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분만의 종류 및 간호방법
1. 질식 분만
1) 자연분만
2) 무통 분만
3) 수중분만
4)소프트롤로지분만
5) 그네분만
6) 라마즈 분만
2. 수술적 분만
1) 제왕절개
참고문헌
1. 질식 분만
1) 자연분만
2) 무통 분만
3) 수중분만
4)소프트롤로지분만
5) 그네분만
6) 라마즈 분만
2. 수술적 분만
1) 제왕절개
참고문헌
본문내용
씬 많다고 주장한다고 합니다.
수중에서 분만된 태아가 질식할 위험은 없는가?
자궁수축이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PGE(prostaglandin E)에 의하여 양수내 태아의 호흡운동(흉곽운동)은 중지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호흡억제기전을 diving reflex에 의하여 수중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호흡, 즉 흉곽운동은 정지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때 신생아에게는 물론 제대혈액이 산소를 공급해 줍니다.
(3)수중에서 임산부가 대변을 볼 경우
ⓐ 분만 제2기 전에는 욕조의 물을 깨끗한 물로 교환.
ⓑ 분만 제2기에는 임산부를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분만.
(4)물의 수질은 어떻게 유지
수중진통/분만 모두에서 일반적인 수돗물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정수된 물을 사용하거나 분만2기에 임박하여 물을 전체적으로 한번 갈아주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출산중에 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려면?
따뜻하거나 시원한 물에 부드러운 천이나 스펀지를 담근 다음 꼭 짜서 등, 배, 얼굴, 목 등 에 대줍니다.
덥거나 짜증이 나면 얼음팩을 이용해 얼굴, 목에 올려 놓습니다.
물을 마시고 싶지 않으면 얼음 조각을 입에 넣고 빱니다.
산모가 온기를 느끼고 싶어하면 뜨거운 아기용 물병이나 휴대용 보온병을 부드러운 수건에 감싸, 배 아래쪽이나 다리 사이에 대고 있게 합니다. 산모가 편안해 합니다.
작은 스펀지를 얼음물에 담갔다 짜낸 다음 입술에 수분공급을 해 줍니다.
(5)수중분만을 시행해서는 안 되는 경우
ⓐ 의사의 참여가 불가능 할 때
ⓑ 태아긴박증(태아저산소증)이나 수중에 태변이 보일 경우
ⓒ 모성감염증(특히 B형 간염, HIV 감염 등) 또는 열성질환
ⓓ 깨끗한 물의 공급이 불가능할 경우
ⓔ 저 혈소판증
ⓕ 만삭 전 임신(37주 미만)
ⓖ 임산부가 수중에서 편안함을 느끼지 못할 경우
ⓗ pushing period가 태아 하강없이 1시간 있을 경우
ⓘ 비정상적인 진통과정을 보이는 경우
4)소프트롤로지분만
: 소프롤로지 분만의 목표는 임신기간 중 조화로운 생활과 스스로 분만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데 있습니다. 또한 모성애를 고취시켜 아기에 대한 고마움과 자신감을 갖게 해 줍니 다. 소프롤로지 분만법은 1960년대부터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서양의 근육이완법과 동 양의 요가, 불교적 요소들을 혼합한 무통분만법의 하나입니다. 소프롤로지식 분만은 영상 훈련, 호흡법, 소프롤로지 훈련 등의 세 가지 훈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임신 14주부터 영상훈련을 시작하고 임신 7~8개월이 되면 이완훈련 호흡법으로 뒷받침합니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엄마는 정신적으로 안정과 여유를 찾을 수 있고 태아는 긴장이 완화됩니다. 엄마의 호흡상태가 좋아지기 때문에 아기가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고 편안한 마음으로 세 상에 나올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영상훈련은 임신부가 임신과 출산에 대한 자신감과 밝은 사고를 가질 수 있어 정신 건강에도 매우 좋습니다. 줄 수 있는 근육이완법과 완전 호흡 법이 있습니다.
1)소프롤로지분만의 기본자세
일명 \'고양이 운동\'이라 불리는 운동의 첫 자세.
양손을 바닥에 대고 팔을 힘주어 펴고, 양 무릎을 골반 넓이로 가볍게 벌립니다. 등뼈는 똑바로 하고 허리가 꺼지지 않게 합니다. 고양이 운동의 다음 자세. 숨을 들이마시고 머 리를 숙이며 등을 둥글게 하면서 숨을 내쉽니다. 숨을 내쉬면서 등을 둥글게 하면 둔부와 회음부의 근육이 긴장하며 다시 기본 자세로 돌아가면 이완됩니다. 분만 2기에 태아를 밀 어낼 때 좋습니다.
2) 신체 파악하기 첫 자세
양손을 하복부 위에 놓고 치골 부근에서 깍지를 끼고 심호흡을 합니다. 깊게 숨을 마시면 서 머리 위에 양팔을 올리고 뻗은 팔과 몸의 길이를 각각 확인합니다. 다시 천천히 내리 면서 얼굴 모양, 목, 가슴이나 배, 양 대퇴부의 크기를 상상하여 그려보고 자신의 몸을 의 식합니다. (3회 이상 반복)
목과 목덜미 운동의 첫 자세
먼저 자유롭게 호흡하면서 머리와 목에 활력을 준 다음 머리를 좌우로 천천히 기울입니 다. 근육의 긴장과 이완, 머리의 위치 이동, 나아가 경추의 움직임을 의식합니다. 모든 신 경을 머리와 목 주위에 집중시킵니다. 서서히 머리를 숙였다가 다시 뒤로 젖힙니다. 그리 고 목을 추로 삼아 머리를 교대로 좌우로 돌린 후 목과 목덜미에 가벼운 자극을 줍니다. (3회 이상 반복)
팔의 긴장 연습 첫 자세
오른팔을 앞으로 똑바로 펴고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주먹을 쥡니다. 숨을 깊이 마시 고 팔을 굽힙니다. 숨을 멈춘 상태에서 양팔을 돌립니다. 숨이 답답해지면 팔을 앞으로 펴면서 숨을 내쉽니다. 팔을 내리고 숨을 마십니다. 오른팔의 활발해진 혈액순환의 감을 느낍니다. 양팔의 감각이 다른 것을 확인한 다음 왼팔도 같은 방식으로 합니다.
3)영상훈련
발을 두 뼘 정도 벌리고 서서 등을 편 후 편안한 상태에서 아름다운 영체를 생각하고 마 음속으로 아기와 대화를 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4)적극적 이완법
근육과 관절에 자극을 주어 근육의 긴장을 의도적으로 이완하는 방법입니다. 이완법의 방 법에는 육체 활동과 정신 활동의 조화를 이루는 영상적 이완법이 있고 호흡과 함께 하체 근육을 움직이는 좌선좌법이 있습니다. 좌선좌법을 할 때는 눈을 반쯤 뜨고 최대한 정신 을 집중해야 합니다.
5)소프롤로지분만의 장점
자율분만
영상훈련 - 이완 효과
이해하기 쉽고 친숙하다
분만 1기 장시간 소요 시 : 피로감이 거의 없다
연상으로 충분히 이완
모유 수유를 원하는 산모 증가
복식호흡: 가스 교환 효율이 좋다
제왕절개 시: 좌절감이 없다
5) 그네분만
: 네분만은 ROMA BIRTH WHEEL을 이용한 분만으로, ROMA Birth Wheel은 산모가 원하는 자세, 즉 바로선 자세, 앉은 자세, 쪼그리고 앉은 자세,
무릎을 꿇고 앉은 자세, 웅크리고
누운 자세, 앉는 부위(Seat)에 엎드린 자세, 메달린 자세 등의 다양한 자세를 취하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진통이 오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진통이 올 때마다 산모를 흔들어 주면서 분만을 할 경우 분만진행이 순조 롭고 더 편안해 집니다(미국의 서부지역의 인디언들은 담요위에 산모를
수중에서 분만된 태아가 질식할 위험은 없는가?
자궁수축이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PGE(prostaglandin E)에 의하여 양수내 태아의 호흡운동(흉곽운동)은 중지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호흡억제기전을 diving reflex에 의하여 수중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호흡, 즉 흉곽운동은 정지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때 신생아에게는 물론 제대혈액이 산소를 공급해 줍니다.
(3)수중에서 임산부가 대변을 볼 경우
ⓐ 분만 제2기 전에는 욕조의 물을 깨끗한 물로 교환.
ⓑ 분만 제2기에는 임산부를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분만.
(4)물의 수질은 어떻게 유지
수중진통/분만 모두에서 일반적인 수돗물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정수된 물을 사용하거나 분만2기에 임박하여 물을 전체적으로 한번 갈아주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출산중에 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려면?
따뜻하거나 시원한 물에 부드러운 천이나 스펀지를 담근 다음 꼭 짜서 등, 배, 얼굴, 목 등 에 대줍니다.
덥거나 짜증이 나면 얼음팩을 이용해 얼굴, 목에 올려 놓습니다.
물을 마시고 싶지 않으면 얼음 조각을 입에 넣고 빱니다.
산모가 온기를 느끼고 싶어하면 뜨거운 아기용 물병이나 휴대용 보온병을 부드러운 수건에 감싸, 배 아래쪽이나 다리 사이에 대고 있게 합니다. 산모가 편안해 합니다.
작은 스펀지를 얼음물에 담갔다 짜낸 다음 입술에 수분공급을 해 줍니다.
(5)수중분만을 시행해서는 안 되는 경우
ⓐ 의사의 참여가 불가능 할 때
ⓑ 태아긴박증(태아저산소증)이나 수중에 태변이 보일 경우
ⓒ 모성감염증(특히 B형 간염, HIV 감염 등) 또는 열성질환
ⓓ 깨끗한 물의 공급이 불가능할 경우
ⓔ 저 혈소판증
ⓕ 만삭 전 임신(37주 미만)
ⓖ 임산부가 수중에서 편안함을 느끼지 못할 경우
ⓗ pushing period가 태아 하강없이 1시간 있을 경우
ⓘ 비정상적인 진통과정을 보이는 경우
4)소프트롤로지분만
: 소프롤로지 분만의 목표는 임신기간 중 조화로운 생활과 스스로 분만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데 있습니다. 또한 모성애를 고취시켜 아기에 대한 고마움과 자신감을 갖게 해 줍니 다. 소프롤로지 분만법은 1960년대부터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서양의 근육이완법과 동 양의 요가, 불교적 요소들을 혼합한 무통분만법의 하나입니다. 소프롤로지식 분만은 영상 훈련, 호흡법, 소프롤로지 훈련 등의 세 가지 훈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임신 14주부터 영상훈련을 시작하고 임신 7~8개월이 되면 이완훈련 호흡법으로 뒷받침합니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엄마는 정신적으로 안정과 여유를 찾을 수 있고 태아는 긴장이 완화됩니다. 엄마의 호흡상태가 좋아지기 때문에 아기가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고 편안한 마음으로 세 상에 나올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영상훈련은 임신부가 임신과 출산에 대한 자신감과 밝은 사고를 가질 수 있어 정신 건강에도 매우 좋습니다. 줄 수 있는 근육이완법과 완전 호흡 법이 있습니다.
1)소프롤로지분만의 기본자세
일명 \'고양이 운동\'이라 불리는 운동의 첫 자세.
양손을 바닥에 대고 팔을 힘주어 펴고, 양 무릎을 골반 넓이로 가볍게 벌립니다. 등뼈는 똑바로 하고 허리가 꺼지지 않게 합니다. 고양이 운동의 다음 자세. 숨을 들이마시고 머 리를 숙이며 등을 둥글게 하면서 숨을 내쉽니다. 숨을 내쉬면서 등을 둥글게 하면 둔부와 회음부의 근육이 긴장하며 다시 기본 자세로 돌아가면 이완됩니다. 분만 2기에 태아를 밀 어낼 때 좋습니다.
2) 신체 파악하기 첫 자세
양손을 하복부 위에 놓고 치골 부근에서 깍지를 끼고 심호흡을 합니다. 깊게 숨을 마시면 서 머리 위에 양팔을 올리고 뻗은 팔과 몸의 길이를 각각 확인합니다. 다시 천천히 내리 면서 얼굴 모양, 목, 가슴이나 배, 양 대퇴부의 크기를 상상하여 그려보고 자신의 몸을 의 식합니다. (3회 이상 반복)
목과 목덜미 운동의 첫 자세
먼저 자유롭게 호흡하면서 머리와 목에 활력을 준 다음 머리를 좌우로 천천히 기울입니 다. 근육의 긴장과 이완, 머리의 위치 이동, 나아가 경추의 움직임을 의식합니다. 모든 신 경을 머리와 목 주위에 집중시킵니다. 서서히 머리를 숙였다가 다시 뒤로 젖힙니다. 그리 고 목을 추로 삼아 머리를 교대로 좌우로 돌린 후 목과 목덜미에 가벼운 자극을 줍니다. (3회 이상 반복)
팔의 긴장 연습 첫 자세
오른팔을 앞으로 똑바로 펴고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주먹을 쥡니다. 숨을 깊이 마시 고 팔을 굽힙니다. 숨을 멈춘 상태에서 양팔을 돌립니다. 숨이 답답해지면 팔을 앞으로 펴면서 숨을 내쉽니다. 팔을 내리고 숨을 마십니다. 오른팔의 활발해진 혈액순환의 감을 느낍니다. 양팔의 감각이 다른 것을 확인한 다음 왼팔도 같은 방식으로 합니다.
3)영상훈련
발을 두 뼘 정도 벌리고 서서 등을 편 후 편안한 상태에서 아름다운 영체를 생각하고 마 음속으로 아기와 대화를 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4)적극적 이완법
근육과 관절에 자극을 주어 근육의 긴장을 의도적으로 이완하는 방법입니다. 이완법의 방 법에는 육체 활동과 정신 활동의 조화를 이루는 영상적 이완법이 있고 호흡과 함께 하체 근육을 움직이는 좌선좌법이 있습니다. 좌선좌법을 할 때는 눈을 반쯤 뜨고 최대한 정신 을 집중해야 합니다.
5)소프롤로지분만의 장점
자율분만
영상훈련 - 이완 효과
이해하기 쉽고 친숙하다
분만 1기 장시간 소요 시 : 피로감이 거의 없다
연상으로 충분히 이완
모유 수유를 원하는 산모 증가
복식호흡: 가스 교환 효율이 좋다
제왕절개 시: 좌절감이 없다
5) 그네분만
: 네분만은 ROMA BIRTH WHEEL을 이용한 분만으로, ROMA Birth Wheel은 산모가 원하는 자세, 즉 바로선 자세, 앉은 자세, 쪼그리고 앉은 자세,
무릎을 꿇고 앉은 자세, 웅크리고
누운 자세, 앉는 부위(Seat)에 엎드린 자세, 메달린 자세 등의 다양한 자세를 취하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진통이 오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진통이 올 때마다 산모를 흔들어 주면서 분만을 할 경우 분만진행이 순조 롭고 더 편안해 집니다(미국의 서부지역의 인디언들은 담요위에 산모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