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게임 방송의 정의
1)게임방송의 정의
2) 공중파
3) 케이블
2. 게임 방송의 개요
3. 게임 방송의 분류
4. 게임 방송의 특성
1)게임방송의 정의
2) 공중파
3) 케이블
2. 게임 방송의 개요
3. 게임 방송의 분류
4. 게임 방송의 특성
본문내용
방송을 선도하고 있는 MBC플러스미디어는 전국 케이블 TV 및 위성방송 방송뿐만 아니라 위성 DMB (TU미디어)에 MBC EVERY1 채널을 공급함으로써 멀티 플랫폼 사업자로 발돋음 하고 있으며 또한 드라마를 비롯한 자체제작 콘텐츠를 전 세계에 배급하고 있다. VOD 콘텐츠 공급, 데이터방송, T-COMMERCE등 신규 부가사업 분야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MBC GAME HISTORY
2001년 03월 패션전문채널 LOOK TV인수
MBC게임 법인명 변경, 윤건호 제1대 대표이사 취임
06월 한국위성방송 채널사용사업자 선정(음악,게임분야)
07월 한국프로게임협회와 전략적 제휴
08월 곽성문 제2대 대표이사 취임
11월 제1회 월드사이버게임즈 주관방송사 선정
2002년 09월 제2회 전국 사이버 전국 체전 주관 방송사
11월 제2회 전국 컴퓨터 게임 EXPO 2002 주관 방송사
2003년 01월 MBCGAME으로 채널명 변경
02월 세중게임월드와 공동 프로모션 체결
03월 세중게임월드 MBC게임 스튜디오 오픈
10월 제1회 KT-KTF프리미어리그 주관 방송사 선정
11월 서울시와 업무협약 체결
12월 2003 대한민국 게임대상 주관 방송사 선정
2004년 03월 장근복 제3대 대표이사 취임
04월 제1회MBC게임 1ST.CHAMPIONS DAY개최
08월 제2회MBC게임 2ND.CHAMPIONS DAY개최
10월 한국 방송위원회 2004년 콘텐츠 제작 지원 채널 선정
다큐멘터리 3부작[게임강국 코리아] 제작 및 방영
2005년 08월 대구 E-SPORTS 페스티벌 2005주관 방송 진행
CKCG(CHINA-KOREA CYBER GAMES) 2005 주관 방송 진행
09월 WFF(WORLD E-SPORTS FESTIVAL)청도 2005 주관 방송 진행
한국 방송위원회 2005년 HD 콘텐츠 제작 지원 채널 선정
다큐멘터리 2부작 [게임,광장에 서다]제작 및 방영
2006년 02월 CPL,ESWC 2005 예선 및 본선 주관 방송사 선정
03월 제1회 대한민국 E-SPORTS 대상 주관 방송 진행
08월 WEF 2006(기존 CKCG 명칭 변경) 주관 방송 진행
2007년 08월 IEF2007 한중국가대항전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09월 천안 E-SPORTS 문화축제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2008년 07월 E스타즈 서울2008/IEF2008 한국대표선발전 주관방송
08월 경상STX컵 마스터즈 2008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09월 경상북도지사배 안동 하회탈 E스포츠 한마당 행사주관
12월 IEF 2008국가대항전(중국) 주관방송
2008 대한민국 게임대상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2009년 02월 엘리트학생복 스쿨리그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3) 위성 방송 : Game TV
게임TV는 2003년 5월 개국2주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트렌드와 컨셉으로 제2의 도약을 꿈꾸기 위해, 기존의 \'ghemTV\'라는 사명을 모두가 함께 하는 게임방송을 의미하는 \'gameTV\'로 변경하였다.
프로그램 경쟁력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임티브이는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게임시장과 시청자의 동향을 분석한 과학적인 편성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데, 그 핵심전략은 바로 프로그램의 차별화전략이다. 게임티브이는 타방송사에 비해서 종일 방송체제로의 전환이 다소 늦었지만 평일 본 방송 시간을 6시간까지 확대해 새로운 프로그램의 제작과 해외프로그램의 방송을 계획하는 등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게임티브이는 각 연령층에 따른 시청자의 특성을 고려해 시청시간대에 적합하게 블록으로 편성하였는데, 20대 남성을 대상으로는 전략대전과 동호회중심, 10대 남성을 위한 온라인게임과 보드. 콘솔게임, 10대 이하 어린이를 위한 시청자 참여형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기타 여성 시청자들을 겨냥한 퓨전 스타일의 게임휴행 정보프로그램을 구성해 각 계층의 구미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편성하였다. 하지만 근래 들어 경영상의 위기를 맞아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기존에 제작된 프로그램을 재방송하는 수준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4) 공중파 방송
지난 2001년 2월 공중파 3사 가운데 가장 먼저 SBS의 ‘게임쇼! 즐거운 세상’이 첫 방송을 시작한 이후, 지난 2-3년간 게임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대중적인 지지기반의 확산으로 MBC, KBS 순으로 게임프로그램을 신설하였다.
MBC는 ‘줌인 게임천국’이라는 타이틀의 게임프로그램을 매주 목요일 방송하였으며 공중파 3사 중 마지막으로 2003년 5월부터 KBS가 KBS2TV에서 ‘게임스테이션’이란 프로그램명으로 매주 토요일 밤 게임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과거와 달리 게임문화의 대중화에 공중파 3사가 적극적으로 나섰었다.
하지만 게임 방송이 네트워크 효과에 크게 영향을 받는 점과 더불어 기존의 게임 방송사의 특화된 프로그램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하고 지금은 이런 프로그램들이 사라지게 되었다.
(5) 게임방송의 특성 (공중파 방송과 비교)
게임방송은 공중파방송과 다르게 게임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 이는 게임방송이 게임을 중심으로 특화된 방송이기 때문이다. 게임방송은 컨텐츠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진다. 게임을 중계하는 ‘중계 프로그램’, 정보를 소개하는 ‘정보 소개프로그램’, 사람들이 나와 얘기를 나누는 ‘토크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중계프로그램’은 게임방송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프로그램이다. 각 게임방송사의 간판 프로그램은 대개 ‘중계프로그램’이 차지한다. 온게임넷의 경우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온게임넷 워크래프트3리그’가 있고 MBCgame은 ‘MBC 스타리그’가 있다. 그리고 양 방송사에서 공동으로 중계하는 ‘프로리그’도 있다. 중계프로그램은 대개 생방송으로 진행되고 게임방송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말해주듯이 프라임 타임시간인 7~9시에 보통 방송된다. 모든 경기를 종료할 때까지 방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는 정규방송관계로 스포츠중계가 도중에 끊기기 일쑤인 공중파방송과 대조를 이룬다. ‘정보 소개프로그램’ 은 단일한 장르를 다루는 만큼 공중파 방송에 비하여 훨씬 자세하고 세밀하다. 수박 겉
*MBC GAME HISTORY
2001년 03월 패션전문채널 LOOK TV인수
MBC게임 법인명 변경, 윤건호 제1대 대표이사 취임
06월 한국위성방송 채널사용사업자 선정(음악,게임분야)
07월 한국프로게임협회와 전략적 제휴
08월 곽성문 제2대 대표이사 취임
11월 제1회 월드사이버게임즈 주관방송사 선정
2002년 09월 제2회 전국 사이버 전국 체전 주관 방송사
11월 제2회 전국 컴퓨터 게임 EXPO 2002 주관 방송사
2003년 01월 MBCGAME으로 채널명 변경
02월 세중게임월드와 공동 프로모션 체결
03월 세중게임월드 MBC게임 스튜디오 오픈
10월 제1회 KT-KTF프리미어리그 주관 방송사 선정
11월 서울시와 업무협약 체결
12월 2003 대한민국 게임대상 주관 방송사 선정
2004년 03월 장근복 제3대 대표이사 취임
04월 제1회MBC게임 1ST.CHAMPIONS DAY개최
08월 제2회MBC게임 2ND.CHAMPIONS DAY개최
10월 한국 방송위원회 2004년 콘텐츠 제작 지원 채널 선정
다큐멘터리 3부작[게임강국 코리아] 제작 및 방영
2005년 08월 대구 E-SPORTS 페스티벌 2005주관 방송 진행
CKCG(CHINA-KOREA CYBER GAMES) 2005 주관 방송 진행
09월 WFF(WORLD E-SPORTS FESTIVAL)청도 2005 주관 방송 진행
한국 방송위원회 2005년 HD 콘텐츠 제작 지원 채널 선정
다큐멘터리 2부작 [게임,광장에 서다]제작 및 방영
2006년 02월 CPL,ESWC 2005 예선 및 본선 주관 방송사 선정
03월 제1회 대한민국 E-SPORTS 대상 주관 방송 진행
08월 WEF 2006(기존 CKCG 명칭 변경) 주관 방송 진행
2007년 08월 IEF2007 한중국가대항전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09월 천안 E-SPORTS 문화축제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2008년 07월 E스타즈 서울2008/IEF2008 한국대표선발전 주관방송
08월 경상STX컵 마스터즈 2008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09월 경상북도지사배 안동 하회탈 E스포츠 한마당 행사주관
12월 IEF 2008국가대항전(중국) 주관방송
2008 대한민국 게임대상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2009년 02월 엘리트학생복 스쿨리그 행사주관 및 주관방송
3) 위성 방송 : Game TV
게임TV는 2003년 5월 개국2주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트렌드와 컨셉으로 제2의 도약을 꿈꾸기 위해, 기존의 \'ghemTV\'라는 사명을 모두가 함께 하는 게임방송을 의미하는 \'gameTV\'로 변경하였다.
프로그램 경쟁력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임티브이는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게임시장과 시청자의 동향을 분석한 과학적인 편성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데, 그 핵심전략은 바로 프로그램의 차별화전략이다. 게임티브이는 타방송사에 비해서 종일 방송체제로의 전환이 다소 늦었지만 평일 본 방송 시간을 6시간까지 확대해 새로운 프로그램의 제작과 해외프로그램의 방송을 계획하는 등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게임티브이는 각 연령층에 따른 시청자의 특성을 고려해 시청시간대에 적합하게 블록으로 편성하였는데, 20대 남성을 대상으로는 전략대전과 동호회중심, 10대 남성을 위한 온라인게임과 보드. 콘솔게임, 10대 이하 어린이를 위한 시청자 참여형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기타 여성 시청자들을 겨냥한 퓨전 스타일의 게임휴행 정보프로그램을 구성해 각 계층의 구미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편성하였다. 하지만 근래 들어 경영상의 위기를 맞아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기존에 제작된 프로그램을 재방송하는 수준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4) 공중파 방송
지난 2001년 2월 공중파 3사 가운데 가장 먼저 SBS의 ‘게임쇼! 즐거운 세상’이 첫 방송을 시작한 이후, 지난 2-3년간 게임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대중적인 지지기반의 확산으로 MBC, KBS 순으로 게임프로그램을 신설하였다.
MBC는 ‘줌인 게임천국’이라는 타이틀의 게임프로그램을 매주 목요일 방송하였으며 공중파 3사 중 마지막으로 2003년 5월부터 KBS가 KBS2TV에서 ‘게임스테이션’이란 프로그램명으로 매주 토요일 밤 게임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과거와 달리 게임문화의 대중화에 공중파 3사가 적극적으로 나섰었다.
하지만 게임 방송이 네트워크 효과에 크게 영향을 받는 점과 더불어 기존의 게임 방송사의 특화된 프로그램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하고 지금은 이런 프로그램들이 사라지게 되었다.
(5) 게임방송의 특성 (공중파 방송과 비교)
게임방송은 공중파방송과 다르게 게임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 이는 게임방송이 게임을 중심으로 특화된 방송이기 때문이다. 게임방송은 컨텐츠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진다. 게임을 중계하는 ‘중계 프로그램’, 정보를 소개하는 ‘정보 소개프로그램’, 사람들이 나와 얘기를 나누는 ‘토크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중계프로그램’은 게임방송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프로그램이다. 각 게임방송사의 간판 프로그램은 대개 ‘중계프로그램’이 차지한다. 온게임넷의 경우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온게임넷 워크래프트3리그’가 있고 MBCgame은 ‘MBC 스타리그’가 있다. 그리고 양 방송사에서 공동으로 중계하는 ‘프로리그’도 있다. 중계프로그램은 대개 생방송으로 진행되고 게임방송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말해주듯이 프라임 타임시간인 7~9시에 보통 방송된다. 모든 경기를 종료할 때까지 방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는 정규방송관계로 스포츠중계가 도중에 끊기기 일쑤인 공중파방송과 대조를 이룬다. ‘정보 소개프로그램’ 은 단일한 장르를 다루는 만큼 공중파 방송에 비하여 훨씬 자세하고 세밀하다. 수박 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