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를 사는 따뜻한 부모들의 이야기 견해, 생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 시대를 사는 따뜻한 부모들의 이야기 견해, 생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들은요 밤중에 아이가 울길래 무슨 일인가 해서 아들 방으로 들어갔더니 ‘어머니가 있으면 될 일도 안된다고 나가래요’저는 그날 밤 한숨도 못자고 눈물로 지새웠어요. ③ 어떤 중학생 왈 : 우리 부모님은요 말을 마음대로 만들어서 하세요.저는 그런 부모님이 싫어요. 저는 텔레비전을 보고 있으면 ‘너는 맨날 공부나 숙제할 생각은 안하고 텔레비전만 보냐’하신다고요. 저는 마음속으로 숙제할 생각·공부할 생각 다 하고 있는데요. 그리고 텔레비전도 매일 보는 것도 아니예요.
교육에 참가한 부모들은 많은 문제들을 네 탓이 아니라 내 탓임을 알게 된다. 차츰 자녀들을 너그럽게 이해하게 된다. 여러 번 실수를 하면서 조금씩 변화되어 간다. 그러므로 부모는 부모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자녀란 부모에게 어떤 존재이며 어떻게 성장하고 변화하며 어떤 능력을 갖고 있고 어떤 희망이나 고민을 갖고 있는지. 또한 그들의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 그리고 자녀가 부모에게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부모는 배워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70년대부터 교육기관 사회단체에서도 여러 가지 방법과 내용으로 시행하고 있다. 한국지역사회교육중앙협의회에서는 바람직한 자녀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 ‘부모에게 약이 되는 5종(자녀의 진로지도, 부모·자녀의 대화기법, 자녀의 학습관리, 기초 육아법, 자녀의 교육관 정립)’을 시리즈로 개발하여 부모들 스스로 자기학습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관찰 강의·토의·역할놀이·작업 기록지 작성 등등.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천 톤의 이론보다 1온스의 실천이 더 중요하다”라고 미국의 교육학자 존 듀이가 말한 것처럼 이론을 습득한 것보다 작은 사랑 하나라도 관찰하고 생각하고 실천하는 부모가 되었으면 한다.
〈무심코 건넨 한마디 말이 깊은 상처로 남아〉
제 아들은 초등학교 6학년인데 제 계획대로 따라주던 아들이 학원에 가면서 제게 묻더라고요.
“엄마, 엄마는 내가 학교에 돌아와 지금까지 ”빨리“라는 말 몇 번 했는지 아세요?”
“이녀석이! 그래, 몇 번인데?”
“엄만 몇 번일 것 같아요?”
“어유 빨리 말해 봐 빨리!그리고 빨리 가야지”
“지금 세 번까지 합해 스물하고 네 번요”
“쓸데 없는 데 신경쓰지 말고 빨리 가 빨리. 늦겠다. 아, 빨리!”
“엄마 스물일곱번이요 스물일곱번!”
“이 녀석이! 아 빠알-리”
주먹을 쥐고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3.11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4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