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위로부터 공기를 흡인한다.
-위액을 소량흡입하고 산도를 측정한다.
-복부를 관찰한다.
⑧체위는 머리와 가슴을 약간 상승시킨 우측와위로 한다.
3) 수유방법
①수유전에 흡인해본다.
-전의 수유액이 1/2이상 나오면 수유를 연기한다.
-소량의 우유 잔유량이 검출되면 우유주기전에 양을 결정한다.
②수유의 속도를 천천히한다. 압력을 가하지 않으며 머리에서 15~20cm 떨어진 높이에서 수유한다.
③수유 후에는 도관을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물이 도관의 끝에 닿기전 도관을 막고 빨리 제거한다.
▶ Gastric Aspiration
Gastric Aspiration을 할 때에는 아기를 좌위를 취하게 하고 목을 약간 뒤로 젖힌 상태에서 tube를 비간을 통해 귓쪽 방향으로 조심해서 삽입한다. 10cc syringe로 위 내용물을 흡인해본다. 아무것도 흡인이 안되면 왼쪽으로 눕히고 tube를 조금더 삽입한 후 흡인해 본다(삽입길이 : 코끝→귓볼→검상돌기)
===================10일 (11월 30일, 목요일)====================
▶ 산소요법(Oxygen Therapy)
산소의 지속적인 공급은 모든 신체 세포에 필수적이다. 산소결핍으로 혈장의 산소장력이 저하되어 적혈구 내의 산화 Hb이 저하된다. 산소공급은 저산소혈증, 저산소증을 교정해 준다. 산소치료의 목적은 혈장의 산소 장력을 증대시키고 적혈구 내 산화 Hb를 정상비례로 회복시켜 주는 것이다. 치료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ABGA를 한다.
<보육기 산소요법>
①보육기는 신생아에게 통제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온도, 산소, 습도, 격리의 통제된 환경을 제공한다.
②산소농도를 적당히 조절한다.
-보육기 안의 산소농도가 4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수정체 후 섬유증식증 발달을 예방
-적색기(flag)를 수직으로 놓아서 85%이상의 고농도를 알 수 있게 한다.
:공기흡입을 적당히 조절한다.
③분무요법이 필요하면 보육기의 내측벽에 분무기를 정착한다.
④산소의 손실을 막기 위해 보육기의 문을 꼭 닫는다.
-보육기가 열렸을 때는 산소를 보충해서 제공한다.
⑤적어도 24시간에 한번씩 저장소의 멸균 수를 교환한다.
-Pseudomonas 오염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①아기의 머리에 맞는 플라스틱 용기를 통해 따뜻하고 습기 찬 산소를 공급한다.
-산소는 얼굴에 직접 투여되지 않게 하고 hood의 가장자리가 턱, 목, 어깨를 문지르지 않게 해준다.
②지속적으로 산소농도, 온도, 습도를 감시한다.
-대사성산증, 혈당저하를 막기 위해 산소의 온도는 31~34℃가 적당하다
③가끔 머리덮개를 열어주거나 제거한다.
-아기를 쇠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열과 산소의 파동을 방지한다.
▶ 퇴원 신생아 부모 교육 관찰 (퇴원 책자 뒤에 부착!)
1) 수유
● 모유영양
- 유방관리 방법 및 유방 열상시 간호법
- 모유수유 방법
- 모유금기 사향
● 인공 영양
- 조유법
- 우유수유 방법
- 수유기구소독 및 보관방법
2) 목욕과 제대간호
3) 예방접종
연 령
백신 종류
0~1 주
B 형 간염
0~4 주
BCG
1 개월
B 형 간염
2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B형 간염
4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6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B형 간염
12~15 개월
홍역·볼거리·풍진(MMR), 수두
12~36 개월
일본뇌염 (만 1~2세에 1차 접종, 1년 뒤 2차 접종, )
● 기본 예방 접종
연 령
백신 종류
18 개월
DPT
4~6세
경구용 소아마비, DPT, 홍역·볼거리·풍진(MMR)
6세
일본뇌염
10~12세
성인용 Td (매 10년마다 접종)
12세
일본뇌염
● 추가 예방 접종
(1) 모체가 HbsAg 양성인 경우, 초회 접종으로 12시간 이내에 HBIG와 함께 부위를 달리하여 B형 간염 백신을 투여하며, 반드시 0, 1, 6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 다. 모체의 HbsAg 양성 여부를 모를 때에는 출생 시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하고, 모체의 결과가 양성이면 HBIG를 가능한 빨리(늦어도 7일 이내) 근육 주사하고 B 형 간염 백신은 반드시 0, 1, 6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다. 모체의 결과가 음성 이면 B형 간염 백신은 제품에 따라 0, 1, 6 또는 0, 1, 2개월 방법으로 3회 접 종한다.
(2) 모체가 HbsAg 음성인 경우, 초회 접종을 2개월부터 접종하여도 좋다. 제품에 따 라 0, 1, 6 또는 0, 1, 2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다.
(3) 주사용 폴리오 백신으로 4회 접종한다. 경구용 폴리오 백신도 접종할 수 있다.
(4) 기본 접종에 포함되지 않으나 적극 권장되어야 할 백신으로 제품에 따라 2~3회 의 기초 접종과 1회의 추가 접종이 필요하다.
(5) 홍역 유행 시 6개월부터 홍역 단독 백신(없으면 MMR)을 접종한다.
(6) 연령이 6개월 이상으로서 인플루엔자 유행기에 연령이 6~23개월이 되는 소아에 게는 기본 접종으로 추천하며, 인플루엔자를 예방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연령이 6 개월 이상이면 누구에게나 접종할 수 있다. 8세 이하의 소아가 처음 접종하는 해에는 4주 간격을 두고 2회 접종한다.
(7) 13세 이상에서는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
(8) 사백신과 생백신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접종한다. 사백신의 경우 기초 접종은 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다음 해에 1회 접종하며 추가 접종은 6세, 12세 에 한다. 생백신의 경우 기초 접종은 처음 방문하여 1회만 접종하고 다음 해에 1 회 접종하며 추가 접종은 6세에 한다.
(9) 11~12세부터 매 10년 마다 접종한다.
4) 아기의 수면 습관등의 행동특성
5) 아기방 환경 및 아기용품
6) 병원방문이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
- 창백, 청색증
- 식욕부진, 구토, 설사
- 비정상적인 호흡
- 불안정. 기면
- 발열, 저체온
7) 신생아에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에 대한 대처방법
8) 응급시 필요한 기관, 시생아실 및 주치의사의 전화번호
9) 추후 관리를 위해 병원에 내원할 일시
10) 신생아 선별검사 안내
- 갑상선 기능 저하증
- 페닐케
-위액을 소량흡입하고 산도를 측정한다.
-복부를 관찰한다.
⑧체위는 머리와 가슴을 약간 상승시킨 우측와위로 한다.
3) 수유방법
①수유전에 흡인해본다.
-전의 수유액이 1/2이상 나오면 수유를 연기한다.
-소량의 우유 잔유량이 검출되면 우유주기전에 양을 결정한다.
②수유의 속도를 천천히한다. 압력을 가하지 않으며 머리에서 15~20cm 떨어진 높이에서 수유한다.
③수유 후에는 도관을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물이 도관의 끝에 닿기전 도관을 막고 빨리 제거한다.
▶ Gastric Aspiration
Gastric Aspiration을 할 때에는 아기를 좌위를 취하게 하고 목을 약간 뒤로 젖힌 상태에서 tube를 비간을 통해 귓쪽 방향으로 조심해서 삽입한다. 10cc syringe로 위 내용물을 흡인해본다. 아무것도 흡인이 안되면 왼쪽으로 눕히고 tube를 조금더 삽입한 후 흡인해 본다(삽입길이 : 코끝→귓볼→검상돌기)
===================10일 (11월 30일, 목요일)====================
▶ 산소요법(Oxygen Therapy)
산소의 지속적인 공급은 모든 신체 세포에 필수적이다. 산소결핍으로 혈장의 산소장력이 저하되어 적혈구 내의 산화 Hb이 저하된다. 산소공급은 저산소혈증, 저산소증을 교정해 준다. 산소치료의 목적은 혈장의 산소 장력을 증대시키고 적혈구 내 산화 Hb를 정상비례로 회복시켜 주는 것이다. 치료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ABGA를 한다.
<보육기 산소요법>
①보육기는 신생아에게 통제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온도, 산소, 습도, 격리의 통제된 환경을 제공한다.
②산소농도를 적당히 조절한다.
-보육기 안의 산소농도가 4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수정체 후 섬유증식증 발달을 예방
-적색기(flag)를 수직으로 놓아서 85%이상의 고농도를 알 수 있게 한다.
:공기흡입을 적당히 조절한다.
③분무요법이 필요하면 보육기의 내측벽에 분무기를 정착한다.
④산소의 손실을 막기 위해 보육기의 문을 꼭 닫는다.
-보육기가 열렸을 때는 산소를 보충해서 제공한다.
⑤적어도 24시간에 한번씩 저장소의 멸균 수를 교환한다.
-Pseudomonas 오염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①아기의 머리에 맞는 플라스틱 용기를 통해 따뜻하고 습기 찬 산소를 공급한다.
-산소는 얼굴에 직접 투여되지 않게 하고 hood의 가장자리가 턱, 목, 어깨를 문지르지 않게 해준다.
②지속적으로 산소농도, 온도, 습도를 감시한다.
-대사성산증, 혈당저하를 막기 위해 산소의 온도는 31~34℃가 적당하다
③가끔 머리덮개를 열어주거나 제거한다.
-아기를 쇠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열과 산소의 파동을 방지한다.
▶ 퇴원 신생아 부모 교육 관찰 (퇴원 책자 뒤에 부착!)
1) 수유
● 모유영양
- 유방관리 방법 및 유방 열상시 간호법
- 모유수유 방법
- 모유금기 사향
● 인공 영양
- 조유법
- 우유수유 방법
- 수유기구소독 및 보관방법
2) 목욕과 제대간호
3) 예방접종
연 령
백신 종류
0~1 주
B 형 간염
0~4 주
BCG
1 개월
B 형 간염
2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B형 간염
4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6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B형 간염
12~15 개월
홍역·볼거리·풍진(MMR), 수두
12~36 개월
일본뇌염 (만 1~2세에 1차 접종, 1년 뒤 2차 접종, )
● 기본 예방 접종
연 령
백신 종류
18 개월
DPT
4~6세
경구용 소아마비, DPT, 홍역·볼거리·풍진(MMR)
6세
일본뇌염
10~12세
성인용 Td (매 10년마다 접종)
12세
일본뇌염
● 추가 예방 접종
(1) 모체가 HbsAg 양성인 경우, 초회 접종으로 12시간 이내에 HBIG와 함께 부위를 달리하여 B형 간염 백신을 투여하며, 반드시 0, 1, 6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 다. 모체의 HbsAg 양성 여부를 모를 때에는 출생 시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하고, 모체의 결과가 양성이면 HBIG를 가능한 빨리(늦어도 7일 이내) 근육 주사하고 B 형 간염 백신은 반드시 0, 1, 6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다. 모체의 결과가 음성 이면 B형 간염 백신은 제품에 따라 0, 1, 6 또는 0, 1, 2개월 방법으로 3회 접 종한다.
(2) 모체가 HbsAg 음성인 경우, 초회 접종을 2개월부터 접종하여도 좋다. 제품에 따 라 0, 1, 6 또는 0, 1, 2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다.
(3) 주사용 폴리오 백신으로 4회 접종한다. 경구용 폴리오 백신도 접종할 수 있다.
(4) 기본 접종에 포함되지 않으나 적극 권장되어야 할 백신으로 제품에 따라 2~3회 의 기초 접종과 1회의 추가 접종이 필요하다.
(5) 홍역 유행 시 6개월부터 홍역 단독 백신(없으면 MMR)을 접종한다.
(6) 연령이 6개월 이상으로서 인플루엔자 유행기에 연령이 6~23개월이 되는 소아에 게는 기본 접종으로 추천하며, 인플루엔자를 예방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연령이 6 개월 이상이면 누구에게나 접종할 수 있다. 8세 이하의 소아가 처음 접종하는 해에는 4주 간격을 두고 2회 접종한다.
(7) 13세 이상에서는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
(8) 사백신과 생백신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접종한다. 사백신의 경우 기초 접종은 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다음 해에 1회 접종하며 추가 접종은 6세, 12세 에 한다. 생백신의 경우 기초 접종은 처음 방문하여 1회만 접종하고 다음 해에 1 회 접종하며 추가 접종은 6세에 한다.
(9) 11~12세부터 매 10년 마다 접종한다.
4) 아기의 수면 습관등의 행동특성
5) 아기방 환경 및 아기용품
6) 병원방문이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
- 창백, 청색증
- 식욕부진, 구토, 설사
- 비정상적인 호흡
- 불안정. 기면
- 발열, 저체온
7) 신생아에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에 대한 대처방법
8) 응급시 필요한 기관, 시생아실 및 주치의사의 전화번호
9) 추후 관리를 위해 병원에 내원할 일시
10) 신생아 선별검사 안내
- 갑상선 기능 저하증
- 페닐케
키워드
추천자료
중환자실 실습 1일 보고서
모성간호
특수검사와 검사전후 간호
의학적 간병 & 간호 기술 이해
Tracheostomy와 Endotracheal Tube의 차이점
[물][연수화][pH][세기][물분자][정전기발전][에탄올][증류][실험]물의 특성, 물의 연수화와 ...
Tracheostomy
분만단계 정의와 간호
골수검사 (bone marrow examination)
[간호관리 직무분석] 수술실(OR(operating room))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평간호사...
[간호관리학] 수술실(OR(operating room))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평간호사) (직무...
[간호관리 직무분석] 심장외과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
[간호관리 직무분석] 외과 병동(OS 병동)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 (직무기술서+직무...
Acute Pharyngitis 급성 인두염 케이스 스터디 A+ 간호과정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