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비의적인 종류의 언어로 간주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인상을 피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말씀은 불트만에 따르면 그 역사적인 근거를 상실하고 오로지 우리의 주관적인 생활에서나 일어나는 사건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불트만의 해석학적 가치는 그의 신학 저술이 현대 신학 운동들 가운데 차지하는 위치에 비추어 평가되어야 한다. 불트만의 해석학흔 현재의 상황에 알맞는 언어와 사상으로 기독교 복음을 표현하려는 장점을 지닌다. 만일 기독교의 복음이 각 시대를 위한 영원한 진리이기 때문에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창조적 능력을 언제나 지니고 있다면 그것은 우리 자신의 상황에도 말할 수 있게끔 되어야 한다. 그래서 불트만은 성경의 교훈을 그의 시대의 언어와 사상에 조화시키려고 하였다.
불트만의 언어관은 그 시대의 철학적 전제들과 불가피하게 연결된 그의 존재론적 이원론에 압도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 전제들에 무비판적으로 굴복함으로써 그는 기독교 교훈을 현대 사회에 적응시키려고 하였지만 단지 기독교의 진리를 크게 훼손시켰을 뿐이다. 비록 불트만이 현대 비평신학의 파괴적인 결과들로부터 기독교 케류그마를 구출해 내려는 복음적인 목적을 지녔다 하더라도, 그가 그의 시대의 한계들에 굴복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불트만이 신학 언어로서 케류그마의 영단번적인 성격에 실재로 공평을 기하였는지 전혀 분명하지않다. 이 점에서 그가 만족할 만한 답변을 하였다고 볼 수가 없다. 물론 그가 케류그마에 모종의 ‘우리 외적인 요소’를 보존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는 그것이 근본적으로 개인주의적인 전망에서만 이해되어야 한다고 지적할 수밖에 없다.
그는 케류그마적 실존 언어에 집착하기 때문에 성경에서 발견되는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에 전혀 무관심한 것은 아닐지라도 소홀하게 되었고 따라서 그의 해석학을 비신화화라는 급진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게 되었다. 불트만이 배타적일 정도로 강조한 실존 언어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을 지닌 객관화 언어는 아니다. 그것은 단지 인간 자신의 자기 이해를 전해 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그가 해석학과 신학 언어 분야에 있어서 의미있는 공헌을 한 것은 의심할 수 없다. 그러므로 불트만이 찾으려고 한 언어는 사람을 실존적으로 움직이고 살게 하며, 믿음을 불러 일으키고, 그것이 말하여지고 들려질 때 우리 자신을 새롭게 이해하게 만드는 어떤 것이다. 그것은 인간이 만든 안전책 가운데서 안주하려고 하는 현대인이 하나님의 심판과 은총을 직면하게 되는 살아있는 언어이다. 비록 불트만에게 있어서 그것은 잘못된 철학적 전제들을 통해 회석되기는 했지만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를 부각시키려고 한 점에서는 그의 공헌을 인정해야만 한다.
기독교 신앙은 역사에 터를 두고 있다. 성경적인 기독교는 “필연적인 이성적 진리들”을 만드는 데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다. 최소한 기독교는 일차적인 관심을 거기에 두지는 않는다. 기독교인도 분명 철학을 숙고하긴 하지만, 이성에 의해 찾아낸 진리들을 그의 보편적 기독교 세계관과 연결시켜 검토해 본다. 성경적 기독교는 근본적으로 역사적 사실들을 해석하고 하나님의 계시와 교통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 역사는 신앙과 무관하지 않다.오히려 역사적 진술은 신앙의 본질의 일부를 형성한다. 성경에서 말하는 신앙이란 것은 역사에 기초한다. 믿음은 역사적 사실과는 무관할 수 없다.
신앙 안에서 하나님의 사역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사건들은 반드시 실재적이며 역사적 사건이어야 한다는 것이며 그렇지 못할 경우 그 사건들은 전혀 해석될 수조차 없다는 것이다. 사실들은 물론 역사적으로 검증될 수도 있다. 그러나 결국 궁극적인 결정은 신앙의 문제이다.
불트만의 해석학적 가치는 그의 신학 저술이 현대 신학 운동들 가운데 차지하는 위치에 비추어 평가되어야 한다. 불트만의 해석학흔 현재의 상황에 알맞는 언어와 사상으로 기독교 복음을 표현하려는 장점을 지닌다. 만일 기독교의 복음이 각 시대를 위한 영원한 진리이기 때문에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창조적 능력을 언제나 지니고 있다면 그것은 우리 자신의 상황에도 말할 수 있게끔 되어야 한다. 그래서 불트만은 성경의 교훈을 그의 시대의 언어와 사상에 조화시키려고 하였다.
불트만의 언어관은 그 시대의 철학적 전제들과 불가피하게 연결된 그의 존재론적 이원론에 압도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 전제들에 무비판적으로 굴복함으로써 그는 기독교 교훈을 현대 사회에 적응시키려고 하였지만 단지 기독교의 진리를 크게 훼손시켰을 뿐이다. 비록 불트만이 현대 비평신학의 파괴적인 결과들로부터 기독교 케류그마를 구출해 내려는 복음적인 목적을 지녔다 하더라도, 그가 그의 시대의 한계들에 굴복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불트만이 신학 언어로서 케류그마의 영단번적인 성격에 실재로 공평을 기하였는지 전혀 분명하지않다. 이 점에서 그가 만족할 만한 답변을 하였다고 볼 수가 없다. 물론 그가 케류그마에 모종의 ‘우리 외적인 요소’를 보존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는 그것이 근본적으로 개인주의적인 전망에서만 이해되어야 한다고 지적할 수밖에 없다.
그는 케류그마적 실존 언어에 집착하기 때문에 성경에서 발견되는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에 전혀 무관심한 것은 아닐지라도 소홀하게 되었고 따라서 그의 해석학을 비신화화라는 급진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게 되었다. 불트만이 배타적일 정도로 강조한 실존 언어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을 지닌 객관화 언어는 아니다. 그것은 단지 인간 자신의 자기 이해를 전해 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그가 해석학과 신학 언어 분야에 있어서 의미있는 공헌을 한 것은 의심할 수 없다. 그러므로 불트만이 찾으려고 한 언어는 사람을 실존적으로 움직이고 살게 하며, 믿음을 불러 일으키고, 그것이 말하여지고 들려질 때 우리 자신을 새롭게 이해하게 만드는 어떤 것이다. 그것은 인간이 만든 안전책 가운데서 안주하려고 하는 현대인이 하나님의 심판과 은총을 직면하게 되는 살아있는 언어이다. 비록 불트만에게 있어서 그것은 잘못된 철학적 전제들을 통해 회석되기는 했지만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를 부각시키려고 한 점에서는 그의 공헌을 인정해야만 한다.
기독교 신앙은 역사에 터를 두고 있다. 성경적인 기독교는 “필연적인 이성적 진리들”을 만드는 데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다. 최소한 기독교는 일차적인 관심을 거기에 두지는 않는다. 기독교인도 분명 철학을 숙고하긴 하지만, 이성에 의해 찾아낸 진리들을 그의 보편적 기독교 세계관과 연결시켜 검토해 본다. 성경적 기독교는 근본적으로 역사적 사실들을 해석하고 하나님의 계시와 교통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 역사는 신앙과 무관하지 않다.오히려 역사적 진술은 신앙의 본질의 일부를 형성한다. 성경에서 말하는 신앙이란 것은 역사에 기초한다. 믿음은 역사적 사실과는 무관할 수 없다.
신앙 안에서 하나님의 사역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사건들은 반드시 실재적이며 역사적 사건이어야 한다는 것이며 그렇지 못할 경우 그 사건들은 전혀 해석될 수조차 없다는 것이다. 사실들은 물론 역사적으로 검증될 수도 있다. 그러나 결국 궁극적인 결정은 신앙의 문제이다.
추천자료
- 이상화 '나의 침실로'의 諸(제) 批評(비평)
- [역사][역사진행][역사학][역사 어원][진보][역사 양면성][역사 보편성][역사 특수성]역사의 ...
- [중국][중국문화][중국의 문화][중국의 역사][중국의 역사 연표][분기별 중국의 역사][중국 ...
- [역사란무엇인가, 역사란 무엇인가] E.H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교육]초등학교 역사교육의 성격,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이론적 기초, 초등학교 역사교육...
-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개념과 특성,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기본방향,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교재...
- 일본 역사교과서왜곡의 이유, 일본 역사교과서왜곡과 교과서점검제도, 일본 역사교과서왜곡의...
- [역사왜곡]일본 후소샤 역사교과서 역사왜곡의 배경, 일본 후소샤 역사교과서 역사왜곡의 인...
- 일본 역사교과서왜곡의 원인, 일본 역사교과서왜곡과 새역사교과서를 만드는모임, 일본 역사...
- 미술감상교육(미술감상학습)의 흐름과 중요성, 미술감상교육(미술감상학습)의 동향과 지도내...
- [역사소설][소설가 황석영][소설가 박경리][소설가 박미정][소설가 이광수][황석영][박경리][...
- [역사의식][불교적 역사의식][고려시대 역사의식][연표학습][춘원 이광수][불교][고려시대]역...
- ‘1910’ 년대 문학 (1910년대 문학, 근대문학의 출발점, 1910년대 문학의 양상, 시의 양상, 소...
- 역사에서의 우연과 필연 - 역사결정론은 정당화 될 수 있는 이론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