영과 품질감사 (품질경영의 개요, 품질경영 도입배경, 품질감사의 특징과 외부감사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