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어미의 특징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Ⅲ. 국어 의문어미
1. 중세 국어 의문어미의 특징
2. 근대 국어 의문 어미의 특징
3. 의문 어미의 변천

Ⅳ. 국어 약속어미

Ⅴ. 국어 연결어미

Ⅵ. 국어 명령어미

Ⅶ. 국어 부사형어미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
Ⅰ. 국어 어미의 특징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Ⅲ. 국어 의문어미
1. 중세 국어 의문어미의 특징
2. 근대 국어 의문 어미의 특징
3. 의문 어미의 변천
Ⅳ. 국어 약속어미
Ⅴ. 국어 연결어미
Ⅵ. 국어 명령어미
Ⅶ. 국어 부사형어미
참고문헌
Ⅰ. 국어 어미의 특징
조사가 명사에 결합하여 명사구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듯이 어미도 술어에 결합하여 절이 전체 문장 속에서 담당하는 문법적 기능을 드러낸다. 한국어의 통사 특성을 밝히는 데 있어서 어미 체계는 매우 중요하며, 제반 통사 현상을 설명하는 기제로서 어미의 특성이 연구될 수 있다. 우선, 어미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1)선어말어미(비종결어미)
(2)어말어미(종결어미)
접속어미
내포어미
의향어미(문장종결어미)
이들 어미가 보여주는 통사적 현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절 내에서 일어나는 통사적 현상이고, 하나는 절을 넘어서서 일어나는 통사적 현상이다.
(3)절 내부의 통사적 현상: 어미가 자신이 지배하는 성분과 보이는 일치/제약
(4)절 사이의 통사적 현상: 어미가 절을 넘어서 다른 어미와 가지는 위계 관계
절 내부의 통사적 현상에는 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가 모두 관여한다. 어말어미는 모두 구, 절, 문장의 경계가 될 수 있지만 선어말 어미는 통사적인 단위의 경계가 되지 못 한다. 따라서 경계를 넘어서는, 어미들 사이의 통사적 위계 관계를 논의할 때는 어말어미만이 그 분석 대상이 된다.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용언 어간과 어미 결합에서의 모음조화는 후행 어미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모음조화에 관여하는 어미를 매개모음 ‘/으’의 짝을 가지는 어미, ‘-아/어’계 어미, ‘-오/우’계 어미로 나누어 각각의 시현 양상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1)양모음 어간 + ()계 어미(나니, 안니라, 마며, 닷샤, 고, 나,···)
양모음 어간 + (으)계 어미(두프니, 수므니라, 드르며, 업스샤, 기픈, 머글,···)
위의 (1)의 유형에서 유일한 예외는 ‘연면’<9:21b> 하나밖에 찾지 못했다. 체언와 격조사의 모음조화에서 보았던 ‘녀론’과 동궤의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공시적으로 중립모음 ‘j’를 설정하면 예외에서 벗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아/어’계 어미를 보기로 한다.
(2)양모음 어간 + ‘아’계 어미(모도아, 자바, 아라, ,···)
음모음 어간 + ‘어’계 어미(거러, 러, 드러, 무러늘,···)
여기에서의 예외는 ‘ㅕ’어간에만 한정되어 나타난다. 펴아<6:6a>, 혀아<9:35a>, 아<9:8a>, 셔아<11:29b>, 연자<24:51a>. 이러한 용례는 월인천강지곡과 훈민정음언해, 월인석보에서도 나타난다. 그러나 월인천강지곡의 경우는 달리 해석할 여지도 있다. ‘일버’<기3>, 업사<기124>, 드라<기49>, 우<기168>등과 같이 음모음 아래에서도 어미 ‘-아’를 취하는 용례가 상당수 발견되기 때문이다. 석보상절에서 이들 어간 뒤에 ‘-어’가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펴엣던<6:2a>, 셔엣더니<23:17b>. 결국 ‘-아/어’계 어미의 모음조화는 문헌에 따라, 또는 어간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다음은 ‘오/우’계 어미의 경우이다.
(3)양모음 어간 + ‘오’계 어미(초니, 닐오, 무로, 아로미, 닷고,···)
음모음 어간 + ‘우’계 어미(업수니, 늘구, 지려, 드루미, 머구믈,···)
위의 (3)이 유형에서 예외는 음모음어간에만 한정되어 나타난다. 사실 정음 초기문헌에서의 모음조화 반칙례들은 ‘양모음어간+음모음어미’가 아니라 ‘음모음어간+양모음어미’의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들 반칙례는 다음의 세 가지 환경에서만 수의적으로 나타난다.
① 어간 말음이 ‘우’인 경우 : 겻구오리라<6:27b>, 오니<23:27a>, 일우오라<23:13b>. 같은 환경에서 모음조화에 맞는 형태도 공존한다. :디라도<9:12a>, 우니<월1:17a>.
② 일부 ㄷ변격동사 : 무로(問)<6:14b>, 무로리라<13:15b>, 드로(聞)<6:10b>, 드로<19:10b>, 드로미<19:18a>, 드론<19:2a>. 모음조화에 맞는 형태도 함께 제시한다. 드룬<19:8b>, 드룸<6:28b주>, 드루미<13:18b>; 거룸만(步)<6:20a>.
③ 일부 ㄹ 어간 : 가며로<9:23b>, 버로미<20:42a>, 거스로미<11:43a>, 더로리라<11:19b>. 모음조화에 맞는 예도 많이 보인다. 가며루미<6:15a>, 느룸과(優) <19:10a주>, (여름)여루미<13:33a주>, 허루미(毁)<19:16a주>, 머루미(遠)<23:39b>, 범그룸과<13:38b주>.
이제부터는 용언 어간의 말음이 ‘ㅣ’인 경우와 하향이중모음인 경우의 모음조화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모든 i 어간과 핵모음이 음모음인 j어간은 원칙적으로 음모음계 어미를 취한다. 어간별로 하나씩의 용례만을 보이기로 한다.
(4) ‘i, j어간 + 매개모음어미’의 모음조화
구지즈며<13:22a>, 기르신(長)<19:38b주>, 기픈<9:13b>, 깃글씨라(喜)<13:13a주>, 니그면(熟)<13:41a>, 니르샤(起)<9:29a>, 니블(被)<9:8b>, 니즈니(忘)<6:19b>, 닐그며<19:8a>, 두리(恐)<9:36a>,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4.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