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문헌고찰
*CONDUCT DISORDER (품행장애)
A. 품행장애의 의학적 원인
B. 품행장애의 경과와 예후
C. 품행장애의 치료
Ⅱ Case Study
1.NURSING HISTORY
2.검사
3.Medication
4. 간호과정
♨ 참고 문헌
*CONDUCT DISORDER (품행장애)
A. 품행장애의 의학적 원인
B. 품행장애의 경과와 예후
C. 품행장애의 치료
Ⅱ Case Study
1.NURSING HISTORY
2.검사
3.Medication
4. 간호과정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시키려는 시도를 한다. 품행장애의 가족들은 가족 구성원끼리 서로 지지적이지 못하고 희생양이 생기거나, 한 구성원이 고립되는 경우가 많다. 다른 가족과 비교해서 서로간의 의사소통이 방어적인 경우가 많고, 주로 처벌을 사용하고 부정적이며, 상호간의 지지가 부족하다고 한다. 그러므로 상담의 주 목표는 가족 상호간의 긍정적인 재강화를 촉진시키고 명쾌한 의사소통을 확립하고, 가족들 사이에 서로 원하는 행동을 말(언어화)하는 것을 돕고, 문제발생시에 서로간에 건설적으로 타협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품행장애 청소년의 가족을 보면 부모간의 불화가 있거나, 결손가정이거나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상담 및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3. 가족 상담
매우 대처하기 힘든 자녀의 까다로운 행동을 적절하게 다루고, 충동적 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한계 설정을 할 수 있도록 부모의 의사 결정을 도와주고 조언을 해준다. 부모 자신이 겪는 정서적 어려움에 대해서도 상담을 시행한다. 기능이 떨어지는 가정의 경우 사회적 기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c) 학교에서의 중재
행동조절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개인화된 학습 프로그램과 직업교육을 시행하며, 학습과 관련된 문제를 도와주는 것이다. 특히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에서 조기에 개입이 이루어지면 향후의 품행장애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d) 지역사회에서의 중재
품행장애 청소년의 개인적 자질과 대인관계 능력을 증진시키는 또래와 같이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청소년들로 하여금 실습, 답사와 견학, 야영 수련회, 봉사 활동, 행군, 독서 프로그램, 강연회나 세미나 참석, 심리극 활동과 같은 다양한 정신 건강과 연관된 수련 활동을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러한 활동은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고 반사회적 행동을 감소시켜 준다고 생각된다.
요약한다면, 품행장애의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아동이나 청소년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아 주는 식으로 공감적으로 상대방을 이해해 주고, 청소년 스스로에게 변화를 위한 동기를 부여해 주는 것이다. 환경적으로 일관성 있는 규칙을 정하여 다양한 문제 행동을 조정하도록 해주고, 따뜻한 환경 내에서 적절한 사랑과 관용을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제공함으로써 내적 억제력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회복하며, 새로운 적응 기술을 획득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D.품행장애(Conduct disorder)의 진단기준
a. 다른 사람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고 나이에 맞는 사회 규범 및 규칙을 위반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으로서, 다음 항목 가운데 3개 이상 항목이 지난 12개월 동안 있어 왔고, 적어도 1개 항목이 지난 6개월 동안 있어 왔다.
<사람과 동물에 대한 공격성>
흔히 다른 사람을 괴롭히거나, 위협하거나, 협박한다.
흔히 육체적인 싸움을 도발한다.
다른 사람에게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무기를 사용한다 (예: 곤봉, 벽돌, 깨진 병, 칼 또는 총).
사람에게 신체적으로 잔혹하게 대한다.
동물에게 신체적으로 잔혹하게 대한다.
피해자와 대면한 상태에서 도둑질을 한다 (예: 노상 강도, 날치기, 강탈, 무장 강도).
다른 사람에게 성적 행위를 강요한다.
<재산의 파괴>
심각한 손상을 입히려는 의도로 일부러 불을 지른다.
다른 사람의 재산을 일부러 파괴한다 (방화는 제외).
다른 사람의 집, 건물, 차를 파괴한다.
<사기 또는 도둑질>
물건이나 호감을 얻기 위해, 또는 의무를 피하기 위해 거짓말을 흔히 한다 (예: 다른 사람을 속인다).
피해자와 대면하지 않은 상황에서 귀중품을 훔친다(예: 파괴와 침입이 없는 도둑질, 문서 위조).
<심각한 규칙 위반>
13세 이전에 부모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밤늦게 까지 집에 들어오지 않는다.
친부모 또는 양부모와 같이 사는 동안 적어도 2번 가출한다 (또는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는 1번의 가출).
13세 이전에 시작되는 무단 결석.
B.행동의 장해가 사회적, 학업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임상적으로 심각한 장해를 일으킨다.
c.18세 이상일 경우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진단 기준에 맞지 않아야 한다.
유형
소아기 발병형: 10세 이전에 품행장애 특유의 진단 기준 가운데 적어도 1가지가 발생한 경우
청소년기 발병형: 10세 이전에는 품행장애의 어떠한 진단 기준도 충족시키지 않는다.
심각도
가벼운 정도: 진단을 내리기 위해 요구되는 정도를 초과하여 나타나는 문제가 매우 적고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단지 가벼운 해를 끼친다.(예: 거짓말, 무단결석, 허락 없이 밤늦게 까지 집에 들어가지 않는 것)
중간 정도: 품행 문제의 수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영향의 정도가 가벼운 정도와 심한 정도의 중간이다.(예: 피해자와 대면하지 않는 상황에서 도둑질하기, 기물 파괴하기)
심한 정도: 진단을 내리기 위해 요구되는 정도를 초과하여 나타나는 품행 문제가 많거나 또는 다른 사람에게 심각한 해를 끼친다.(예: 성적 강요, 신체적 잔혹함, 무기 사용, 피해자와 대면한 상황에서 도둑질, 파괴와 침입)
Ⅱ Case Study
1.NURSING HISTORY
1. 입원정보
·이름 : 박 ○ ○
·나이/성별 : 16/M
·병실 : 4병동(08. 2. 4일에 7병동으로 transfer)
·입원일 : 2007년 12월 18일
·입원횟수(본병원) : 1st adm
·Education : 중학생
·Occupation : 학생
·Informants : pt\' 어머니(본원 7층 adm 중인 Alc pt)
·Reason for admission
- 초등학교 입학 후 pt는 수업시간에 눈동자로 물건을 따라 그리는 모습 있어 담임선생이 pt\'s 어머니에게 틱 증상인 것 같으니 병원진료 받아보라고 권했으나, pt\'s 어머니는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고 함.
- 초등 3학년(2002년) pt\'s 부모 이혼 후 pt는 어머니, 누나와 함께 살았고, 어머니가 하루 종일 술에 절어 지내며 집안일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 pt는 라면으로 끼니를 때 우며 지냈다고 함
- 이후 pt는 상기 증상이 더 심해
3. 가족 상담
매우 대처하기 힘든 자녀의 까다로운 행동을 적절하게 다루고, 충동적 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한계 설정을 할 수 있도록 부모의 의사 결정을 도와주고 조언을 해준다. 부모 자신이 겪는 정서적 어려움에 대해서도 상담을 시행한다. 기능이 떨어지는 가정의 경우 사회적 기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c) 학교에서의 중재
행동조절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개인화된 학습 프로그램과 직업교육을 시행하며, 학습과 관련된 문제를 도와주는 것이다. 특히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에서 조기에 개입이 이루어지면 향후의 품행장애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d) 지역사회에서의 중재
품행장애 청소년의 개인적 자질과 대인관계 능력을 증진시키는 또래와 같이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청소년들로 하여금 실습, 답사와 견학, 야영 수련회, 봉사 활동, 행군, 독서 프로그램, 강연회나 세미나 참석, 심리극 활동과 같은 다양한 정신 건강과 연관된 수련 활동을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러한 활동은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고 반사회적 행동을 감소시켜 준다고 생각된다.
요약한다면, 품행장애의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아동이나 청소년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아 주는 식으로 공감적으로 상대방을 이해해 주고, 청소년 스스로에게 변화를 위한 동기를 부여해 주는 것이다. 환경적으로 일관성 있는 규칙을 정하여 다양한 문제 행동을 조정하도록 해주고, 따뜻한 환경 내에서 적절한 사랑과 관용을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제공함으로써 내적 억제력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회복하며, 새로운 적응 기술을 획득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D.품행장애(Conduct disorder)의 진단기준
a. 다른 사람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고 나이에 맞는 사회 규범 및 규칙을 위반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으로서, 다음 항목 가운데 3개 이상 항목이 지난 12개월 동안 있어 왔고, 적어도 1개 항목이 지난 6개월 동안 있어 왔다.
<사람과 동물에 대한 공격성>
흔히 다른 사람을 괴롭히거나, 위협하거나, 협박한다.
흔히 육체적인 싸움을 도발한다.
다른 사람에게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무기를 사용한다 (예: 곤봉, 벽돌, 깨진 병, 칼 또는 총).
사람에게 신체적으로 잔혹하게 대한다.
동물에게 신체적으로 잔혹하게 대한다.
피해자와 대면한 상태에서 도둑질을 한다 (예: 노상 강도, 날치기, 강탈, 무장 강도).
다른 사람에게 성적 행위를 강요한다.
<재산의 파괴>
심각한 손상을 입히려는 의도로 일부러 불을 지른다.
다른 사람의 재산을 일부러 파괴한다 (방화는 제외).
다른 사람의 집, 건물, 차를 파괴한다.
<사기 또는 도둑질>
물건이나 호감을 얻기 위해, 또는 의무를 피하기 위해 거짓말을 흔히 한다 (예: 다른 사람을 속인다).
피해자와 대면하지 않은 상황에서 귀중품을 훔친다(예: 파괴와 침입이 없는 도둑질, 문서 위조).
<심각한 규칙 위반>
13세 이전에 부모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밤늦게 까지 집에 들어오지 않는다.
친부모 또는 양부모와 같이 사는 동안 적어도 2번 가출한다 (또는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는 1번의 가출).
13세 이전에 시작되는 무단 결석.
B.행동의 장해가 사회적, 학업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임상적으로 심각한 장해를 일으킨다.
c.18세 이상일 경우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진단 기준에 맞지 않아야 한다.
유형
소아기 발병형: 10세 이전에 품행장애 특유의 진단 기준 가운데 적어도 1가지가 발생한 경우
청소년기 발병형: 10세 이전에는 품행장애의 어떠한 진단 기준도 충족시키지 않는다.
심각도
가벼운 정도: 진단을 내리기 위해 요구되는 정도를 초과하여 나타나는 문제가 매우 적고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단지 가벼운 해를 끼친다.(예: 거짓말, 무단결석, 허락 없이 밤늦게 까지 집에 들어가지 않는 것)
중간 정도: 품행 문제의 수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영향의 정도가 가벼운 정도와 심한 정도의 중간이다.(예: 피해자와 대면하지 않는 상황에서 도둑질하기, 기물 파괴하기)
심한 정도: 진단을 내리기 위해 요구되는 정도를 초과하여 나타나는 품행 문제가 많거나 또는 다른 사람에게 심각한 해를 끼친다.(예: 성적 강요, 신체적 잔혹함, 무기 사용, 피해자와 대면한 상황에서 도둑질, 파괴와 침입)
Ⅱ Case Study
1.NURSING HISTORY
1. 입원정보
·이름 : 박 ○ ○
·나이/성별 : 16/M
·병실 : 4병동(08. 2. 4일에 7병동으로 transfer)
·입원일 : 2007년 12월 18일
·입원횟수(본병원) : 1st adm
·Education : 중학생
·Occupation : 학생
·Informants : pt\' 어머니(본원 7층 adm 중인 Alc pt)
·Reason for admission
- 초등학교 입학 후 pt는 수업시간에 눈동자로 물건을 따라 그리는 모습 있어 담임선생이 pt\'s 어머니에게 틱 증상인 것 같으니 병원진료 받아보라고 권했으나, pt\'s 어머니는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고 함.
- 초등 3학년(2002년) pt\'s 부모 이혼 후 pt는 어머니, 누나와 함께 살았고, 어머니가 하루 종일 술에 절어 지내며 집안일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 pt는 라면으로 끼니를 때 우며 지냈다고 함
- 이후 pt는 상기 증상이 더 심해
키워드
추천자료
(특수교육)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의 정의와 특성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교육학] 기분장애(Mood Disorder)
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ren Disintegrative Disorder)에 대한 연구
반사회적 성격 장애에 대한 검토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정신 분열성 성격 장애에 대한 검토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편집성 성격 장애에 대한 검토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MDD (major depressive disorder) 주요우울장애 케이스 스터디
연극성 성격장애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PPT자료
[정신건강론]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정...
정신간호학케이스(Bipolar affective disorder(양극성정동장애))
[원서번역] 7장.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Samuel M. Turner, Deborah C. Be...
[간호학] 수면장애 - Sleep Disord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