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영어문법)의 어휘, 영어(영어문법) 절, 영어(영어문법) 음탈락현상, 영어(영어문법) 음전이현상, 영어(영어문법) ae긴장음화, 영어(영어문법) 동화작용, 영국영어(영어문법)와 미국영어(영어문법) 비교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영어문법)의 어휘, 영어(영어문법) 절, 영어(영어문법) 음탈락현상, 영어(영어문법) 음전이현상, 영어(영어문법) ae긴장음화, 영어(영어문법) 동화작용, 영국영어(영어문법)와 미국영어(영어문법) 비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영어(영어문법)의 어휘
1. 기초 영어(Basic English)
2. 영어 단어 일반 도움 목록(A General Service List of English Words)
3. 핵심 어휘(Core Vocabulary)
4. 정의 어휘(A Defining Vocabulary)

Ⅱ. 영어(영어문법)의 절
1. 한정절과 비 한정절
1) 한정절(finite clause)
2) 비한정절(nonfinite clause)
2. 절의 성분 구조
3. 주절의 구조

Ⅲ. 영어(영어문법)의 음탈락현상

Ⅳ. 영어(영어문법)의 음전이현상

Ⅴ. 영어(영어문법)의 ae긴장음화

Ⅵ. 영어(영어문법)의 동화작용
1. [토들]로 들려오는 것이 total 이다
2. 무성음은 무성음끼리, 유성음은 유성음끼리 조화를 이루는 경향이 있다
3. [인전]이 Indian일 수 있다
4. [테너슈즈]가 tennis shoes이다
5. [위너]는 winter 일수도 있고 winner일 수도 있다

Ⅶ. 영국영어(영어문법)와 미국영어(영어문법)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 둘째로, 가정법 절은 그 절이 포함하고 있는 외현적인 주어에 대한 ‘격-표시’의 측면에서 직설법 절과 같은(그리고 비한정적과는 다른) 패턴을 보인다.
우리는 한정절의 두 가지(직설법과 가정법)와 비시제절의 세 가지(부정사, 동명사와 분사) 주요 유형을 가지게 된다.
2. 절의 성분 구조
이제 절의 내적인 성분 구조의 문제에 대하여 직설법과 부정사 절과 관련지어 살펴보자. 우리는 직설법 절을 확장시키는 기본 구절 구조 규칙은 아래의 것으로 가정해 왔다.
(5) S-> NP M VP
그러나 위와 같은 규칙은 주어 NP앞에 that, for, whether와 같은 절 도입 소사(particle)가 오는 절에 대해서는 아무런 준비도 해 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소사는 전형적으로 ‘보어절(complement clause)를 도입하는 데 쓰이기 때문에 ’보문자(complementiser)\'로 알려져 있는 것이며 이는 COMP 또는 C로 간단히 줄여 쓴다.
Bresnan은 C성분을 포함하는 절의 성분구조를 C와 S가 합하여 S-바라고 부르는 것보다 큰 절 단위를 형성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분석은 다음의 두 구절 구조 규칙을 포함하는 것이다.
(6) (i) S\'-> C S
(ii) S-> NP M VP
Brenan의 주장은 공유 성분 등위화(Shared constituent coordination)와 관련하여 세워질 수 있다.
(8) I\'ve been wandering whether (but am not entirely sure that) the president will approve the project.
이러한 유형의 구조에서 ‘공유연속(shared sequence)\'은 성분이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8)의 이탤릭체로 된 연쇄는 성분이어야 하는 것이다.
Brenan의 주장을 지지하는 또 다른 논거는 간결화(gapping) 로 알려진 생략의 한 유형과 관련된 사실에서 온다.
(9)(a) I wander whether [S John likes fish] and [S Mary meat]
(b)*I wander [S\' whether John likes fish] and [S\'whether Mary meat]
(9)(a)의 두 번째 접속문에서 동사 likes가 생략될 수 있으나 (9)(b)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것은 ‘간결화’가 S성분이 등위 접속될 때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우리는 ‘보어절’은 그 직접성분이 C와 S인 S-바 성분을 이루는 것임을 논의하였다. ‘보어절’의 성분구조는 (6)과 같은 규칙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7)의 방식에 따르는 것으로 가정해 왔다. 그러나 이 분석에 의하여 제기되는 한 문제는 모든 보어절이 실제에 있어 외현적인 보문자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10) We know for certain [the President will approve the Project]
(10)의 이탤릭체로 된 보문자 없는 절은 그것이 보문자 위치가 ‘공(empty)\'으로 남아있다는 점만을 제외하면 보통의 [C S]구조를 가지는 S-바라고 말할 수 있다.
(11) [S\'[Ce][S the President will approve the project]]
(e=‘공(空)이며, 따라서 [Ce]는 보문자 위치가 공으로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공C’분석을 지지하는 증거는 ‘등위화(coordination)’에서 온다.
(12) We know [the President will approve the project] and [that Congress will ratify his decision]
(12)의 둘째 번의 괄호 표시한 절은 외현적인 보문자 that을 가지고 있으므로 S-바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단지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성분만이 등위 접속될 수 있다”는 제약에 의하면 첫 번째의 이탤릭체고 된 절 또한 S-바 이여야 한다는 것이 되는데 그것이 아무런 외현적인 보문자를 가지지 않으므로 C의 위치가 ‘공’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 된다.
3. 주절의 구조
지금부터 ‘비내포절(non-embedded clause)\'일 경우를 한번 살펴보자. 먼저 주절의 경우를 살펴보자.
(13)(a) *That the government may change its decision.
(b) *Whether the Prime Minister will resign?
위에서 보듯이 영어에서는 주절이 절대로 외현적인 보문자를 가질 수 없다. 왜냐하면 주절의 C위치가 반드시 that/whether/for와 같은 외현적인 보문자가 공으로 되어야 한다는 언어-특수적인 제약을 받고 있으므로 S-바 성분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보편론자’와 ‘개별론자’ 모두의 근거에 의해 논증될 수 있다. 보편론자들은 많은 언어가 주절을 도입하는 외현적 보문자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예로 들고 있다. 즉, 보편문법에는 Complement가 항상 존재한다. 주절이 영어 외의 다른 많은 언어들에서 외현적인 보문자를 가질 수 있다고 할 때 영어의 주절이 ‘내한적인(covert)’ 보문자(=C)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개별론자들에 의해 주장되는 것은 ‘도치된(inverted)\' 조동사를 포함하고 있는 의문 구조이다.
(14)(a) Your sister could go to College?
(b) Could your sister go to College?
여기서 우리는 도치된 조동사가 주어 앞 보문자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C의 위치가 이미 보문자로 채워져 있을 때에는 조동사의 도치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에 의해 우리는 다음가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15) (i) 외현적인 보문자를 가지는 내포절은 S-바 성분이다.
(ii) 외현적인 보문자를 결하는 내포절은 또한 (공 C를 가진) S-바의 자격을 가진다.
(iii) 외현적인 보문자나 도치된 조동사를 가지는 주적은 S-바 성분이다.
(iv) 외현적인 보문자나 도치된 조동사를 결하는 주절 또한 (공 C를 가진)S-바의 자격을 가진다.
(15)에서 끌어낼 수

키워드

영어,   영어문법,   문법,   어휘,   음탈락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4.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