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철학과 윤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의 철학과 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2장 플라톤(Platon)

1.동굴의 비유

2.도덕적 삶에 대한 정의(定義)

3.기게스의 반지: 도덕에 대한 회의적 견해

4.세 종류의 선

5.이상과 본질

6.국가와 개인

7.절제: 중요한 요소

8.이상 국가를 위한 교육

9.플라톤의 민주주의에의 도전

10.덕이 있는 영혼: 욕구, 감정, 그리고 이성

11.영혼에 있어서의 정의

12.플라톤과 소크라테스의 차이점

13.플라톤에 반대하는 주장들

14.플라톤의 윤리설의 난점

본문내용

제2장 플라톤(Platon)
1.동굴의 비유
태양
불꽃
사람들과 동물들의 상(像)

죄수(인간) →
상(像)의 그림자
1)동굴의 상태
- 우리 인간은 동굴 안에 묶여 있는 죄수와 같아서 오직 우리 앞에 놓여 있는 동굴의 벽면만을 쳐다 볼 수 있음.
- 동굴의 담 뒤에는 빛의 근원이 되는 불이 타오르고 있으며, 그 앞에 죄수들 뒤에 있는 담 위로 사람들과 여러 동물들의 상이 지나감.
- 때문에 죄수들은 벽면에 비치는 사람들과 여러 동물들의 그림자만을 볼 수 있고, 그런 그림자가 비치게 되는 체계를 전혀 알지 못하는 죄수들은 그림자들이 진정한 사람과 동물들이라고 굳게 믿을 것임.
2)플라톤의 상황예측
(1)고개를 돌려 ‘불꽃’과 ‘여러 가지 상’들을 직접 보게 될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 자신들의 제한된 세계에 길들여져 있는 죄수들은 처음에는 고개를 돌리지 않으려고 저항할 것이다.
- 담 위로 지나가는 여러 상들이 진정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할 것임.
- 잠시 후에서야 그들은 그런 상들이 벽에 비치는 그림자보다 더욱 큰 실재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2)죄수들이 동굴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 태양의 빛 때문에 아무 것도 보지 못 하게 되다가, 처음에는 동굴 밖에서 마주치는 대상들이 진정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될 것임.
- 그러나 결국에는 이런 대상들이 가장 진정한 것이며, 동굴 안에서 보았던 여러 상들이나 벽면에 비친 그림자는 단지 커다란 실재성을 지니고 있는 것의 모사 또는 반영일 뿐이라는 점을 깨닫게 될 것임. (실재성ㆍ지식ㆍ이해의 정도, 즉 진리성의 정도가 존재함을 깨닫게 됨)
(3)다른 죄수들을 계몽하기 위해 다시 동굴로 돌아오는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 동굴 안에 있던 죄수들은 돌아온 죄수들을 허풍쟁이라고 생각할 것이며 그들이 거짓말을 하거나 터무니없는 이야기를 꾸며내고 있다고 비난하게 될 것이다.
- 동굴 안에 있던 죄수들도 사슬에서 풀려나서 가파른 경사를 걸어 동굴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세계를 경험할 경우에만 그들의 이야기를 믿게 될 것이다.(결국에는 자기가 직접 경험해야 한다.)
3)동굴의 비유가 가진 의의
- 일상적인 도덕적 사고들은 단지 벽에 비친 수많은 그림자들에 대한 공허한 개념과 같은 것일 뿐이라는 플라톤의 신념.
①우리는 이러한 제한된 시각으로부터 벗어날 경우에만 우리는 정의가 진정으로 무엇인가를 파악할 수 있다.
②정의의 진정한 본성은 우리가 철학적 이성에 비추어 그것을 파악할 경우에만 우리에게 드러날 것.
- 우리의 계몽된 견해가 아직 어둠 속에 머무르고 있는 다른 많은 개인들로부터 거부당할지도 모른다는 점을 경고.
2.도덕적 삶에 대한 정의(定義)
1)당시 사람들이 생각하던 도덕적 삶(케팔로스의 발언을 통해 유추)
(1)케팔로스 - 도덕적 삶은 다른 사람들을 속이거나 그들의 재산을

키워드

플라톤,   철학,   윤리,   이데아,   동굴의비유,   국가론,   정의,   철인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3.24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9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