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쓰기][일기][일기쓰기(일기) 사례]일기쓰기(일기)의 유형, 일기쓰기(일기)의 시작, 일기쓰기(일기)의 글감 잡기, 일기쓰기(일기)의 올바른 지도법, 다양한 일기쓰기(일기) 사례(일기쓰기(일기) 예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기쓰기][일기][일기쓰기(일기) 사례]일기쓰기(일기)의 유형, 일기쓰기(일기)의 시작, 일기쓰기(일기)의 글감 잡기, 일기쓰기(일기)의 올바른 지도법, 다양한 일기쓰기(일기) 사례(일기쓰기(일기) 예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일기쓰기(일기)의 유형
1. 내용에 따른 유형
1) 사색 일기
2) 관찰 일기
3) 독서 일기
4) 작업 일기
5) 사육 일기
6) 재배 일기
7) 여행 일기
2. 형식에 따른 유형
1) 그림 일기
2) 생활문 일기
3) 동시 일기
4) 독서 감상문 일기
5) 편지글 일기
6) 기행문 일기

Ⅲ. 일기쓰기(일기)의 시작
1. 처음, 말로 쓰는 일기
2. 둘, 짧은 글 짓기
3. 일기는 초등1학년 7월쯤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
4. 표본일기 보여주기
5. 꼭 알아야 할 일

Ⅳ. 일기쓰기(일기)의 글감 잡기

Ⅴ. 일기쓰기(일기)의 올바른 지도법

Ⅵ. 일기쓰기(일기) 사례 1

Ⅶ. 일기쓰기(일기) 사례 2

Ⅷ. 일기쓰기(일기) 사례 3

Ⅸ. 일기쓰기(일기) 사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잘 모르는 글자는 동그라미를 하고 그 안에 아는 대로 쓴다.
(5) 언제 어디서 있었던 일인지 밝혀 쓰며 궁금증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세하게 쓴다.
(6) 일기 쓰기의 가장 좋은 때는 잠자기 전보다 어떤 일을 겪은 바로 뒤에 쓰는 것이 가장 좋다. 그리고 시간이 넉넉해야한다.
(7) 일기 끝에 쓰기 시작한 시간과 끝난 시간을 쓰도록 한다.
(8) 적어도 30분은 앉아서 쓰도록 한다.
Ⅳ. 일기쓰기(일기)의 글감 잡기
일기를 쓸 때 제일 어려운 것이 글감잡기이다.
매일 반복되는 비슷한 생활 속에서 일기장을 잡으면 쓸 게 없다. 매일 똑같다라는 생각만 든다. 그러나 일기는 매일 반복되는 일 속에서도 조금 다른 생각을 갖게 한 것으로 글감을 잡아야 한다. 예를 들면 매일 메고 가는 가방도 어느 날 무겁게 느껴졌다든지, 매일 보는 만화영화이지만 오늘 특히 재미있거나 기억에 남는다든지, 매일 자는 잠이지만 오늘은 꿈을 꾸었다든지 등이다.
어쩌다 한 번씩하는 운동회, 소풍과 같은 글감은 쓰기는 쉽지만 매일 하는 일은 아니다. 일기의 글감은 매일 하는 일 중에서 골라보는 것이 좋다.
(1) 내가 한 일(겪은 일) -준비물 아침에 챙긴다고 엄마께 꾸중 들은 것 등
(2) 본 일 - 친구들이 싸우는 것, 길을 건너는데 차가 횡단보도를 그냥 지나가는 것 등
(3) 들은 일 - 뉴스에 난 교통 사고 소식, 전학 간 친했던 친구 소식 등
(4) 느끼고 생각한 일 - 책을 읽고 느끼고 생각한 것, 일기에 대한 나의 생각 등
(5) 알리고 싶은 일 - 우리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 내가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물건 등
(6) 주장하고 싶은 일 - 휴가 갈 때 가지고 간 종이컵, 나무젓가락을 보고 - 일회용품을 쓰지 말자
(7) 내가 바라는 일 - 엄마, 학원 적게 다니게 해주세요. 선생님, 숙제가 너무 많아요. 등
(8) 그 밖의 것들
○ 시간에 따라 - 아침에 눈 뜰 때부터 학교에 가기 위해 집을 나설 때까지 있었던 일 등
○ 장소에 따라 - 집에서, 학교에서, 학원에서, 오가는 길에서 등
○ 대상에 따라 - 부모님과 있었던 일, 선생님과 있었던 일, 학원 선생님과 있었던 일 등
질문에 따라 대답을 해보았다면 하루 일과가 머리 속에 모두 떠올랐을 것이다. 그 중에서 가장 마음 속에 남는 것을 찾으면 일기의 글감이 된다. 일기를 쓸 때 글감잡기만 마치면 일기쓰기를 절반은 한 것이나 다름없다.
Ⅴ. 일기쓰기(일기)의 올바른 지도법
첫째, 일기 쓰기를 글자를 익히고 어휘활용능력을 늘이며 착한 심성을 갖게 한다는 등의 이러 이러한 것을 얻기 위한 공부라고 생각하지 않고 쓰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하다. 이러한 것들은 일기를 쓰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런 것들이 일기쓰는 목적이 된다면 아동들이 일기를 크나큰 짐으로 여기는 이유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기쓰는 재미를 붙여서 주저없이 일기를 쓰고자하는 마음을 갖게하는 것이다.
둘째, 일기를 쓸 때 특별한 일을 골라 쓰라고 한다면 아동들은 상당히 일기쓰는 데 어려움을 느낄 것이고 심지어 거짓일기를 쓸지도 모른다. 따라서 특별한 일을 일기로 쓰라고 하기 전에 글감을 고르는 공부부터 자세히 그리고 확실히 가르쳐야 하지 않을까? 일상의 이야기에서 쓸거리를 골라 일기를 솔직하게 쓴다면 그것이 바로 좋은 일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누구에게 꼭 해 주고 싶은 이야기, 남에게 숨기고 싶은 이야기, 속상하고 화나는 이야기 등은 일상에서 고를 수 있는 좋은 일기감을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가 흔히 하는 실수로 아동들에게 일기를 길게 쓰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는 잘못된 표현인 것 같다. 길게가 아니라 자세히 쓰라고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 첫 번째 방법의 하나로 날씨를 쓸 때 단지 맑음, 흐림, 비 등 한마디로 표현하기보다는 변화무쌍한 날씨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필요하다. 비가 온 사실보다는 비가 오긴 왔는데 어떻게 왔는지 그때 기분이 어떠하였는지까지 쓴다면 더욱 자세한 일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두 번째는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쓰되 마음속에 있는 것을 글로 다 써야하며 남이 읽어서 궁금한 게 없도록 쓰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기를 자세히 쓰려면 무엇보다다 시간이 필요하다. 최소한 30분은 책상에 앉아서 일기를 쓰는데 투자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넷째, 일기를 쓰는 시간의 문제가 있다. 보통 아이들은 일기를 잠자기 전에 후다닥 쓰는 경향이 많다. 그러면 아무리 잘 쓰려고 해도 오는 잠을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5.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4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