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부 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부 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사정
Ⅱ. 건강사정
1. 건강력
2. 신체검진
3. 임상진단 검사
Ⅲ. 일반적 간호
1. 간호문제
2. 간호중재
Ⅳ. 폐쇄성 폐질환 환자 간호
Ⅴ. 억제성 폐질환
1. 폐렴 (pneumonia)
2. 사르코이드증 (= 유육종증 sarcoidosis)
3. 무기폐 (atelectasis)
4. 폐진균중 (pulmonary mycosis)
5. 폐 디스토마 (폐흡충증)
6. 직업성 폐질환 환자 간호
7. 폐농양 (lung abscess)
8. 폐수종 (pulmonary edema)
9.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10 폐암
Ⅵ. 급성 호흡 부전 환자 간호
1. 급성 호흡부전 환자 간호
2. 성인 호흡장애 증후군 환자 간호 (ARDS)
3. 기계적 인공호흡 환자 간호 (machine ventilation)
Ⅶ. 흉막과 흉막강 질환 간호
1. 건성 흉막염 (pleurisy)
2. 흉막삼출증 (삼출성 흉막염 pleural effusion)
3. 농흉 (empyema)
Ⅷ 폐혈관 질환 환자 간호
Ⅸ. 흉곽 외상과 간호
1. 개요
2. 혈흉 (hemothorax)
3. 기흉 (pneumothorax)
4. 늑골 골절
5. 연가양흉곽
6. 피하기종
7. 심장 압전
Ⅹ. 흉곽 수술 환자 간호
1. 수술 종류
2. 수술준비
3. 수술 후 간호

본문내용

orced expiratory volume, FEV)
- 1초, 2초, 3초 간격으로 측정하므로 초당 강제 호기량(FEVt)라고도 함.
- 강제 폐활량에 대한 1초 강제 호기량(FEV1)의 비율이 80% 이상이면 정상수준 = 임상에서 가장 중요한 수치
★ - FEV1(1초 강제 호기량)은 폐쇄성 폐질환시 중요 수치(폐쇄성 폐질환 시 감소함)
10) 운동 부하 검사
- 호흡곤란을 느끼기 전까지 얼마나 운동을 할 수 있는지 그 운동 양을 측정
- 심장 재활 전에도 검사하고 나서 훈련시킴.
Ⅲ. 일반적 간호
1. 간호문제
1) 호흡곤란
- 안정호흡 : 분당 12-20회
- 빈 호흡 : 20회 이상
- Biot호흡 : 빠르고 깊은 호흡하다가 갑자기 무호흡, 다시 빠른 호흡 : 뇌병변 시
- Cheyne- stokes 호흡 : 무호흡과 정상호흡 이 교대로 나타남 : 사망 직전
- Kussmaul 호흡 : 발작적인 호흡곤란, 빠르고 깊은 호흡 : 당뇨병성 혼수
- 기좌 호흡(Orthopnea) : 누운자세에서 호흡곤란 → 앉으면 호흡곤란이 완화 : 심부전 시 자주 볼 수 있음.
2) 과다환기
- 분당 환기가 증가된 상태
- PCO2감소, PO2증가, pH증가(7.45이상) : 호흡성 알칼리증
3) 과소환기
- 분당 환기가 감소한 상태
- PCO2증가, PO2감소, pH감소(7.35이하) : 호흡성 산증
4) 흉통
- 폐 질환으로 인한 흉벽, 벽측 흉막, 기관지의 통증
5) 기관지 경련
6) 비정상적 분비물
- 객담 : 백혈구, 상피세포, 먼지, 세균, 비인두 분비물로 구성
- 천식 : 점액성
- ★ 기관지 확장증 : 많은 양, 3층으로 나뉘어 나타남
- 폐수종 : 거품, 다량, 분홍색
- 폐암 / 결핵 : 혈액이 섞임
7) 객혈
- 혈액이 섞인 객담 또는 혈액을 배출하는 상태
- 객혈량이 많으면 기도가 폐쇄됨.
- 객혈과 토혈의 차이점
객 혈
토 혈
혈액을 토하는 것이 아니고 기침할 때 나옴
혈액을 토함
혈액이 알카리성
혈액이 산성
객담 동반
객담이 없다
혈액에 고름, 병균, 대식세포 등이 섞여 있음.
음식물과 동반
8) 과탄산증
-pH 7.35 이하 일 경우 호흡성 산증이 초래(CO2정체)
- 과탄산증으로 호흡중추가 억제 되면 말초화학 감수체가 낮은 산소분압에 자극을 받아 호흡을 유지하게 되는데, 만성적으로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아져 있는 COPD환자에게 고농도 산소를 줄 경우 말초화학 감수체 자극에 의한 호흡기전도 억제되게 됨.
9) 청색증
- 보통 증상 발현후 나타나는 증상이며 청색증이 나타나기 전에 동맥혈 산소분압의 감소가 먼저 나타남
10) 적혈구 증가증, 폐성 골관절 부전증
11) 기침
- 기관지 자극물을 제거하거나 기관지로 흡인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상적인 호흡기계의 보호 기전
12) 저산소증 무산소증
- 저산소증 : 체조직의 산소 부족으로 정의
- 무산소증 : 화복 불능의 조직 손상
2. 간호중재
1) 자세 : 반자위 자세에서 가장 편하게 수을 쉴 수 있다(Semifowler)
2) 환경 : 시원한 환경일 때 가장 현하고, 적당한 습도
3) 활동 및 안정 : 심한 호흡장애 환자는 침상 안정!!
4) 구강 위생 : 구강 간호를 자주 실시하여 식욕을 증진!!
5) 영양과 수분 섭취 : 점액성 객담을 배출하는 환자에게는 적절한 수분 섭취를 권장!!, 객담배출을 쉽게함.
환자의 저항력을 유지!!(충분한 휴식, 영양과 수분 섭취) - 심부전, 폐수종환자는 고려해야 함
6) 감염예방 및 조절
7) 폐자극 금지 : 금연 교육!!,
......... 기도유지, 호흡곤란 완화, 객혈관리,
8) 간호사-환자 상호관계
- 효과적이고 치료적인 간호사-환자의 상호관계가 형성될 때 간호사는 호나자에게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
9) 호흡곤란의 완화
(1) 급성 호흡곤란 : 자세 유지, 기도 유지, 입술 오므리기 훈련 실시, 환자 에너지 보존
(2) 만성 호흡곤란 : 충분한 영양공급, 식이조절
10) 기도 유지
* 효과적인 기침, 심호흡, 수분공급, 잦은 체위변경, 체위배액, 두드리기, 진동 등
*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 점액용해제, IPPB 등
11) 객혈관리
* 침상 안정과 활력징후 관찰과 병변이 있는 부위에 얼음주머니 모래주머니를 대주어 지혈을 도모
12) 약물요법
- 항히스타민제 : 알러지 반응을 억제(기관지 부종, 평활근 경련, 모세혈관 투과성 감소하기 위해 사용)
- 항생제 : 감염치료(박테리아에 적용)
- 기관지 확장제 : 기관지 경련을 완화!! : 교감신경 효능제 사용!! : Receptor(α혈관, β1심근, β2기관지)
- 알파, 베타 수용체 작용 : Receptor 작용 일으킴 (에피네프린)
- 베타 수용체 선택적 작용 : 심질환에 사용 (심근 존재)
- β2수용체 선택적 작용 (기관지 평활근) - 부작용은 없지만 비쌈, Isoproterenol
- Aminophyline 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정맥주입 수액에 혼합하여 투여함 = 심정지를 예방
- 기침약 : 진해제는 기침 중추의 기침 반사를 방해함 = Codein
- 거담제 : 기관지 분비물의 배출을 도움
★ 심호흡(복식호흡), 효과적 기침, 체위배액(경타법, 진동법, 심호흡과 기침)
13) 폐 물리 요법
(1) 호흡 운동
* 입술 오므리기 운동 : 심호흡
* 복식 호흡 (횡격막 호흡) : 효과적인 환기에 좋음 COPD환자에게 적용
(2) 효과적인 기침 : 기관지 분비물의 배출을 도와 기관지 분비물의 축적으로 초래되는 합병증을 예방
(3) 체위 배액
* 중력을 이용하여 객담을 배출함
* 효과적 기침은 기관지 분비물을 끌어올기 위해 필요함
* 경차 : 손가락을 모아 손을 컵처럼 쥐고 두드린다.
14) 호흡요법
(1) 산소요법
* 동맥혈 산소 분압이 낮고 호흡수와 심박수가 증가시 적용
* 이산화탄소 분압을 확인하여 산소 투여량을 확인하고 결정함
- 분압이 낮으면 저농도로 투여
* 산소 투여의 위험성
- 감염, 발화(산소통 불에 잘 붙음), 호흡기 점막의 건조
- 산소 독성 : 산소가 60%이하시 발생안함
: 고농도 산소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폐조직의 구조적인 파괴가 일어남
: 간질액 부종, 폐모 모세혈관 막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