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헤르바르트 10장 요약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헤르바르트 10장 요약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헤르바르트의 생애
2. 업적
3. 저서
4. 교육사상과 내용
5. 방법
6. 교수
7. 결론

본문내용

교육의 기초로 아동의 심리에 착안하였으며, 칸트나 피히테 등은 철학적 기초위에 교육학을 조직하려고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교육학의 과학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교육학의 독자적 체계를 수립한 사람은 헤르바르트이다.
그는 그의 저서 [교육학 강의 개요] 서문에서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은 실천철학과 심리학에 의존한다. 실천철학은 교육의 목적을, 심리학은 교육의 길, 즉 교육의 수단과 장애를 교시한다”고 함으로써 실천철학(윤리학)으로부터 교육의 목적을 심리학으로부터 교육 및 수업의 방법을 도출하여 독립된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을 성립시켰다.
-연도 별 업적-
▶ 1776년 올덴부르크(Oldenburg)에서 태어남
법률가였던 아버지와 뛰어난 지성인이었던 어머니로부터 그리스어와 수학을 배움
▶ 18세 되던 해에 예나 대학에 입학 피히테의 제자가 됨
▶ 1797년 - 99년 개인교사 생활을 함
▶ 1799년 페스탈로치 교육사상에 심취 부르그돌프 학교 방문
▶ 1802년 - 1809년 게팅엔 대학에서 교육학 강의
▶ 1802년 헤르바르트 최초의 교육학 저작으로 『직관의 A B C 에 관한 페스탈로찌의 견해』 발표
▶ 1804년 『교육의 주 과업으로서의 세계의 심미적 표상』발표
▶ 1806년 그의 주저라고 할 수 있는 『일반교육학』 발표
▶ 1809년 칸트의 실질적인 후임으로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철학교수가 됨. 이후 25년간 재직
▶ 1833년 괴팅겐으로 돌아옴
▶ 1835년 『교육학 강의 개요』, 1841년 『일반 교육학 개요』발표
▶ 1841년 사망
-그의 저서-
《감각인지의 ABC에 관한 페스탈로치의 견해 Pestalozzis Idee eines ABC der Anschauung》(1802)
《일반교육학 Allgemeine Padagogik》(1806) 《보편적인 교육 Allgemeine Padagogik》(1806)
《형이상학 요목 Hauptpunkte der Metaphysik》(1806)
《교육학강의 강요(綱要) Umriss Padagogischer Vorlesungen》(1835) 등
2. 교육사상 및 내용
1) 교육목적
독일의 철학자이자 교육자인 헤르바르트는 19세기에 새로이 전개된 사실주의를 주도, 근대의 과학적 교육학의 창시자로써 헤르바르트는 교육의 원리를 이론화함에 있어서 목적이 무엇인가부터 생각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을 체계화시켰다. 목적을 규정하는 윤리학과 방법을 규정하는 심리학을 기초로 하여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과학적 교육학을 수립하였다.
헤르바르트의 교육목적은 윤리학에 기초를 두고 도덕적 품성의 도야를 추구하는 도덕적 인간을 양성하고, 궁극적 목적으로 덕성은 인간이 갖추어야 할 최고의 가치라고 주장하였다.
헤르바르트에게 덕은 마음상태로서 내적인 자유를 의미하며, 생각과 행함에 있어서 갈등이 없는, 즉 내적인 자유의 핵심은 본인 의지라고 보았고, 의지란 생각의 결과이기 때문에 덕의 중심인 의지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생각을 교육해야함을 강조하였다.
의지를 결정하는 다섯 가지 생각의 체제를 실천적 도덕 이념 혹은 5도념으로 파악하였다.
① 내적 자유의 이념 ② 완전성의 이념 ③ 호의의 이념 ④ 정의의 이념 ⑤ 공정의 이념
-5도념과 그에 대한 의미-
① 내면적 자유의 이념
(선을 실천에 옮기고 생각한 것에 충실하는 것으로 지식을 의지로 표출하는 것)
이는 도덕성의 근본적 이념으로써 칸트의 실천이성(의지)이 자율적 자유인 것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통찰에 의해 최선이라고 판단되는 것을 내면적 의지에 실천으로 옮기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자신의 통찰과 의지가 일치하는 사람은 내면적으로 자유로운 사람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람들이 모여서 형성한 사회는 생기가 넘치고 생동하는 사회가 된다.
② 완전성의 이념
(의지를 통해서 실천, 행동으로 옮기는 것으로 의지가 충실하게 조화 를 이루어 완전한 상태가 되게 하는 것)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강인한 의지가 나약한 의지보다 더욱 완정한 것으로 보려는 이념으로써, 여기에는 건전한 정신과 신체가 조화를 이룸으로써 완전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완전성의 이념을 통해 우리는 문화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사회의 문화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강인한 정신과 실천의지를 통해 이룩하는 것이다.
③ 호의의 이념
(타인의 행복을 원하는 것)
자신의 과욕을 피하고 호의를 존중함으로써 타인의 행복을 자신의 의지의 대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자신의
  • 가격1,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1.18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