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질병과 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의 질병과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 1

2. 고려인들을 많이 괴롭혔던 질환 및 치유법, 그리고 민간요법.‥‥‥1

3.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질병을 치료 하였는가? ‥‥‥‥‥‥‥‥‥ 3

4. 문집에 나타난 질병 ‥‥‥‥‥‥‥‥‥‥‥‥‥‥‥‥ 3

5. 가장 오래된 의서(醫書), 『향약구급방(鄕藥救急‥‥‥‥‥‥ 4

6. 맺음말‥‥‥‥‥‥‥‥‥‥‥‥‥‥‥‥‥‥‥‥‥‥‥5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환에 대한 예방 내지 치료하는 방법으로도 소금과 쥐엄나무, 버드나무 등등을 이용한 양치법 등이 널리 이용되었다.
고려 시대 문인들에게 시작(詩作)은 일상이었기 때문에, 이들이 남긴 문집 속에는 이들의 질병과 관련된 시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들이 남긴 문집에는 그들의 아픔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하고 간접적으로 그들의 치료법을 알 수 있었다.
『향약구급방』에는 총 50여 개의 병명이 나온다. 이 책에는 중독증과 급성질병, 절창(癤瘡)·옹저(癰疽)·장옹(腸癰)·동창(凍瘡)·악창(惡瘡) 등의 외과적 질병, 임질 및 대소변불통 등의 비뇨생식기 질병, 이비인후과 및 안과 질병, 부인병과 소아과 질병, 학질, 중풍, 정신병 등에 대해 그 증상과 치료법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당시 고려 사람들이 그만큼 다양한 질병으로 고생했다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또한, 불교 국가였던 고려 사회에서는 살생을 해야만 이용할 수 있는 약재는 가능한 한 회피했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향약재 위주의 치료법이 담겨있었다.
이와 같이 고려인들의 질환과 치료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고려 시대 생활사를 좀 더 알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미 외, 『고려 시대의 일상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신영일, 「향약구급방에 대한 연구」, 1994
이현숙·권복규, 「고려 시대 전염병과 질병관」,2007
한국역사연구회,『개경의 생활사』,휴머니스트
한국역사연구회,『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한국역사연구회
박경안, 「고려인들의 다양한 금기와 질병을 대하는 태도」,2006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9.24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