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뇌수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입원경로:외래

2.진단: communicating hydrocephalus

3. 주증상:mental:semi-coma

4.신체적 상태

- Nursing process-

-LAB DATA-

-질병연구-

-Medication-

본문내용

최근에는 잘 시행하지 않는 병원들이 늘어나고 있다.
뇌척수액을 40에서 50cc 가량 뽑아 환자의 반응을 보는 것은 효과적인 진단겸 치료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일부의 환자에서는 주로 걸음걸이에 대해 극적인 호전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나 실제 정상압 뇌수종이 있으나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위음성의 위험이 있다.
이들 이외에도 환자의 뇌척수액의 압력의 변화양상을 직접 측정하고 척수액의 흐름에대한 저항을 구하는 방법도 도움이 되나 일부의 병원에서만 시행하고 있다 .
최근에는 단일양자방출영상(SPECT)이나 PET를 이용하여 뇌혈류흐름이나 뇌대사를 보려는 시도가 있다. PET검사상 정상압뇌수종 환자의 뇌는 전반적인 포도당의 흡수 저하를 보이는데 이는 주로 양쪽 두정엽이나 측두엽에 저하를 나타내는 알쯔하이머형 치매와는 다른 양상이나 서로 비슷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아서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5. 예후와 치료
치료 받지 않는 대부분의 환자는 증세의 악화를 보여 결국은 자리에 누워서 지내야 한다. 환자의 치료로는 Acetazolamide( 250mg-500mg)같은 이뇨제를 투여하여 뇌척수액의 형성을 줄이는 내과적인 방법과 뇌척수액을 다른 통로를 통해서 뽑아내는 수술적인 방법이 있는데 수술적인 방법인 경우 수술하더라도 45%정도의 환자는 증세가 악화되거나 호전이 없는 경우가 있어 수술대상이 되는 환자를 선정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뇌척수액 단락술을 실시할 때 생각할 점들은 첫째, 환자가 얼마나 치매가 오래 되었나? 하는 것으로 치매가 2년 이상인 경우 수술에 반응을 잘하지 않는다. 환자에게서 나타난 첫 증상이 치매인지 걸음걸이 이상인지에 관한 것도 중요한 사항인데, 만일 걸음 걸이의 이상이 치매가 나타나기 전 이나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면 수술에 대한 반응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술에 대한 중독의 과거력이 있었던 경우는 수술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다. 과거력상 지주막하 출혈이나 뇌막염, 뇌수술, 뇌부상등의 뇌수종을 일으킬만한 다른 이차적인 원인이 있는 경우 수술에 대한 반응이 좀더 좋다고 한다. 요추 천자로 뇌척수액을 뽑았을 때 일시적인 증세의 호전을 보였던 경우나 뇌영상 검사에서 뇌위축이 심하지 않았던 경우가 수술시 호전을 잘 보인다고 한다.
수술의 겨우 합병증은 약 30%에서 나타나는데 경막하 혈종, 수술부위 감염, 뇌경색, 수술한 관의 폐쇄등이 발생한다. 수술시에는 뇌실과 복막을 연결하는 것보다 요추부위의 지주막하 공간과 복막을 연결하는 것이 수술의 합병증을 줄이고 시행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요약하면 보행상과 요실금, 치매를 주소로 환자가 내원하면 정상압 뇌수종을 의심하고 뇌영상 검사에서 뇌실의 확장을 확인하고 척수액 검사에서 정상압력을 확인하고 동시에 충분한 양40-50cc의 뇌척수액을 뽑아서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고 수술에 대한 적절한 대상이 되는 경우에 척수액 단락술을 실시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나의 환자의 경우 교통성 뇌수종으로 써 primary SAH진단받은후 OP시행하고 나서 가장 흔하게 오는 합병증으로써 발병한 경우다 . 뇌 척수액이 흡수되지 않아서 현재 EVD 배액이 잘 안될 경우에는 Shunt를 할 예정이지만 현재 duty 당 70cc 로 잘 배액 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mannitol을 사용, 30도 head elevation을 통하여 뇌부종을 감소 시키고 있는 중이며 현재 의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리고있다. evd를 장기간 사용하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edema가 더 심해지거나 가라안지 않으면 shunt를 시행할 것이다
-Medication-
■injection
9/4~
1.mucosten 1@ tid IV
진해 거담제
효능:급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투여이유: 대상자는 장기간의 부동상태로 객담이 많이 차여있는 상태이다
현재 혼수 상태여서 객담을 뱉을수 없는 상황이여서 흡입 방법을 통해서 점도 높은 가래를 묽게 하기 위해서 투여
2.Rukasyn 1.5g tid IV
페니실린계의 항생제
효능:세균성 폐렴, 신우신염등 여러 감염성 질환에 사용
투여이유: 환자는 op를3번 한 상태이며 현재 EVD,CATHETAR INSERT중이여서
감염예방을 위해서 투여
3.ciprobay 200mg bid IV
퀴놀론계 항생제
효능:호흡기 감염, 뇌막염에 사용
투여이유: 뇌막염의 발병과 여러 감염을 막기 위해서
예방적으로 투여
4.diflucan 100mg qd IV
인두, 식도, 칸디다뇨증
투여이유: 환자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5.15% mannitol 150cc q4hrs iv
당류제
효능:수수중.후.외상후 급성 신부전의 예방과 치료
약물중독시 배설촉진, 두개내압강하 및 뇌용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
투여이유: 환자는 뇌부종이 심하여 뇌부종 완화, 뇌압 하강을 위해서 투여
■p.o med 9/4~
1.stillen 1t tid p.o
소화성 궤양용제-급성 위염, 만성위염
투여이유: 환자는 지금 질병으로 인하여 stress ulcer 대비를 위해서 투약
2.ulcermin 1p tid p.o
제산제
위벽 보호를 위해서 식전에 투여
3.depakin 500mg bid p.o
항전간제
효능:간질,정신운동성 발작과 간질에 수반되는 성격, 행동장애의 애방과 치료
투여이유:뇌부종으로 인한 뇌의 압박으로 발작 예방을 위해서 투여
4.nutrilan 1p tid p.o
단백 아미노산 제제
경구용액
효능: 장기간에 걸쳐 경구적으로 영영섭취가 곤란한 경우의 경관영양 보금
투여이유: 장기간 침상안정으로 음식물의 경구 섭취가 불가능하며
전체적으로 영양상태가 좋지 못하여서 투여
■Fluid 9/4~
5% DW 500+Dopa 800mg -10gtts/1min
■dopamin: 심질환 용제
-효능: 심근경색,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및 기타 순환장애
-투여이유: 환자의 경우 뇌 부종으로 인한 뇌손상으로 인하여 심박출량이 저하된 상태
이므로 투여
N/SL MVH 1@+Nacl 80meq+kcl 40meq
■MVH:복합 비타민 제제
-효능: 수술시, 중화상,혼수상태
-투여이유: 대상자가 장기간 부동 상태이며 혼수상태 이므로 투여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1.1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