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끼워 보관해야 한다.
2)EKG Monitor
표준 12유도)) 사지유도와 흉부유도
① 사지유도
- 양극유도 : lead Ⅰ : 왼손과 오른손 사위의 전위차
lead Ⅱ : 오른손과 왼발의 전위차
lead Ⅲ : 왼발과 왼손의 전위차
- 단극유도 : aVR : 오른쪽 팔
aVL : 왼쪽 팔
aVF : 왼쪽 발
② 흉부유도 : V!- 제 4늑간 흉골 우연
V2- 제 4늑간 흉골 좌연
V3- V2와 V4 사이의 중간지점
V4- 제 5늑간과 좌측 쇄골 중앙선
V5- 제 5늑간 전방 액와선
V6- 제 5늑간 중앙 액와선
기본파형))
- P wave : 심장 탈분극 0.06~0.12초, 2.5mm이하(높이)
- PR interval : 심장 탈분극에서 심실 탈분극 직전까지 0.12~0.2초
- QRS complex : 심실 탈분극. 0.06~0.12초. 사지 5mm, 흉부 5~10mm이하(높이)
- Q wave : 작고 좁은 q파가 Ⅰ, aVL, aVF, V5, V6에서 나타날 수 있다.
- ST segment : 심실 근육이 수축이 끝내고 휴식을 취하는 초기
- T wave : 심실 재분극. 0.10~0.25초
정상 심전도 ))
- P파 다음에 항상 QRS가 오며 QRS 파 뒤에 T파가 온다.
- P-P 간격은 규칙적이며 같은 유도에서 P파의 모양은 동일하다.
- R-R 간격이 규칙적이며 횟수는 60~100회/분이다.
- QRS파 모양은 동일하며 0.06~ 0.12초 사이이다.
3)Defibrilator
* 사용목적 :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예:심실세동)을 제거하기 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전기 충격을 주는 순간에 심근 전체가 탈분극 되도록 하고 심장 작용을 정상으로 회복해 준다.
* 사용방법
ㆍ전원 스위치를 돌려 Monitor On에 맞춘다.
(필요시 환자에게 EKG electrode를 부착하고 cable을 연결하여 EKG monitoring한다)
ㆍ에너지 충전 paddle을 장비에서 분리한다.
ㆍ한 쪽 Paddle에 젤리(약 5cc)를 바른 후 다른 한 쪽 paddle로 비벼 묻히도록 한다.
ㆍ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양을 결정한다.(성인 : 보통 200~300J, 소아 : 2J/Kg).
ㆍ선택 스위치를 돌려 원하는 에너지량을 맞춘 후 오른쪽 paddle에 부착된 노란색 스위치
(충전버튼)를 눌러 에너지를 충전한다.(기계 앞 판넬의 노란색charge 버튼을 눌러도된다)
ㆍDefibrillator의 화면에 에너지값이 표시되며, 충전이 끝나면 \"삐\"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
ㆍ환자의 가슴에 defibrillator의 paddle을 댄다. (한쪽 paddle은 우측 상부 흉골에, 다른 쪽
paddle은 중심액와선에서 유두 바로 왼쪽에 있는 심첨부에 놓는다.)
ㆍPaddle을 잡은 두 손에 힘을 주어 paddle의 밀착도를 좋게 한다.
(Green색 : 양호한 접촉도)
ㆍ환자에게 방전시에는 양paddle에 있는 방전용 스위치를 동시에 눌러야 한다.
ㆍ전기적 shock을 시행 후 맥박이 있는지를 사정하고 부정맥이 전환되었는지 관찰한다.
* Sync(Synchronized)의 의미
: EKG rhythm 중 심장의 회복기인 T-wave 시기를 피하여 안전기인 QRS wave 직후 전 기적인 쇽이 가해지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즉, cardioversion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선 택적인 시술로서 전기적 충격을 이용해서 부정맥을 정상 rhythm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처럼 R-wave를 감지할 수 없는 부정맥이 있을 때 는 사용할 수 없고, 주로 발작성 빈맥, 심방 조동, 심방 세동, 심방 빈맥, 심실빈맥 등이 있을 때 적용된다.
ㆍ방전 전에 Defibrillator가 EKG를 잘 읽을 수 있도록 wave의 크기를 조정한다.
ㆍ일단 방전이 끝나면 SYNC 모드는 자연 해제된다.
* 주의사항
ㆍ환자의 가슴에 습기(땀)나 오물을 없도록 한다.
ㆍ방전하기 전에 반드시 환자의 침대에서 사람들이 떨어져 있게 한다.
ㆍ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제자리에 두고 항상 전원을 꽂아 충전해 두도록 한다.
(완전 충전시 약 50회 정도의 방전 능력을 가진다.)
ㆍDefibrillator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E-BOX도 옆에 준비해 두어야 한다.
ㆍDefibrillator의 recording 용지가 항상 끼워져 있는지 확인하고 여분의 용지와 젤리를 준
비해 둔다.
* 장비관리
ㆍ사용한 후에는 paddle에 묻어 있는 젤리를 반드시 제거한 후에 보관한다.
ㆍ기계 표면은 물에 적신 거즈나 다른 부드러운 천 등으로 닦는다.
ㆍ주 1회 에너지의 정확도를 확인한다.
(paddle pocket에 paddle을 꽂은 상태에서 에너지를 100J에 맞춘 후 방전할 때 에너지 양이 100±2가 넘지 않아야 한다.)
ㆍ양 paddle을 맞댄 상태에서 Shock 버튼을 누르면 장비가 손상을 받을 수 있다.
4)NIBP
Non-Invasive Blood Pressure - 비 침습적 혈압. 이것은 몸 속으로의 어떤 물리적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혈압을 말한다.
5) SpO²
정상 )) 95% 이상
- 동맥 내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비 침습적 방법.
80% 이하일 경우 AMBU시행해야한다.
6)Infusion pump
Infusion pump/Volume type
*사용목적 : 주입할 정확한 양의 수액을 정확한 시간동안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총 주입해야 할 양을 정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한다.
* 사용방법
ㆍIV pole에 pump의 clamp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속시킨다.
ㆍ전원을 연결한다.
ㆍPump의 문을 열고 기계 뒤에 있는 POWER 스위치를 켠다.
- POWER 스위치를 켜면 우선 LINE POWER indicator에 불이 켜지게 되고 다른
indicator에도 차례로 불이 들어오고, \"삑\" 소리가 나게 된다.
- AIR-IN-LINE, OCCLUSION, 그리고 DOOR OPEN의 순서대로 alarm이 울린다.
ㆍInfusion pump용 수액
2)EKG Monitor
표준 12유도)) 사지유도와 흉부유도
① 사지유도
- 양극유도 : lead Ⅰ : 왼손과 오른손 사위의 전위차
lead Ⅱ : 오른손과 왼발의 전위차
lead Ⅲ : 왼발과 왼손의 전위차
- 단극유도 : aVR : 오른쪽 팔
aVL : 왼쪽 팔
aVF : 왼쪽 발
② 흉부유도 : V!- 제 4늑간 흉골 우연
V2- 제 4늑간 흉골 좌연
V3- V2와 V4 사이의 중간지점
V4- 제 5늑간과 좌측 쇄골 중앙선
V5- 제 5늑간 전방 액와선
V6- 제 5늑간 중앙 액와선
기본파형))
- P wave : 심장 탈분극 0.06~0.12초, 2.5mm이하(높이)
- PR interval : 심장 탈분극에서 심실 탈분극 직전까지 0.12~0.2초
- QRS complex : 심실 탈분극. 0.06~0.12초. 사지 5mm, 흉부 5~10mm이하(높이)
- Q wave : 작고 좁은 q파가 Ⅰ, aVL, aVF, V5, V6에서 나타날 수 있다.
- ST segment : 심실 근육이 수축이 끝내고 휴식을 취하는 초기
- T wave : 심실 재분극. 0.10~0.25초
정상 심전도 ))
- P파 다음에 항상 QRS가 오며 QRS 파 뒤에 T파가 온다.
- P-P 간격은 규칙적이며 같은 유도에서 P파의 모양은 동일하다.
- R-R 간격이 규칙적이며 횟수는 60~100회/분이다.
- QRS파 모양은 동일하며 0.06~ 0.12초 사이이다.
3)Defibrilator
* 사용목적 :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예:심실세동)을 제거하기 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전기 충격을 주는 순간에 심근 전체가 탈분극 되도록 하고 심장 작용을 정상으로 회복해 준다.
* 사용방법
ㆍ전원 스위치를 돌려 Monitor On에 맞춘다.
(필요시 환자에게 EKG electrode를 부착하고 cable을 연결하여 EKG monitoring한다)
ㆍ에너지 충전 paddle을 장비에서 분리한다.
ㆍ한 쪽 Paddle에 젤리(약 5cc)를 바른 후 다른 한 쪽 paddle로 비벼 묻히도록 한다.
ㆍ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양을 결정한다.(성인 : 보통 200~300J, 소아 : 2J/Kg).
ㆍ선택 스위치를 돌려 원하는 에너지량을 맞춘 후 오른쪽 paddle에 부착된 노란색 스위치
(충전버튼)를 눌러 에너지를 충전한다.(기계 앞 판넬의 노란색charge 버튼을 눌러도된다)
ㆍDefibrillator의 화면에 에너지값이 표시되며, 충전이 끝나면 \"삐\"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
ㆍ환자의 가슴에 defibrillator의 paddle을 댄다. (한쪽 paddle은 우측 상부 흉골에, 다른 쪽
paddle은 중심액와선에서 유두 바로 왼쪽에 있는 심첨부에 놓는다.)
ㆍPaddle을 잡은 두 손에 힘을 주어 paddle의 밀착도를 좋게 한다.
(Green색 : 양호한 접촉도)
ㆍ환자에게 방전시에는 양paddle에 있는 방전용 스위치를 동시에 눌러야 한다.
ㆍ전기적 shock을 시행 후 맥박이 있는지를 사정하고 부정맥이 전환되었는지 관찰한다.
* Sync(Synchronized)의 의미
: EKG rhythm 중 심장의 회복기인 T-wave 시기를 피하여 안전기인 QRS wave 직후 전 기적인 쇽이 가해지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즉, cardioversion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선 택적인 시술로서 전기적 충격을 이용해서 부정맥을 정상 rhythm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처럼 R-wave를 감지할 수 없는 부정맥이 있을 때 는 사용할 수 없고, 주로 발작성 빈맥, 심방 조동, 심방 세동, 심방 빈맥, 심실빈맥 등이 있을 때 적용된다.
ㆍ방전 전에 Defibrillator가 EKG를 잘 읽을 수 있도록 wave의 크기를 조정한다.
ㆍ일단 방전이 끝나면 SYNC 모드는 자연 해제된다.
* 주의사항
ㆍ환자의 가슴에 습기(땀)나 오물을 없도록 한다.
ㆍ방전하기 전에 반드시 환자의 침대에서 사람들이 떨어져 있게 한다.
ㆍ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제자리에 두고 항상 전원을 꽂아 충전해 두도록 한다.
(완전 충전시 약 50회 정도의 방전 능력을 가진다.)
ㆍDefibrillator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E-BOX도 옆에 준비해 두어야 한다.
ㆍDefibrillator의 recording 용지가 항상 끼워져 있는지 확인하고 여분의 용지와 젤리를 준
비해 둔다.
* 장비관리
ㆍ사용한 후에는 paddle에 묻어 있는 젤리를 반드시 제거한 후에 보관한다.
ㆍ기계 표면은 물에 적신 거즈나 다른 부드러운 천 등으로 닦는다.
ㆍ주 1회 에너지의 정확도를 확인한다.
(paddle pocket에 paddle을 꽂은 상태에서 에너지를 100J에 맞춘 후 방전할 때 에너지 양이 100±2가 넘지 않아야 한다.)
ㆍ양 paddle을 맞댄 상태에서 Shock 버튼을 누르면 장비가 손상을 받을 수 있다.
4)NIBP
Non-Invasive Blood Pressure - 비 침습적 혈압. 이것은 몸 속으로의 어떤 물리적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혈압을 말한다.
5) SpO²
정상 )) 95% 이상
- 동맥 내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비 침습적 방법.
80% 이하일 경우 AMBU시행해야한다.
6)Infusion pump
Infusion pump/Volume type
*사용목적 : 주입할 정확한 양의 수액을 정확한 시간동안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총 주입해야 할 양을 정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한다.
* 사용방법
ㆍIV pole에 pump의 clamp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속시킨다.
ㆍ전원을 연결한다.
ㆍPump의 문을 열고 기계 뒤에 있는 POWER 스위치를 켠다.
- POWER 스위치를 켜면 우선 LINE POWER indicator에 불이 켜지게 되고 다른
indicator에도 차례로 불이 들어오고, \"삑\" 소리가 나게 된다.
- AIR-IN-LINE, OCCLUSION, 그리고 DOOR OPEN의 순서대로 alarm이 울린다.
ㆍInfusion pump용 수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