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부호흡기계
1. 건강력
2. 심체검진
1) 코
2) 비인두
3) 부비동
3. 임상진단 검사.
1) 세균배양 검사
2) 후두경 검사
(1) 직접 후두경 검사
(2) 간접 후두경 검사
<2> 하부호흡기계 사정
1. 건강력
1) 과거 병력
2) 약물
3) 입원경험
4) 가족력
5) 환경 및 직업
6) 흡연
7) 예방접종
8) 호흡기 병력
9) 신체활동 및 운동 양상
2. 신체검진
1) 시진
2) 촉진
3) 타진
4) 청진
3. 임상진단 검사
1) 혈액 검사
(1) 적혈구
(2) 백혈구
(3) CRP
(4) LDH
(5) 동맥혈 가스분석
(6) 맥박 산소 계측
2) 객담 검사
3) 피부검사
(1) 과민성 반응 검사
(2) 튜베르쿨린 검사
4) 방사선 검사
(1) 흉부 X선 검사
(2) 단층 촬영
(3) 자기공명 영상
(4) 폐 스캔
(5) 폐 혈관 조영술
(6) 형광 투시법
(7) 기관지 조영술
5) 폐초음파 검사
6) 내시경 검사
(1) 기관지경 검사
(2) 내시경적 흉부절개술
7) 폐 생검
8) 흉곽천자
(1) 시술 전 간호
(2) 시술 중 간호
(3) 시술 후 간호
9) 폐기능 검사
10) 운동부하 검사
1. 건강력
2. 심체검진
1) 코
2) 비인두
3) 부비동
3. 임상진단 검사.
1) 세균배양 검사
2) 후두경 검사
(1) 직접 후두경 검사
(2) 간접 후두경 검사
<2> 하부호흡기계 사정
1. 건강력
1) 과거 병력
2) 약물
3) 입원경험
4) 가족력
5) 환경 및 직업
6) 흡연
7) 예방접종
8) 호흡기 병력
9) 신체활동 및 운동 양상
2. 신체검진
1) 시진
2) 촉진
3) 타진
4) 청진
3. 임상진단 검사
1) 혈액 검사
(1) 적혈구
(2) 백혈구
(3) CRP
(4) LDH
(5) 동맥혈 가스분석
(6) 맥박 산소 계측
2) 객담 검사
3) 피부검사
(1) 과민성 반응 검사
(2) 튜베르쿨린 검사
4) 방사선 검사
(1) 흉부 X선 검사
(2) 단층 촬영
(3) 자기공명 영상
(4) 폐 스캔
(5) 폐 혈관 조영술
(6) 형광 투시법
(7) 기관지 조영술
5) 폐초음파 검사
6) 내시경 검사
(1) 기관지경 검사
(2) 내시경적 흉부절개술
7) 폐 생검
8) 흉곽천자
(1) 시술 전 간호
(2) 시술 중 간호
(3) 시술 후 간호
9) 폐기능 검사
10) 운동부하 검사
본문내용
<1> 상부호흡기계
1. 건강력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질문한 후 분석한다. 관련 증상은 비출혈, 코 뒤로 넘어가는 분비물, 재채기, 통증 등이다. 점막이 붓거나 용종으로 폐색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후각 상실은 감기나 알레르기가 있을 때 흔히 볼 수 있지만 심각한 신경계 문제를 암시할 수도 있다.
후각 상실은 감기나 알레르기가 있을 때 흔히 볼 수 있지만 심각한 신경계 문제를 암시할 수도 있다. 증상들이 이전에도 있었는지, 있다면 언제, 얼마나 자주 경험하였는지 질문한다. 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비강 분무, 항울혈제, 항히스타민, 처방없이 사 먹은 약 등이 있는지 조사한다. 증상 발현시기, 지속 기간, 발생 시간, 발생 상황, 정도 등을 질문한다. 또한 습도 증가, 똑바로 앉기, 똑바로 눕기, 계절이나 기후와 같은 증상 완호 혹은 악화 요인들도조사한다. 입맛 변화, 입냄새, 코막힘, 얼굴 통증, 두통 등 관련 증상도 조사한다.
2. 심체검진
1) 코
시진 혹은 촉진하여 대칭성, 색깔, 분비물, 코 벌름거림, 압통, 병소가 있는지 검진한다. 피부는 다른 얼굴 피부와 같아야 하고, 콧날은 일직선으로 곧아야 하며 대칭이어야 한다. 분비물은 없어야 하고 숨을 쉴 때 코를 벌름거리면 안 된다. 코로 숨을 쉴 수 있어야 하며 덩어리 병소, 압통은 없어야 한다.
코 한쪽을 손으로 막은 후 숨 쉬게 하여 코가 막혔는지 확인한다. 힘들이지 않고 숨쉴 수 있어야 한다. 목을 뒤로 젖힌 후 콧구멍을 시진하여 딱지, 출혈, 건조 상태를 확인한다.
코 안쪽은 머리를 뒤로 젖힌 후 팬라이트로 전정을 조사한다. 털이 많고 분비물이 없고 중격이 가운데 있어야 정상이다. 더 자세히 보려면 비경을 사용하여 점막상태, 중격모양, 비갑개 상태를 확인한다. 점막은 붓지 않고 촉촉하며 약간 어두운 분홍빛이어야 한다. 중격은 휘거나, 덩어리, 구명, 분비물이 있으면 비정상이다. 비갑개 색은 점막과 같아야 하고 분비물, 부종, 염증 증상이 없어야 한다. 용종이나 덩어리가 있는지 관찰한다.
2) 비인두
비인두는 혀를 설압자로 누르고 거즈로 잡아 당기면서 검사한다. 비인두경을 사용하기도 한다.
3) 부비동
부비동은 촉진과 타진, 코 분비물 관찰, 빛을 비추어 검사한다. 상악동과 전두동을 촉진하여 부종이나 압통이 있는 지 검사한다. 전두동은 눈 위, 안와의 뼈 부분 바로 아래를, 상악동은 관골 바로 아래 코 양쪽을 촉진한다. 타진은 전두동은 눈썹 위를, 상악동은 눈 아래, 코 양쪽을 두드린다.
상악동에 압통이 있으면 빛을 비추어 검사를 한다. 이때는 어두운 방에서 팬라이트나 이경의 빛을 눈 가운데 관골 부위 바로 아래에 대고 입천정을 향하여 아래로 비춘다. 경구개 위로 빛이 보여야 정상이다. 빛이 잘 보이지 않으면 울혈되었거나 화농성 액체가 찬것을 의미한다. 더 자세히 보려면 X-선 촬영을 하는데 공기가 있어 부비동 부위가 검게 보이면 정상이다.
3. 임상진단 검사.
1) 세균배양 검사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균, 용혈성 인플렌자, 폐렴간균 등이 검출되면 정상이나 결핵균이나 디프테리아균이 있다면 비정상이다. 멸균된 면봉으로 코나 목을 훑어 무균 배양 튜브에 넣는다.
2) 후두경 검사
후두경 검사는 후두를 직접 보는 검사로 유두종, 혹, 용종, 암을 진단할 수 있다. 후두경은 기관지경을 할 때 같이 하기도 한다.
(1) 직접 후두경 검사
후두경을 이용한 검사로 검사 전 안정제를 투여하고 몇 시간 금식시킨다. 국소나 전신마취 하에 후두경을 입에 넣어 구조를 관찰하고 피요하면 생검한다.
(2) 간접 후두경 검사
작은 거울이나 망원경같은 기구로 후두를 시진하는 검사로 거울을 삽입할 때 혀를 누르며 \'아\'하다가 \'이\'하게 하여 연구개를 올린다. 똑바로 앉게 한 후 턱을 앞 쪽으로 끌어당기고 혀를 가능한 많이 내밀게 하여 거즈로 잡아당긴다. 필요하면 생검한다. 비인두에 분비물, 출혈, 궤양, 덩어리가 있는지도 시진한다.
<2> 하부호흡기계 사정
1. 건강력
1) 과거 병력
과거에 감기, 인후통, 부비동 문제, 알레르기, 천식, 페렴, 결핵 등과 같은 호흡기 문제를 경험하였는지 확인한다. 특히 알레르기의 경우 약물,
1. 건강력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질문한 후 분석한다. 관련 증상은 비출혈, 코 뒤로 넘어가는 분비물, 재채기, 통증 등이다. 점막이 붓거나 용종으로 폐색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후각 상실은 감기나 알레르기가 있을 때 흔히 볼 수 있지만 심각한 신경계 문제를 암시할 수도 있다.
후각 상실은 감기나 알레르기가 있을 때 흔히 볼 수 있지만 심각한 신경계 문제를 암시할 수도 있다. 증상들이 이전에도 있었는지, 있다면 언제, 얼마나 자주 경험하였는지 질문한다. 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비강 분무, 항울혈제, 항히스타민, 처방없이 사 먹은 약 등이 있는지 조사한다. 증상 발현시기, 지속 기간, 발생 시간, 발생 상황, 정도 등을 질문한다. 또한 습도 증가, 똑바로 앉기, 똑바로 눕기, 계절이나 기후와 같은 증상 완호 혹은 악화 요인들도조사한다. 입맛 변화, 입냄새, 코막힘, 얼굴 통증, 두통 등 관련 증상도 조사한다.
2. 심체검진
1) 코
시진 혹은 촉진하여 대칭성, 색깔, 분비물, 코 벌름거림, 압통, 병소가 있는지 검진한다. 피부는 다른 얼굴 피부와 같아야 하고, 콧날은 일직선으로 곧아야 하며 대칭이어야 한다. 분비물은 없어야 하고 숨을 쉴 때 코를 벌름거리면 안 된다. 코로 숨을 쉴 수 있어야 하며 덩어리 병소, 압통은 없어야 한다.
코 한쪽을 손으로 막은 후 숨 쉬게 하여 코가 막혔는지 확인한다. 힘들이지 않고 숨쉴 수 있어야 한다. 목을 뒤로 젖힌 후 콧구멍을 시진하여 딱지, 출혈, 건조 상태를 확인한다.
코 안쪽은 머리를 뒤로 젖힌 후 팬라이트로 전정을 조사한다. 털이 많고 분비물이 없고 중격이 가운데 있어야 정상이다. 더 자세히 보려면 비경을 사용하여 점막상태, 중격모양, 비갑개 상태를 확인한다. 점막은 붓지 않고 촉촉하며 약간 어두운 분홍빛이어야 한다. 중격은 휘거나, 덩어리, 구명, 분비물이 있으면 비정상이다. 비갑개 색은 점막과 같아야 하고 분비물, 부종, 염증 증상이 없어야 한다. 용종이나 덩어리가 있는지 관찰한다.
2) 비인두
비인두는 혀를 설압자로 누르고 거즈로 잡아 당기면서 검사한다. 비인두경을 사용하기도 한다.
3) 부비동
부비동은 촉진과 타진, 코 분비물 관찰, 빛을 비추어 검사한다. 상악동과 전두동을 촉진하여 부종이나 압통이 있는 지 검사한다. 전두동은 눈 위, 안와의 뼈 부분 바로 아래를, 상악동은 관골 바로 아래 코 양쪽을 촉진한다. 타진은 전두동은 눈썹 위를, 상악동은 눈 아래, 코 양쪽을 두드린다.
상악동에 압통이 있으면 빛을 비추어 검사를 한다. 이때는 어두운 방에서 팬라이트나 이경의 빛을 눈 가운데 관골 부위 바로 아래에 대고 입천정을 향하여 아래로 비춘다. 경구개 위로 빛이 보여야 정상이다. 빛이 잘 보이지 않으면 울혈되었거나 화농성 액체가 찬것을 의미한다. 더 자세히 보려면 X-선 촬영을 하는데 공기가 있어 부비동 부위가 검게 보이면 정상이다.
3. 임상진단 검사.
1) 세균배양 검사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균, 용혈성 인플렌자, 폐렴간균 등이 검출되면 정상이나 결핵균이나 디프테리아균이 있다면 비정상이다. 멸균된 면봉으로 코나 목을 훑어 무균 배양 튜브에 넣는다.
2) 후두경 검사
후두경 검사는 후두를 직접 보는 검사로 유두종, 혹, 용종, 암을 진단할 수 있다. 후두경은 기관지경을 할 때 같이 하기도 한다.
(1) 직접 후두경 검사
후두경을 이용한 검사로 검사 전 안정제를 투여하고 몇 시간 금식시킨다. 국소나 전신마취 하에 후두경을 입에 넣어 구조를 관찰하고 피요하면 생검한다.
(2) 간접 후두경 검사
작은 거울이나 망원경같은 기구로 후두를 시진하는 검사로 거울을 삽입할 때 혀를 누르며 \'아\'하다가 \'이\'하게 하여 연구개를 올린다. 똑바로 앉게 한 후 턱을 앞 쪽으로 끌어당기고 혀를 가능한 많이 내밀게 하여 거즈로 잡아당긴다. 필요하면 생검한다. 비인두에 분비물, 출혈, 궤양, 덩어리가 있는지도 시진한다.
<2> 하부호흡기계 사정
1. 건강력
1) 과거 병력
과거에 감기, 인후통, 부비동 문제, 알레르기, 천식, 페렴, 결핵 등과 같은 호흡기 문제를 경험하였는지 확인한다. 특히 알레르기의 경우 약물,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건강 간호
노인의 주요 정신건강 문제와 예방과 치료 그리고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건강과간호]청소년, 중년, 노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자살 실태 및 현황에 대...
여성의 건강위해 행위 약, 술, 담배
영유아 정신건강의 해결방안을 사회복지사 입장에서 제시
건강가정사업의 실천 기술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노년기의 정신건강 및 느낌
[생활과건강] 최근 우리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약물의 종류와 특성 등 현황, 약물남용의 사...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동학대 (兒童虐待) - 학대아동의 개념 및 정의, 학대아동...
[노인건강문제관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간호, 생활환경과 안전, 개인위생, 운동, 영양과 ...
예방복지 : 정신건강을 위한 예방복지에 대해 서술하시오.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2. 위기중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