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기본개념
1. 생활문
2. 생활문의 짜임
Ⅲ.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내용
Ⅳ.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사례와 방법
1. 자기가 겪은 것을 써야 한다
1) 예문1
2) 예문2
2. 글감을 하나만 골라서 써야 한다
3. 글머리를 자연스럽게 시작한다
1) 사건이 일어난 시간이나 날짜, 장소를 쓴다
2) 관심을 끄는 소리나 대화를 쓴다
3) 본일, 들은 일, 한 일을 쓴다
4) 생각이나 느낌을 먼저 쓴다
5) 설명을 한다
6) 인용으로 시작하여 쓴다
7) 주장으로 시작하여 쓴다
4. 대화를 통해서 자세히 쓴다
5. 개요를 짜서 글을 쓴다
Ⅴ.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수업모형
1. 수업 전
2. 본 수업
3. 수업 후
4. 평가
Ⅵ.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개선 과제
1. 생활문을 잘 쓰려면
2. 생활문을 다듬을 때 주의할 점
3. 생활문의 각 부분 풀어 쓰기
1) 첫머리 시작하기
2) 가운데 부분 풀어 쓰기
3) 끝 부분 풀어 쓰기
Ⅶ.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평가
참고문헌
Ⅱ.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기본개념
1. 생활문
2. 생활문의 짜임
Ⅲ.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내용
Ⅳ.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사례와 방법
1. 자기가 겪은 것을 써야 한다
1) 예문1
2) 예문2
2. 글감을 하나만 골라서 써야 한다
3. 글머리를 자연스럽게 시작한다
1) 사건이 일어난 시간이나 날짜, 장소를 쓴다
2) 관심을 끄는 소리나 대화를 쓴다
3) 본일, 들은 일, 한 일을 쓴다
4) 생각이나 느낌을 먼저 쓴다
5) 설명을 한다
6) 인용으로 시작하여 쓴다
7) 주장으로 시작하여 쓴다
4. 대화를 통해서 자세히 쓴다
5. 개요를 짜서 글을 쓴다
Ⅴ.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수업모형
1. 수업 전
2. 본 수업
3. 수업 후
4. 평가
Ⅵ.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개선 과제
1. 생활문을 잘 쓰려면
2. 생활문을 다듬을 때 주의할 점
3. 생활문의 각 부분 풀어 쓰기
1) 첫머리 시작하기
2) 가운데 부분 풀어 쓰기
3) 끝 부분 풀어 쓰기
Ⅶ.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상을 곁들여 쓴 글이다.
2. 생활문의 짜임
처음글, 중심글, 맺음글(발단, 전개, 고비, 결말)
Ⅲ.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내용
(1) 삽화를 보고 내용을 예견하도록 한다.
(2) 글을 읽고 짜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가) 일어난 일을 시간의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한다.
(나) 몇 개의 문단으로 나누도록 한다.
(다) 장소나 시간별로 나누도록 한다.
(라) 문단의 중심말을 찾아 메모하도록 한다.
(마) 짜임표를 만들어 보도록 한다.
(3) 대강의 줄거리를 간추려 이해하도록 한다.
(가) 일이 일어난 순서도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인공이 한 일 본 일 들은 일 느낀 일 생각한 일
시작 펼침 끝맺음
(나) 작성한 순서도의 내용으로 대강의 줄거리를 간추리도록 한다.
(다) 간추려 정리한 대강의 줄거리를 발표하도록 한다.
(4) 누가, 무엇을, 왜 하였는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일어난 일의 원인 알기)
(5) 사실, 의견, 느낌을 표현한 부분을 구별하여 찾도록 한다.
(6) 글감과 중심 생각을 알도록 한다.
(가) 가장 중요하게 등장한 글감은 무엇인가?
(나) 지은이가 나타내고자 하는 중심 생각은 무엇인가?
(7) 글의 내용과 자신의 경험을 관련짓도록 한다.
(가) 글과 관련지어 자신의 경험을 말하도록 한다.
(나) 글의 내용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말하도록 한다.
Ⅳ.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사례와 방법
1. 자기가 겪은 것을 써야 한다
자기가 경험한 일을 감동적으로 써야 좋은 글이 될 수 있다. 경험한 일을 설명적으로 쓰면 좋은 글이 될 수 없다.
1) 예문1
우리 아버지
우리 아버지는 순하십니다. 아버지는 언제나 우리들과 놀아 주십니다. 그런데 화가 나실 때는 무섭습니다. 그래도 화가 풀리시면 가족을 데리고 음식점에도 가십니다.
(이하생략)
이런 글은 발전성이 없다. 아버지를 설명적으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 예문을 보면 비교가 될 것이다.
2) 예문2
우리 아버지
오후에 온 가족이 앞개울로 나들이를 갔습니다.
“오늘은 아버지날이다! 내가 음식을 만든다.”
아버지는 밥을 지으시고 찌개를 끊였습니다. 그런데 밥이 설어서 가족들이 밥타령을 하였습니다.
“미안, 미안. 그러고 보니 엄마 솜씨를 알아주어야겠구나!”
가족들은 엄마가 얼마나 애쓰시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아버지 때문에 어머니는 싱글벙글 웃기만 하셨습니다.
(이하생략)
이 글은 생활 경험을 썼기 때문에 생동감이 있다. 사건을 통해서 아버지를 이해하게 된다.
2. 글감을 하나만 골라서 써야 한다
4학년 교실에 가서 ‘지난 일요일’이란 제목을 주고 글을 쓰게 하면 글감을 많이 쓰는 글이 나온다. 아이들은 중요한 사건을 모두 쓰려고 한다.
<예문>
지난 일요일
① 아침을 먹고 나서 동화책을 읽었습니다. 아버지가 사다 주신 ‘일곱 난쟁이’입니다. 이 책을 읽고 요일이 생긴 까닭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② 오후에 영주와 현주가 놀러 왔습니다. 우리 셋은 소꿉놀이를 하였습니다.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그래서 시간 가는 줄도 몰랐습니다.
③ 저녁 때 부산에 사는 이모가 오셨습니다. 일 년 만에 오신 이모가 예쁜 인형을 사오셨습니다.
④ 밤에는 주말 연속극을 보았습니다. 주인공이 너무 불쌍해서 우리 가정은 모두들 웃었습니다.
읽어 보면 그럴 듯하지만 ‘글짓기 요령’으로 보아서 나쁜 글이다.
네 가지 글감을 썼는데 ‘지난 일요일’이란 제목을 바꾸라고 하면 무슨 제목을 쓸지 모른다. 이런 글을 과감하게 하나만 남겨 놓고 나머지 셋을 버려야 한다.
‘봄 소풍’, ‘가을 소풍’에 대한 글짓기를 하면 모두 이런 글이 나온다. 소풍날 아침 이야기, 소풍 가는 길 이야기, 보물찾기 이야기, 점심시간 이야기, 오락시간 이야기, 자유시간 이야기, 돌아오는 이야기들이 차례로 나열된다. 이건 소풍 기록문이지 소풍에 대한 글짓기가 아니다. 학급 어린이 45명의 글짓기가 거의 같다. 개성이 없는 것이다.
“가장 인상 깊었던 일 하나를 잡아야 해, 무엇이 있어?”
“자유시간에 다람쥐 잡다가 바지를 찢은 이야기를 쓸까요?”
“바로 그거야! 그건 너만의 체험한 이야기야, 그러니까 아무도 네 글을 흉내 내지 못하지!”
바로 겪은 일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일을 써야 생동감 있고 새롭고 좋은 글이 될 수 있다.
<(연습) 내가 몹시 기뻤던 일>
글감
① 언제 어디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가?
② 그 때의 심정은 어떠했는가?
③ 그 날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가?
④ 그 일에 관계된 사람은 누구누구인가?
중심 생각
⑤ 그 때 특별히 느꼈거나 생각한 것은 무엇인가?
3. 글머리를 자연스럽게 시작한다
1) 사건이 일어난 시간이나 날짜, 장소를 쓴다
예) 며칠 전에 있었던 일이었다.
지난 가을에 나는......
점심시간이었다.
오늘 둘째 시간에 산수 시험을 보았다.
경희 앞자리에서 시험을 보았다.
2) 관심을 끄는 소리나 대화를 쓴다
예) “띵동 띵동”
드디어 둘째 시간이 시작되는 벨이 울렸다.
“어서 언니한테 사과하지 못하겠니.”
아버지께서 불벼락을 내리시자 나는 입을 꽉 다문 채 눈물만 뚝뚝 흘렸다.
3) 본일, 들은 일, 한 일을 쓴다
예) 눈이 내리고 있었다.
코스모스 꽃이 핀 오솔길, 빨간 잠자리 한 마리가 날아와 내 어깨 위에 앉았다.
4) 생각이나 느낌을 먼저 쓴다
예) 오늘 따라 어쩐지 우울한 생각이 들었다.
5) 설명을 한다
예) 언니가 감기에 걸렸다.
우리 반 아이들은 쉬는 시간에 공기놀이를 한다.
산은 산봉우리, 산등성이, 골짜기로 이루어진다.
6) 인용으로 시작하여 쓴다
예)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라고 하였는데, 아침 일찍 감나무 꼭대기에서 까치가 울어댔다.
7) 주장으로 시작하여 쓴다
예) 질서는 양보하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4. 대화를 통해서 자세히 쓴다
글을 자세히 쓰려면 학부모나 선생님이 아동과 대화를 통해서 글을 쓰면 더욱 좋은 글 을 쓸 수 있다.
T.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요? S. 강아지 한 마리와, 참새 두 마리, 까치 한 마리입니다. 그리고 밥그릇에 밥이 남아 있습니다.
T. 강아지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나요? S. 강아지는 참새와 까치가 밥그릇에 남아있는 밥을
2. 생활문의 짜임
처음글, 중심글, 맺음글(발단, 전개, 고비, 결말)
Ⅲ.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내용
(1) 삽화를 보고 내용을 예견하도록 한다.
(2) 글을 읽고 짜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가) 일어난 일을 시간의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한다.
(나) 몇 개의 문단으로 나누도록 한다.
(다) 장소나 시간별로 나누도록 한다.
(라) 문단의 중심말을 찾아 메모하도록 한다.
(마) 짜임표를 만들어 보도록 한다.
(3) 대강의 줄거리를 간추려 이해하도록 한다.
(가) 일이 일어난 순서도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인공이 한 일 본 일 들은 일 느낀 일 생각한 일
시작 펼침 끝맺음
(나) 작성한 순서도의 내용으로 대강의 줄거리를 간추리도록 한다.
(다) 간추려 정리한 대강의 줄거리를 발표하도록 한다.
(4) 누가, 무엇을, 왜 하였는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일어난 일의 원인 알기)
(5) 사실, 의견, 느낌을 표현한 부분을 구별하여 찾도록 한다.
(6) 글감과 중심 생각을 알도록 한다.
(가) 가장 중요하게 등장한 글감은 무엇인가?
(나) 지은이가 나타내고자 하는 중심 생각은 무엇인가?
(7) 글의 내용과 자신의 경험을 관련짓도록 한다.
(가) 글과 관련지어 자신의 경험을 말하도록 한다.
(나) 글의 내용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말하도록 한다.
Ⅳ.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지도)의 사례와 방법
1. 자기가 겪은 것을 써야 한다
자기가 경험한 일을 감동적으로 써야 좋은 글이 될 수 있다. 경험한 일을 설명적으로 쓰면 좋은 글이 될 수 없다.
1) 예문1
우리 아버지
우리 아버지는 순하십니다. 아버지는 언제나 우리들과 놀아 주십니다. 그런데 화가 나실 때는 무섭습니다. 그래도 화가 풀리시면 가족을 데리고 음식점에도 가십니다.
(이하생략)
이런 글은 발전성이 없다. 아버지를 설명적으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 예문을 보면 비교가 될 것이다.
2) 예문2
우리 아버지
오후에 온 가족이 앞개울로 나들이를 갔습니다.
“오늘은 아버지날이다! 내가 음식을 만든다.”
아버지는 밥을 지으시고 찌개를 끊였습니다. 그런데 밥이 설어서 가족들이 밥타령을 하였습니다.
“미안, 미안. 그러고 보니 엄마 솜씨를 알아주어야겠구나!”
가족들은 엄마가 얼마나 애쓰시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아버지 때문에 어머니는 싱글벙글 웃기만 하셨습니다.
(이하생략)
이 글은 생활 경험을 썼기 때문에 생동감이 있다. 사건을 통해서 아버지를 이해하게 된다.
2. 글감을 하나만 골라서 써야 한다
4학년 교실에 가서 ‘지난 일요일’이란 제목을 주고 글을 쓰게 하면 글감을 많이 쓰는 글이 나온다. 아이들은 중요한 사건을 모두 쓰려고 한다.
<예문>
지난 일요일
① 아침을 먹고 나서 동화책을 읽었습니다. 아버지가 사다 주신 ‘일곱 난쟁이’입니다. 이 책을 읽고 요일이 생긴 까닭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② 오후에 영주와 현주가 놀러 왔습니다. 우리 셋은 소꿉놀이를 하였습니다.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그래서 시간 가는 줄도 몰랐습니다.
③ 저녁 때 부산에 사는 이모가 오셨습니다. 일 년 만에 오신 이모가 예쁜 인형을 사오셨습니다.
④ 밤에는 주말 연속극을 보았습니다. 주인공이 너무 불쌍해서 우리 가정은 모두들 웃었습니다.
읽어 보면 그럴 듯하지만 ‘글짓기 요령’으로 보아서 나쁜 글이다.
네 가지 글감을 썼는데 ‘지난 일요일’이란 제목을 바꾸라고 하면 무슨 제목을 쓸지 모른다. 이런 글을 과감하게 하나만 남겨 놓고 나머지 셋을 버려야 한다.
‘봄 소풍’, ‘가을 소풍’에 대한 글짓기를 하면 모두 이런 글이 나온다. 소풍날 아침 이야기, 소풍 가는 길 이야기, 보물찾기 이야기, 점심시간 이야기, 오락시간 이야기, 자유시간 이야기, 돌아오는 이야기들이 차례로 나열된다. 이건 소풍 기록문이지 소풍에 대한 글짓기가 아니다. 학급 어린이 45명의 글짓기가 거의 같다. 개성이 없는 것이다.
“가장 인상 깊었던 일 하나를 잡아야 해, 무엇이 있어?”
“자유시간에 다람쥐 잡다가 바지를 찢은 이야기를 쓸까요?”
“바로 그거야! 그건 너만의 체험한 이야기야, 그러니까 아무도 네 글을 흉내 내지 못하지!”
바로 겪은 일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일을 써야 생동감 있고 새롭고 좋은 글이 될 수 있다.
<(연습) 내가 몹시 기뻤던 일>
글감
① 언제 어디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가?
② 그 때의 심정은 어떠했는가?
③ 그 날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가?
④ 그 일에 관계된 사람은 누구누구인가?
중심 생각
⑤ 그 때 특별히 느꼈거나 생각한 것은 무엇인가?
3. 글머리를 자연스럽게 시작한다
1) 사건이 일어난 시간이나 날짜, 장소를 쓴다
예) 며칠 전에 있었던 일이었다.
지난 가을에 나는......
점심시간이었다.
오늘 둘째 시간에 산수 시험을 보았다.
경희 앞자리에서 시험을 보았다.
2) 관심을 끄는 소리나 대화를 쓴다
예) “띵동 띵동”
드디어 둘째 시간이 시작되는 벨이 울렸다.
“어서 언니한테 사과하지 못하겠니.”
아버지께서 불벼락을 내리시자 나는 입을 꽉 다문 채 눈물만 뚝뚝 흘렸다.
3) 본일, 들은 일, 한 일을 쓴다
예) 눈이 내리고 있었다.
코스모스 꽃이 핀 오솔길, 빨간 잠자리 한 마리가 날아와 내 어깨 위에 앉았다.
4) 생각이나 느낌을 먼저 쓴다
예) 오늘 따라 어쩐지 우울한 생각이 들었다.
5) 설명을 한다
예) 언니가 감기에 걸렸다.
우리 반 아이들은 쉬는 시간에 공기놀이를 한다.
산은 산봉우리, 산등성이, 골짜기로 이루어진다.
6) 인용으로 시작하여 쓴다
예)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라고 하였는데, 아침 일찍 감나무 꼭대기에서 까치가 울어댔다.
7) 주장으로 시작하여 쓴다
예) 질서는 양보하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4. 대화를 통해서 자세히 쓴다
글을 자세히 쓰려면 학부모나 선생님이 아동과 대화를 통해서 글을 쓰면 더욱 좋은 글 을 쓸 수 있다.
T.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요? S. 강아지 한 마리와, 참새 두 마리, 까치 한 마리입니다. 그리고 밥그릇에 밥이 남아 있습니다.
T. 강아지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나요? S. 강아지는 참새와 까치가 밥그릇에 남아있는 밥을
추천자료
[일기쓰기][일기][일기쓰기(일기) 사례]일기쓰기(일기)의 유형, 일기쓰기(일기)의 시작, 일기...
[일기][일기쓰기]일기쓰기(일기)의 필요성, 일기쓰기(일기)의 요령, 일기쓰기(일기)의 지도법...
[일기]일기(일기쓰기)의 종류, 일기(일기쓰기)의 중요성, 일기(일기쓰기)의 지도 방법, 연상...
[일기][일기쓰기][일기지도][일기쓰기지도]일기(일기쓰기) 목적, 일기(일기쓰기) 종류와 일기...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쓰기학습) 정의, 생활문쓰기지도(생활문쓰기학습) 과정, 생활문쓰기지...
[글쓰기][생활문][설명문][기행문][전기문][논설문]글쓰기 생활문(생활문쓰기), 글쓰기 설명...
생활문지도(생활문쓰기지도)의 배경과 실태, 생활문지도(생활문쓰기지도)의 절차, 생활문지도...
설명문쓰기(설명문 쓰는 방법, 글쓰기), 생활문쓰기(생활문 쓰는 방법, 글쓰기), 논설문쓰기(...
[학습지도][교수학습지도][수업지도][교육지도][지도]쓰기교육 학습지도, 말하기교육 학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