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아동간호학의 문헌고찰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아동간호학의 문헌고찰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니라 목욕이나 기타 시술시 불 필요한 열 손싱을 방지해 주기 위함이다
아기는 울때나 수유시 많은 에너지가 소요된다. 이런 아기들은 너무 아파서 정사아 아기가 우는 만큼 울수가 없다,. 그러나 울지 dskg더라도 안락하게 해주어야 한다
안아주기와 흔들어주지가 안락감을 주지만 이런 아기들은 부모의 품안과 요람 중 어느 것이 더 편안한지에 따라 안아주는 시간이 달라진다.
모유수유의 경우에는 짧게자주 수유하는 것이 에너지 소모를 적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인공 수유시는 부드러운 젖꼭지를 사용하면 흡입노력이 덜 든다.
심한 패혈증 아기는 금식을 하면서 정맥영양을 주거나 위장관 영양을 시킬 수 있다
산소를 공급 받는 아기는 산소 측정기의 사용이 도움이 된다. 산소포화는 호흡 곤란시 감소되기 때문에 이런 측정은 에너지 소모의 간접 측정이 된다.
Jaundice (황달)
신생아 황달은 생후 첫 주 내에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된다.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지만 대부분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심한 간접 황달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주며, 직접 포합 황달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생후 첫 주 내에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된다.
피부의 황달을 관찰할 때는 옷을 다 벗기고 충분히 밝은 청백 형광등 아래서 보는 것이 좋다. 신생아는 원래 hemoglobin 치가 높기 때문에 bilirubin치가 어느 정도 높지 않으면 황달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지내는 수가 많다.
황달의 유무를 관찰할 때는 엄지손가락으로 아기의 피부를 압박하였다가 손을 떼면 피부의 색깔이 창백해지는데 그때 관찰하는 것이 좋다.
황달이 신체의 어느 부위까지와 있는 가를 관찰하는 것은 혈청 bilirubin의 농도와 어느 정도 관계가 있으므로 Jaundice의 정도를 추측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황달은 주로 간접 bilirubin이 상승하는 경우와 직접 bilirubin이 상승하는 경우 또는 양자가 혼재하는 경우가 있다.
· 원 인
태아기 빌리루빈 대사는 태반을 통해 지용성 간접 빌리루빈이 배설되나, 성인기에는 간에서 포합된 직접 빌리루빈이 담도계를 통해 위장관으로 배출된다. 신생아기는 태아 기에서 성인기로 가는 과도기에 있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과빌리루빈 혈증이 발생한다.
· 간접 과 빌리루빈 혈증의 원인
① 간에서 대사될 빌리루빈의 양을 증가시키는 경우
- 용혈성 빈혈, 미숙 또는 수혈에 의한 적혈구 수명의 단축, 장간 순환의 증가, 감염, 두혈종, 다혈증
② transferase 효소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요인
- 저산소증, 감염, 저체온증, 갑상선 기능 저하
③ transferase 효소의 결핍이나 간세포로의 빌리루빈 uptake의 감소를 일으키는 요인
- 유전적 결함, 미숙아
· 증 상
- 원인에 따라 출생시부터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으며, 얼굴에서 시작하여 혈청 내 빌리 루빈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복부 ,발까지 진행된다. 황달의 정도는 혈중 빌리루빈의 수 치가 가장 정확하다. 혈청 빌리루빈 검사의 적응증은 복부 중앙부까지 황달이 진행되어 있고, 비생리적 황달임을 시사하는 증상, 진생성 황달, 용혈이나 패혈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이다. 간접 빌리루빈의 침착으로 인한 황달은 밝은 황색이나 오렌지색이지만 직접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폐쇄성 황달은 녹색이 동반되거나 진흙 같은 황색을 띤다. 환아는 기면 상태에 빠지거나 잘 먹지 않을 수 있으나 핵황달의 증세가 황달 발생 첫 날에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 출현 시기
1)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날 수 있는 황달
- erythromblastosis, ABO 부적합, Rh 부적합, 패혈증 등이 원인이다.
2) 생후 2~3일에 나타나는 황달
- 대체로 생리적 황달이다.
3) 생후 3일 이후~1주일 이내에 나타나는 황달
- 패혈증, 감염, 내출혈등이 원인이다.
4) 생후 1주일 이후에 나타나는 황달
- 패혈증, 담도폐쇄, 간염, galactosemia, 약물에 의한 용혈성 빈혈 등이 원인이며 모 유 황달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5) 생후 1개월 이상 지속되는 황달
- 간염, 선천 매독, 담도 폐쇄 등이 원인이다.
· 분 류
1) 생리적 황달
① 생후 2~3일째 나타나서 빌리루빈치가 3mg/일 미만의 속도로 상승하여 2일에서 4 일 사이에 5~6mg/dL로 최고치에 달하고 5일~7일 사이에 2mg/dL이하로 감소한다.
② 원인
- 생존일이 성인 적혈구보다 짧은 태아 적혈구 때문에 생기는 빌리루빈 생성의 증 가와 간에서의 빌리루빈 포합의 일과성 제한 등이다.
③ 간접빌리루빈이 증가하는 위험 요소
- 산모의 당뇨, 인종(백인의 정상치가 동양인의 정상치에 비해 현저히 낮다.), 미숙 아, 약물, 고도, 적혈구 증가증, 남성, 다운 증후군, 피부의 멍, 두개 혈종, 옥시 토신 유도 분만, 모유 수유, 체중감소(탈수, 칼로리 부족), 배변 지연 등
④ 혈청빌리루빈
- 미숙아에서 혈청 빌리루빈의 증가는 만삭아와 비슷할 수도 있으나 약간 늦게 나타나 오래 지속되어 생후 5일~7일 사이에 최고치인 8~12mg/dL에 이르며 10일 이후에는 거의 황달을 관찰할 수 없다.
⑤ 미숙아가 빌리루빈 대사 및 배석 기전이 성숙해지는 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황달의 지속 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
2) 모유 황달
- 모유 수유 중인 만삭아 200명당 1명 정도에서 생후 4일~7일찌부터
불포합 빌리루빈이 상승하여, 2~3주째 최고치(10~30mg/dL)에 달하게 된다.
- 모유를 계속해서 수유할 경우 서서히 빌리루빈치는 감소하며 3~10 동안 낮은 농도에서 지속된다.
- 1~2 일간 수유를 중단하고 분유를 대신 먹이면 혈청 빌리루빈이 급격히 감소하며 그 후 다시 모유 수유를 재개하더라도 고빌리루빈 혈증은 재발하지 않는다.
- 조기 모유 황달 : 모유 수유가 불충분하여 동반된 탈수나 칼로리 섭취의 감소 때문에 발생하며 모유 수유아에게 물이나 포도당액을 보충하면 오히려 모유 섭취를 더욱 감소 시켜 빌리루빈치를 높이게 된다.
3) 병적 황달
- 황달이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난다.
- 헐
  • 가격4,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