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택식물원 견학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택식물원 견학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깽깽이풀

2. 괭이눈

3. 노루귀

4. 앉은부채

5. 삿갓나물

6. 수선화

7. 마취목(피어리스)

8. 호주매화

9. 동의나물

10. 빗살현호색

11. 하덴버지아(보라싸리)

12. 장수만리화

◈ 참고문헌

◈‘한택식물원’관람 소감

본문내용

나르시스라는 미소년의 전설에서 '자기주의(自己主義)' 또는 '자기애(自己愛)'를 뜻하게 되었다.
7. 마취목(피어리스)
과 명 : 진달래과
학 명 : Pieris japonica
영 명 : Japanese andromeda
꽃 말 : 희생
일본이 원산이며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은 어긋나고 딱딱하며 거꾸로 선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이른 봄에 단지 모양의 꽃이 흰색이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핀다.
열매는 삭과(殼果)이고 둥글며 지름 5∼6mm로서 위를 향하여 달린다. 잎에 독성분이 있어 소나 말이 먹으면 마비되므로 마취목이라고 부른다. 잎을 삶아서 농작물의 해충이나 파리를 구제하는 데 사용한다.
8. 호주매화
과 명 : 도금양과
학 명 : Leptospermum scoparium
영 명 : manuka
꽃 말 : 절정, 결백
어류매(魚柳梅), 호주매라고 불리기도 하는 호주매화는 가까운 일본에서 도입된 품종으로 추위에 강하고 꽃이 계속 피기 때문에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뉴질랜드에서는 마누카(Manuka), 호주에서는 티트리(Tea tree)라고 부르기도 한다는 자료가 있는데 학명이 다른 것으로 보아 유사종인 것 같다.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 원산지는 호주와 뉴질랜드 지역이며 흔히 알고 있는 매화나무 꽃과 비슷하다하여 '호주매화'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9. 동의나물
과 명 : 미나리아재비과
학 명 :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영 명 : Yellow marsh marigold
꽃 말 : 다가올 행복
동이나물·입금화(立金花)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흰색의 굵은 뿌리에서 잎이 뭉쳐난다. 잎은 심장모양의 원형 또는 달걀모양의 심원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5∼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꽃은 꽃잎이 없으며 꽃받침 조각이다. 4∼5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줄기 끝에 1∼2개씩 달리고 작은꽃가지가 있다. 열매는 골돌(利咨)로 4∼16개씩 달리고 길이 1cm 정도이며 끝에 암술대가 붙어 있다. 옆으로 비스듬히 서는 것을 눈동의나물(C. palustris for. decumbens)이라고 한다.
10. 빗살현호색
과 명 : 현호색과
학 명 : Corydalis turtschaninovii var. pectinata
영 명 : Corydalis
꽃 말 : 보물주머니
동이나물·입금화(立金花)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흰색의 굵은 뿌리에서 잎이 뭉쳐난다. 잎은 심장모양의 원형 또는 달걀모양의 심원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5∼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꽃은 꽃잎이 없으며 꽃받침 조각이다. 4∼5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줄기 끝에 1∼2개씩 달리고 작은꽃가지가 있다. 열매는 골돌(利咨)로 4∼16개씩 달리고 길이 1cm 정도이며 끝에 암술대가 붙어 있다. 옆으로 비스듬히 서는 것을 눈동의나물(C. palustris for. decumbens)이라고 한다.
11. 하덴버지아(보라싸리)
과 명 : 콩과
학 명 : Hardenbergia violacea
영 명 : Purple coral pea
꽃 말 :
싸리나무를 닮은 보라색 꽃을 피워 보라싸리라고 부르기도 하며 영명으로는 purple coral pea으로서 보라색산호를 닮은 콩과식물이라는 뜻이다. 'Bushy blue'는 품종명으로 다른 종에 비해 화색이 더욱 진하고 화려하다.
호주를 비롯한 남반구 지역과 계절이 반대인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서 봄까지 3개월이상 꽃을 볼 수 있다. 나무를 타고 오르거나 지면을 덮으며 자라는 덩굴식물로 개화기가 길고 꽃색이 아름다워 실내에서 키우기 좋은 식물이다.
12. 장수만리화
과 명 : 물푸레나무과
학 명 : Forsythia densiflora
영 명 :
꽃 말 : 희망
산골짜기의 개울둑에서 자란다. 높이 1∼1.5m이다. 가지의 속은 계단 모양이고 수피는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 5∼7cm, 나비 3.8∼6.3cm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거나 거의 없다. 잎자루는 길이 8∼12mm이다.
잎보다 먼저 3∼4월에 황금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작은꽃자루는 짧고 꽃받침과 화관은 4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고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는다. 잎에 윤기가 없고, 작은 가지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줄기가 곧게 선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황해도 장수산에 분포한다.
◈ 참고문헌
한택식물원 http://www.hantaek.co.kr/
네이버 블로그
- 혁이삼촌의 풀꽃나무 일기 http://blog.naver.com/freebowl
- 행복한 마당 http://blog.naver.com/cswallow
- 올빼미 화원 http://blog.naver.com/manwha21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 ‘한택식물원’ 관람 소감
꽃의 사진을 직접 찍어 제출해야 하는 이번 과 제 덕분에 한택식물원을 방문하게 되었다.
안성에서 용인으로 용인에서 죽산으로, 가는 방법을 정확히 알지 못해 돌아 돌아 한택식물원에 도착했는데, 4월 4일, 아직은 조금 이른감이 있 는지 내가 상상하던 알록달록 식물원과는 조금 달랐다. 아직 많은 꽃이 개화하지 않았고, 식물 원도 새단장 중이었다. 4월이면 꽃이 다 피었 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한 일, 이주 정도는 더 지나야 한다고 한다. 다음 주 쯤에는 튤립이 개화한다고 하니, 아름다운 식물원으로 탈바꿈 할 모습을 상상해보면 5월달쯤에 꼭 한번 한택 식물원을 다시 방문해보고 싶다.
식물원을 방문한 기념으로 동의나물과 일월금을 구입했는데, 동의나물은 하루밖에 안지났는데도 부쩍 큰 느낌이다. 처음으로 구입해 본 식물이니만큼 잘 키워봐야겟다^^
목 차
1. 깽깽이풀
2. 괭이눈
3. 노루귀
4. 앉은부채
5. 삿갓나물
6. 수선화
7. 마취목(피어리스)
8. 호주매화
9. 동의나물
10. 빗살현호색
11. 하덴버지아(보라싸리)
12. 장수만리화
◈ 참고문헌
◈‘한택식물원’관람 소감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2.29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5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