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생생활에서의 간호
1. 생활환경과 안전
2.개인위생
3. 운동
4.영양과 배설의 관리
5. 수면
6. 노인의 약물 관리
2) 일생생활유지 도구
-출처
1. 생활환경과 안전
2.개인위생
3. 운동
4.영양과 배설의 관리
5. 수면
6. 노인의 약물 관리
2) 일생생활유지 도구
-출처
본문내용
는
도구. 생활환경이나 문화가 다른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맞지 않기 때문에 한국 노인에
맞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함
●연구도구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IADL)
도구 설명>> 대한노인병학회 노인기능평가연구회에서는 보건복지부의 용역과제를 받아 한국 노인 중
기능장애가 있는 분들의 장애활동을 수집하고 수차례의 사전조사와 전문가회의, 그리고
국어학자의 자문 등을 통해 K-ADL, K- IADL 측정 도구를 새로이 개발
총 408개의 일상생활활동(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관련 활동과 총242개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ADL: in strument 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관련 활동이 채집되었으며
ADL 설문지는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 식사하기, 이동, 화장실사용, 대소변조절 등의 7개의
항목으로 범주화, IADL 설문지는 몸단장,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하기, 근거리 외출, 교통수단
이용, 물건사기(쇼핑), 금전 관리, 전화 사용, 약 챙겨먹기의 10개 항목으로 범주화하였으며
각각에 대해 응답항목을 결정
⇒ K- ADL 총점이 16점 이상을 중증 기능장애의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적당
한국 노인의 생활환경과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한국형 일상생활 활동 측정 도구과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Kor ean In 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 IADL)를 개발함
≫ 임경춘(2011),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측정도구 (K-CHAMPS)의 신뢰도와 타당도,
노인간호학회지, 13(2), 142-153..
연구 목적 :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 (K-CHAMPS)의 신뢰도를 검증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 (K-CHAMPS)의 타당도를 검증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 (K-CHAMPS)를 이용하여 노인 신체활동 정도 측정
대상 : 총 423명
대상자는 전국의 노인을 표적 모집단으로 하고, A, C, D, S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근접
모집단으로 하여 편의추출
ㆍ 65세 이상 남녀 ㆍ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ㆍ 균형의 어려움 없이 독립적 보행이 가능한 자
ㆍ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연구도구 :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 (K-CHAMPS)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신체활동 도구들을 우선적으로 분석, 노인에서의
신체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특별히 Anita Stewart 교수와 동료들이 고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CHAMPS)를 선택함.
한국어로 번역과 역번역 및 예비조사를 거쳐 한국판 CHAMPS (K-CHAMPS)를 완성
질문지는 지난 한 달 중 어느 한 주에 대해 41개의 활동영역에 대해 활동여부, 일주일 동안의
활동 빈도 및 일주일 동안의 참여 시간을 각각 답하게 한 결과를 이용하여, 신체활동으로 인한
주별 칼로리 소모량(calorie expenditure/week)을 계산한 후 이용하도록 개발
⇒ 3 METs 미만을 가벼운 신체활동, 3 METs 이상 6 METs 미만을 중등도 신체활동, 6METs 이상을
격렬한 신체활동(Stewart et al., 2001a)이라함
*본 연구에서는 K-CHAMPS를 이용하여 신체활동 량을 빈도와 시간으로 측정한 후 이를 METs로
전환하여 산출된 값을 의미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K-CHAMPS)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됨
≫ 성기월(1999년).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활동(ADL)정도와 생활만족 정도의 비교. 한국노인학회. 19권 1호. 105-117
● 연구목적 : 노인 간호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행
● 연구 대상자: 대구와 경북 일원에 소재한 3개 양로원과 대구시 D구와 B구에 소재한 4개 노인정을 방문하여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뒤 질문지를 이해하고 대답할 수 있으며 거동할 수 있는 양로원 노인과 노인정 노인 중 인지기능 점수가 8점 이상인 양로원 노인 62명과 노인정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상생활 활동(ADL)정도와 생활만족 정도를 면담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연구도구 : 일상생활 활동(ADL) 측정도구
바델인덱스(Barthel Indek)와 Lawton과 Brody(1969)의 수단적 자립척도(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Scale)를 기초로 하여 개발한 송미순(1991)의 도구와 Stones 과 Kozma(1980)의 척도를 기초로 한 윤진(1982)의 노인 생활만족 정도로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1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최저 15점에서 최고 60점까지 가능하다.
Lawton과 Brody(1969)의 IALD는 도구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91이였으며 송미순(1991)의 연구에서는 .98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α= .95로 나타났다.
바델인덱스는 기본적인 자기간호 정도를 측정하는데 비하여 IADL은 좀더 복잡한 기능이 요구되는 자기간호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바델인덱스는 임상에서 사망률 예측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병원에서 양로원이나 가정으로의 퇴원을 결정할 때 판단 기준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 출처
* 성기월(1999년).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활동(ADL)정도와 생활만족 정도의 비교. 한국노인학회. 19(1). 105-117
* 임경춘(2011),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측정도구 (K-CHAMPS)의 신뢰도와 타당도, 노인간호학회지, 13(2), 142-153.
* 원장원,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외 7명,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 (K-IADL)의 개발1(항목채집에서 사전조사까지)(200), WebHealth Research, Vol. 5, 1226-8461
*정인숙(2011) 노인간호의 이론과 실제 제1판 : 창지사
도구. 생활환경이나 문화가 다른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맞지 않기 때문에 한국 노인에
맞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함
●연구도구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IADL)
도구 설명>> 대한노인병학회 노인기능평가연구회에서는 보건복지부의 용역과제를 받아 한국 노인 중
기능장애가 있는 분들의 장애활동을 수집하고 수차례의 사전조사와 전문가회의, 그리고
국어학자의 자문 등을 통해 K-ADL, K- IADL 측정 도구를 새로이 개발
총 408개의 일상생활활동(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관련 활동과 총242개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ADL: in strument 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관련 활동이 채집되었으며
ADL 설문지는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 식사하기, 이동, 화장실사용, 대소변조절 등의 7개의
항목으로 범주화, IADL 설문지는 몸단장,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하기, 근거리 외출, 교통수단
이용, 물건사기(쇼핑), 금전 관리, 전화 사용, 약 챙겨먹기의 10개 항목으로 범주화하였으며
각각에 대해 응답항목을 결정
⇒ K- ADL 총점이 16점 이상을 중증 기능장애의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적당
한국 노인의 생활환경과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한국형 일상생활 활동 측정 도구과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Kor ean In 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 IADL)를 개발함
≫ 임경춘(2011),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측정도구 (K-CHAMPS)의 신뢰도와 타당도,
노인간호학회지, 13(2), 142-153..
연구 목적 :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 (K-CHAMPS)의 신뢰도를 검증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 (K-CHAMPS)의 타당도를 검증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 (K-CHAMPS)를 이용하여 노인 신체활동 정도 측정
대상 : 총 423명
대상자는 전국의 노인을 표적 모집단으로 하고, A, C, D, S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근접
모집단으로 하여 편의추출
ㆍ 65세 이상 남녀 ㆍ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ㆍ 균형의 어려움 없이 독립적 보행이 가능한 자
ㆍ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연구도구 :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 (K-CHAMPS)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신체활동 도구들을 우선적으로 분석, 노인에서의
신체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특별히 Anita Stewart 교수와 동료들이 고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CHAMPS)를 선택함.
한국어로 번역과 역번역 및 예비조사를 거쳐 한국판 CHAMPS (K-CHAMPS)를 완성
질문지는 지난 한 달 중 어느 한 주에 대해 41개의 활동영역에 대해 활동여부, 일주일 동안의
활동 빈도 및 일주일 동안의 참여 시간을 각각 답하게 한 결과를 이용하여, 신체활동으로 인한
주별 칼로리 소모량(calorie expenditure/week)을 계산한 후 이용하도록 개발
⇒ 3 METs 미만을 가벼운 신체활동, 3 METs 이상 6 METs 미만을 중등도 신체활동, 6METs 이상을
격렬한 신체활동(Stewart et al., 2001a)이라함
*본 연구에서는 K-CHAMPS를 이용하여 신체활동 량을 빈도와 시간으로 측정한 후 이를 METs로
전환하여 산출된 값을 의미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질문지(K-CHAMPS)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됨
≫ 성기월(1999년).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활동(ADL)정도와 생활만족 정도의 비교. 한국노인학회. 19권 1호. 105-117
● 연구목적 : 노인 간호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행
● 연구 대상자: 대구와 경북 일원에 소재한 3개 양로원과 대구시 D구와 B구에 소재한 4개 노인정을 방문하여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뒤 질문지를 이해하고 대답할 수 있으며 거동할 수 있는 양로원 노인과 노인정 노인 중 인지기능 점수가 8점 이상인 양로원 노인 62명과 노인정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상생활 활동(ADL)정도와 생활만족 정도를 면담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연구도구 : 일상생활 활동(ADL) 측정도구
바델인덱스(Barthel Indek)와 Lawton과 Brody(1969)의 수단적 자립척도(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Scale)를 기초로 하여 개발한 송미순(1991)의 도구와 Stones 과 Kozma(1980)의 척도를 기초로 한 윤진(1982)의 노인 생활만족 정도로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1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최저 15점에서 최고 60점까지 가능하다.
Lawton과 Brody(1969)의 IALD는 도구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91이였으며 송미순(1991)의 연구에서는 .98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α= .95로 나타났다.
바델인덱스는 기본적인 자기간호 정도를 측정하는데 비하여 IADL은 좀더 복잡한 기능이 요구되는 자기간호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바델인덱스는 임상에서 사망률 예측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병원에서 양로원이나 가정으로의 퇴원을 결정할 때 판단 기준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 출처
* 성기월(1999년).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활동(ADL)정도와 생활만족 정도의 비교. 한국노인학회. 19(1). 105-117
* 임경춘(2011), 한국판 지역사회 건강노인 신체활동 측정도구 (K-CHAMPS)의 신뢰도와 타당도, 노인간호학회지, 13(2), 142-153.
* 원장원,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외 7명,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 (K-IADL)의 개발1(항목채집에서 사전조사까지)(200), WebHealth Research, Vol. 5, 1226-8461
*정인숙(2011) 노인간호의 이론과 실제 제1판 : 창지사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 여가활용 문제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노인의성
충남지역의 노인간병보호서비스 실태조사와 결과분석
요보호노인에 대한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의 대한 실천적 대안 모색
노인의 건강문제와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의료보장정책과 관련한 내용에 관해 ...
[고령화사회][노인복지][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서비스][노인문제][고령화][노인복지체계][노...
노인의료보장정책(건강보험,의료급여제도,노인건강지원사업,장기요양보험제도) 각각의 최신현...
[노인건강 방안] 노인건강의 실태, 노인 복지제도, 노인 건강관련 제도 분석 및 문제점과 개...
[노인건강 방안] 노인건강의 실태, 노인 복지제도, 노인 건강관련 제도 분석 및 문제점과 개...
노인주거생활보장 (노인주거환경, 가구형태의 변화와 노인주거, 노인주거보장정책의 현황, 노...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정신건강문제를 2가지 이상 선택하여 작성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