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원조관계의 정의와 특성
제 2절 원조관계의 전문적 지침
제 3절 원조관계의 원리
1.<클라이언트의 7가지 기본적인 욕구>
2. <케이스워크 관계의 7가지 원리>
1)개별화
2)의도적 감정표현
3)수용
4)통제된 정서적 관여
5)비심판적 태도
6)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7)비밀보장
제 4절 원조관계의 발전과 유지과정
제5절 원조관계 확립의 장애
제 2절 원조관계의 전문적 지침
제 3절 원조관계의 원리
1.<클라이언트의 7가지 기본적인 욕구>
2. <케이스워크 관계의 7가지 원리>
1)개별화
2)의도적 감정표현
3)수용
4)통제된 정서적 관여
5)비심판적 태도
6)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7)비밀보장
제 4절 원조관계의 발전과 유지과정
제5절 원조관계 확립의 장애
본문내용
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거짓된 약 속을 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말고 여기에 대한 답은 아마 다음 면접 때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알려주어야 한다.
⑧ 사회복지사는 도움을 구하는 초기단계의 특성인 양가성 ambivalence: 1.[심리] 양면가치, 반대 감정 병존 (동일 대상에 대해 사랑과 미움 같은 상반된 태도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2. 모순, 동요, 주저
에 대하여 민감해야 하고 클라 이언트의 비언어적 행동의 메시지와 언어적 행동에서 표현되지 않은 메시지를 명확히 알 필요가 있다. 비록, 귀로 경청하는 동안에도 눈으로 관찰을 잘하고 감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제5절 원조관계 확립의 장애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관계를 건설적으로 확립해 나가야 하지만 이러한 관계 확립에는 장애요인들이 있다. 효과적인 면접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는 면접 그 자체뿐만 아니라 원조관계의 확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종, 성별, 연령, 권위의 쟁점, 자기 민족 중심주의, 전이와 역전이 현상 등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 치료적 관계의 확립에 방해가 되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거리감 및 갈등을 자아낼 수 있다. 원조관계에서 이러한 장애를 처리함에 있어 사회복지사는 장벽의 존재를 의식해야 하며 이 장벽을 건설적은 방법으로 처리하도록 시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이 중요하다. Hepworth와 Laren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회복지사가 관계를 확립하는 것 못지않게 유지하는 면에서도 기술적이 될 것을 강조하면서, 관계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사안들을 다음과 같이 열거하고 있다. 즉, 지금여기 반응, 지나친 관여나 부족한 관여,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병리적 혹은 부적절한 태도, 인종적, 문화적 차이와 장애, 신뢰확립에서의 어려움, 전이반응, 역전이 반응, 실천가의 현실적인 반응, 클라이언트에 대한 성적 이끌림 등이다. 이들 가운데 지금여기 반응, 전이반응, 역전이 반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지금여기 반응
클라이언트들은 원조관계상의 일시적 불화를 야기하는 정서적 반응들을 종종 경험하며, 사회복지사가 이에 기술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에 생기는 반응으로 이러한 반응들은 원조과정에서의 주요 장애로 발전된다. 클라이언트의 부정적 감정들을 즉각적으로 야기하는 실천가들의 전형적인 행동의 예들이다.
①클라이언트가 가지는 중요한 감정들을 알아채는 데 실패함
②클라이언트가 비판이나 격하 등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는 메시지의 표출
③클라이언트에게 무심함
④클라이언트가 성취한 상당한 정도의 성장을 인정하는 데 실패함
⑤시기 혹은 내용면에서 부적절한 직면기술의 사용
⑥이전에 이미 클라이언트가 밝힌 바 있는 중요 정보에 대한 기억을 하지 못함
⑦약속시간에 늦거나 약속의 취소
⑧성토 혹은 과도한 충고를 함
⑨졸음 혹은 조바심을 보임
⑩클라이언트가 계획한 일련의 행위를 용인하지 않음
⑪클라이언트와 대립되는 쪽의 편을 드는 것 같은 인상을 줌
⑫논의를 장악하거나 클라이언트의 말을 자주 중단시킴
⑬클라이언트가 생각하기에 해낼 수 없을 충고 혹은 과제를 줌
이와 같은 지금여기반응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표현들에 민감해야 하며, 클라이언트의 생각이나 감정들이 설령 현실적이지 않다고 해도 이에 관심을 기울이며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2)전이반응
전이반응은 클라이언트가 이전 경험을 토대로 현재 경험을 과도하게 일반화해서 왜곡된 인식을 갖게 하며, 이는 대인관계상의 어려움을 자아낸다. 다음은 전이반응을 다룸에 있어 필요한 지침들이다.
①클라이언트의 반응이 전혀 비현실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복지사 자신의 행동에 의해서도 양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②사회복지사가 과거에 중요한 타인이 했던 식의 반치료적 방식으로 응해 주기를 클라이언 트가 기대할 때, 다른 방식으로 대응함으로써 그러한 기대감이 부적절함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③클라이언트가 그러한 감정들이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왜곡된 인식의 원천을 즉시 규정하도록 돕는다.
④클라이언트가 감정의 비현실성 및 왜곡을 인식한 후, 사회복지사의 실질적 감정들을 공유 함이 도움이 된다. 이러한 것은 과거에 상처받고, 거부당했다고 느낀 클라이언트들에게 재보증의 한 근원이 된다.
⑤사회복지사는 문제의 소지가 있는 감정들을 검토한 뒤, 클라이언트들이 다른 관계에서도 이와 유사한 반응들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돕는다.
3)역전이 반응
사회복지사 또한 효과적으로 상황에 대해 인식 및 대처하지 못할 경우 원조관계에 해를 미칠 수 있는 관계상의 부정적반응을 경험하가도 한다. 클라이언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감정은 현실적 혹은 비현실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을 역전이 반응이라고 한다. 대개 역전이를 해결하는 첫 단계는 자기성찰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는 감정, 반응, 인지 및 행동 등의 근원에 대해 자기 자신과의 분석적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다음은 자기성찰을 위한 몇 가지의 핵심적 질문의 예들이다.
■“나는 이 클라이언트와는 왜 불편할까? 내가 좀 더 자유롭게 그와 관계되지 못하는 데는 내 속의 그 무엇 때문일까?”
■“내가 그와 같은 반응을 할 때 내가 느끼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부 응하는가? 아니면 나 자신의 욕구에 부응하는가?”
■“나의 행위나 메시지는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위한 것인가?”
■“나는 왜 이 클라이언트가 싫은가? 이러한 나의 감정은 합리적인 것인가? 혹은 그 클라이 언트가 나로 하여금 과거의 어느 누구를 연상시키기 때문인가?”
■“이 클라이언트의 특정 문제에 부딪히기가 싫은 것은 내 속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인가? 나는 클라이언트 측의 부정적 반응을 두려워하고 있는가?”
■“어떤 목적에서 나는 이 클라이언트와 언쟁을 하고 있는가? 내가 방어적 혹은 위협받고 있다고 느꼈는가?”
■“왜 나는 그토록 말을 많이 하고 충고를 많이 했는가? 내가 클라이언트에게 뭔가를 주어 야 할 필요를 가졌는가?”
■“이 클라이언트에 대해 환상을 가지고 있는 내 속에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⑧ 사회복지사는 도움을 구하는 초기단계의 특성인 양가성 ambivalence: 1.[심리] 양면가치, 반대 감정 병존 (동일 대상에 대해 사랑과 미움 같은 상반된 태도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2. 모순, 동요, 주저
에 대하여 민감해야 하고 클라 이언트의 비언어적 행동의 메시지와 언어적 행동에서 표현되지 않은 메시지를 명확히 알 필요가 있다. 비록, 귀로 경청하는 동안에도 눈으로 관찰을 잘하고 감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제5절 원조관계 확립의 장애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관계를 건설적으로 확립해 나가야 하지만 이러한 관계 확립에는 장애요인들이 있다. 효과적인 면접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는 면접 그 자체뿐만 아니라 원조관계의 확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종, 성별, 연령, 권위의 쟁점, 자기 민족 중심주의, 전이와 역전이 현상 등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 치료적 관계의 확립에 방해가 되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거리감 및 갈등을 자아낼 수 있다. 원조관계에서 이러한 장애를 처리함에 있어 사회복지사는 장벽의 존재를 의식해야 하며 이 장벽을 건설적은 방법으로 처리하도록 시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이 중요하다. Hepworth와 Laren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회복지사가 관계를 확립하는 것 못지않게 유지하는 면에서도 기술적이 될 것을 강조하면서, 관계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사안들을 다음과 같이 열거하고 있다. 즉, 지금여기 반응, 지나친 관여나 부족한 관여,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병리적 혹은 부적절한 태도, 인종적, 문화적 차이와 장애, 신뢰확립에서의 어려움, 전이반응, 역전이 반응, 실천가의 현실적인 반응, 클라이언트에 대한 성적 이끌림 등이다. 이들 가운데 지금여기 반응, 전이반응, 역전이 반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지금여기 반응
클라이언트들은 원조관계상의 일시적 불화를 야기하는 정서적 반응들을 종종 경험하며, 사회복지사가 이에 기술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에 생기는 반응으로 이러한 반응들은 원조과정에서의 주요 장애로 발전된다. 클라이언트의 부정적 감정들을 즉각적으로 야기하는 실천가들의 전형적인 행동의 예들이다.
①클라이언트가 가지는 중요한 감정들을 알아채는 데 실패함
②클라이언트가 비판이나 격하 등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는 메시지의 표출
③클라이언트에게 무심함
④클라이언트가 성취한 상당한 정도의 성장을 인정하는 데 실패함
⑤시기 혹은 내용면에서 부적절한 직면기술의 사용
⑥이전에 이미 클라이언트가 밝힌 바 있는 중요 정보에 대한 기억을 하지 못함
⑦약속시간에 늦거나 약속의 취소
⑧성토 혹은 과도한 충고를 함
⑨졸음 혹은 조바심을 보임
⑩클라이언트가 계획한 일련의 행위를 용인하지 않음
⑪클라이언트와 대립되는 쪽의 편을 드는 것 같은 인상을 줌
⑫논의를 장악하거나 클라이언트의 말을 자주 중단시킴
⑬클라이언트가 생각하기에 해낼 수 없을 충고 혹은 과제를 줌
이와 같은 지금여기반응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표현들에 민감해야 하며, 클라이언트의 생각이나 감정들이 설령 현실적이지 않다고 해도 이에 관심을 기울이며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2)전이반응
전이반응은 클라이언트가 이전 경험을 토대로 현재 경험을 과도하게 일반화해서 왜곡된 인식을 갖게 하며, 이는 대인관계상의 어려움을 자아낸다. 다음은 전이반응을 다룸에 있어 필요한 지침들이다.
①클라이언트의 반응이 전혀 비현실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복지사 자신의 행동에 의해서도 양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②사회복지사가 과거에 중요한 타인이 했던 식의 반치료적 방식으로 응해 주기를 클라이언 트가 기대할 때, 다른 방식으로 대응함으로써 그러한 기대감이 부적절함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③클라이언트가 그러한 감정들이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왜곡된 인식의 원천을 즉시 규정하도록 돕는다.
④클라이언트가 감정의 비현실성 및 왜곡을 인식한 후, 사회복지사의 실질적 감정들을 공유 함이 도움이 된다. 이러한 것은 과거에 상처받고, 거부당했다고 느낀 클라이언트들에게 재보증의 한 근원이 된다.
⑤사회복지사는 문제의 소지가 있는 감정들을 검토한 뒤, 클라이언트들이 다른 관계에서도 이와 유사한 반응들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돕는다.
3)역전이 반응
사회복지사 또한 효과적으로 상황에 대해 인식 및 대처하지 못할 경우 원조관계에 해를 미칠 수 있는 관계상의 부정적반응을 경험하가도 한다. 클라이언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감정은 현실적 혹은 비현실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을 역전이 반응이라고 한다. 대개 역전이를 해결하는 첫 단계는 자기성찰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는 감정, 반응, 인지 및 행동 등의 근원에 대해 자기 자신과의 분석적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다음은 자기성찰을 위한 몇 가지의 핵심적 질문의 예들이다.
■“나는 이 클라이언트와는 왜 불편할까? 내가 좀 더 자유롭게 그와 관계되지 못하는 데는 내 속의 그 무엇 때문일까?”
■“내가 그와 같은 반응을 할 때 내가 느끼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부 응하는가? 아니면 나 자신의 욕구에 부응하는가?”
■“나의 행위나 메시지는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위한 것인가?”
■“나는 왜 이 클라이언트가 싫은가? 이러한 나의 감정은 합리적인 것인가? 혹은 그 클라이 언트가 나로 하여금 과거의 어느 누구를 연상시키기 때문인가?”
■“이 클라이언트의 특정 문제에 부딪히기가 싫은 것은 내 속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인가? 나는 클라이언트 측의 부정적 반응을 두려워하고 있는가?”
■“어떤 목적에서 나는 이 클라이언트와 언쟁을 하고 있는가? 내가 방어적 혹은 위협받고 있다고 느꼈는가?”
■“왜 나는 그토록 말을 많이 하고 충고를 많이 했는가? 내가 클라이언트에게 뭔가를 주어 야 할 필요를 가졌는가?”
■“이 클라이언트에 대해 환상을 가지고 있는 내 속에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