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ond Life가 한국에서 실패한 이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econd Life가 한국에서 실패한 이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세컨드라이프의 특징
Ⅲ. 세컨드라이프 vs 싸이월드 미니홈피
Ⅳ. 세컨드라이프 외 세계적 인터넷 업체의 국내 진출 실패 사례
Ⅴ. 세컨드라이프의 실패요인
Ⅵ. 결론

본문내용

되었다. 세컨드라이프 정도의 서비스도 국내 시장의 특수성의 벽에 미비한 지원으로 무너지는 것을 보면 다소 아깝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세컨드라이프의 국내 진출 실패를 거울삼아 이미 싸이월드 미니홈피가 익숙한 국내시장에 진출할 때의 필요한 요건으로 몇 가지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국내 시장에 맞도록 한국화한 SNS가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컨드라이프와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던 마이스페이스와 같은 서비스의 경우에도 서로의 연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툴이 없어 국내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결국 철수하고야 말았다. 이미 사용자들은 지인중심으로 성장한 싸이월드에 익숙하기 때문에, 굳이 새로운 환경에서의 정보 공유를 위한 터전을 새롭게 만들어야할 당위성을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인은 혈연은 물론 지연, 학연 등에 대해 강한 연대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대감을 일촌이라는 개념으로 인맥을 형성하고, 한정적인 대상에게만 자신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 익숙하다. 때문에 지인을 중심으로 한 연대감 형성할 수 있는 SNS를 지원하거나, 새로운 사이트를 통해 정보 공유에 대한 가치를 제시해줘야 성공할 수 있다.
또한 중요한 것이 최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개인정보 유출과 악성코드 전파 등의 확대에 관한 문제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정보에 대한 정서가 어느나라 못지않게 민감하므로 SNS의 보안성 강화에 특히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뚜렷한 수익모델을 통해 지속적인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신뢰도를 확보해야 한다. 아쉽게도 트위터를 비롯한 최근 SNS 기업들은 뚜렷한 수익 모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모델이 제시되지 못하면 현 서비스의 한계에 이를 때 기업은 쓰러지거나, 인수 합병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불안감을 더해줄 뿐이다.
현재 국내 SNS 시장도 과도기를 맞이하고 있다. 사용자들도 싸이월드를 넘어선 제 3의 서비스를 기대하고 있다. 이 자리를 대형 포털사가 굳건히 자리를 잡게 될 지, 새로운 서비스 기업이 등장할 지에 대해서 어떠한 전문가도 장담하지 못하고 있다.
사용자들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면서도, 수익모델을 갖춘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을 통해 새로운 인터넷 세상을 통해 사용자들이 선택의 폭과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창출되기를 기대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22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4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