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형사책임
Ⅱ. 징계책임
Ⅱ. 징계책임
본문내용
아니며 그 실질적 관련성을 가지는 경우에만 징계책임을 진다.
판례는 조합간부에게 개별조합원의 행위에 대해 그 위법행위까지 방지할 의무를 인정하고 그 방지의무위반 자체를 징계처분의 대상으로서 긍정하고 있다(99누7733). 이에 대해 방지의무위반에 대한 징계책임은 타인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는 결과가 되므로 개인책임의 원리에 반한다는 비판이 있다.
판례는 조합간부에게 개별조합원의 행위에 대해 그 위법행위까지 방지할 의무를 인정하고 그 방지의무위반 자체를 징계처분의 대상으로서 긍정하고 있다(99누7733). 이에 대해 방지의무위반에 대한 징계책임은 타인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는 결과가 되므로 개인책임의 원리에 반한다는 비판이 있다.
추천자료
노동자 대회 누가 폭력을 불렀는가?
아시아나 조종사 노조의 쟁의행위 및 이에대한 정부의 긴급조정 행사의 사례
평화의무와 평화조항
공인노무사 2차 서브노트 (노동법 2)
GM사의 노사분규
[사회과학] 준법투쟁에 대한 검토
합법적파업과 비합법적 파업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대상
[직권중재제도][중재재정제도]직권중재제도(중재재정제도)의 문제점, 직권중재제도(중재재정...
평화의무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노동법상 직장폐쇄에 대한 검토
근로기준법상 근로계약체결에 따른 근로자의 근로제공의무
노조법상 직장폐쇄 관련 판례 연구
2011년 2학기 노사관계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